• 제목/요약/키워드: red clay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8초

A Characteristic Analysis on Clay Pigments of Mural Paintings in Sri Lanka

  • Yoo, Seon-Young;Seneviratne, Buddakoralelage Janani Namal;Kim, Gyu-Ho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7-333
    • /
    • 2022
  • Sri Lanka has four types of mural painting styles; Classic, Late Classic, Kandyan, and Southern styles,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scientific analysis for mural paintings. In this study, we analyze white, yellow, and red clay pigments which were collected from ancient producing sites. Analyzing pigment samples shows that samples are containing aluminum oxide(Al2O3) and silicon dioxide(SiO2) which are connected to the soil. And a degree of iron oxidation determines yellow or red colo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lay pigment samples, we go over previous pigment analyses of mural paintings in Sri Lanka. Kaolin is identified after the 17th century, yellow and red ochre are applied in early periods, Classic and Late Classic styles. The change in raw materials of pigments occurred in the 17th century.

A unique Vietnam's red clay-based brick reinforced with metallic wastes for γ-ray shielding purposes: Fabrication, characterization, and γ-ray attenuation properties

  • Ta Van Thuong;O.L. Tashlykov;K.A. Mahmoud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6권4호
    • /
    • pp.1544-1551
    • /
    • 2024
  • A unique brick series based on Vietnamese clay was manufactured at 114.22 MPa pressure rate for γ-ray attenuation purposes, consisting of (x) metallic waste & (90%-x) red clay mineral & 10% (hardener mixed with epoxy resin), where (x) is equal to the values 0%, 20%, 40%, 50%, and 70%. The impacts of industrial metal waste ratio in the structure and radiation protectiv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experimentally. The increase in metallic waste doping concentrations from 0% to 70%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ed brick's density (ρ) from 2.103 to 2.256 g/cm3 while the fabricated samples' porosity (Φ) decreased from 11.7 to 1.0%, respectively. Together with a rise in fabricated brick's density and a decrease in their porosities, the manufactured bricks' γ-ray attenuation capacities improved. The measured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μ, cm-1) was improved by 30.8%, 22.1%, 21.6%, and 19.7%, at Eγ equal to the values respectively 0.662, 1.173, 1.252, and 1.332 MeV, when the metallic waste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0% to 70%, respectively. The study demonstrates that manufactured bricks exhibit superior radiation shielding properties, with radiation protection efficiencies of 88.4%, 90.0%, 91.7%, 92.1%, and 92.4% for bricks with industrial metal waste contents of 0%, 20%, 40%, 50%, and 70%, respectively, at γ-ray energy (Eγ) of 1.332 MeV.

남한강 중류 하성고위면의 고적색토 (Paleo-red Soil on the High Fluvial Surface in the Middle Basin of Nam-Han River)

  • 강영복;이상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828-835
    • /
    • 2005
  • 본 연구는 남한강 중류의 좌안에 분포하는 하성 고위면의 지형특성과 그 단구퇴적층을 모재로 발달한 토양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조사토양인 적색토는 토양의 형태적, 물리 화학적 및 점토광물의 특성으로 보아 적색토로 분류된다. 토양특성과 고위면의 지형적 특성으로 보아 본 적색토는 제4기의 현재와는 다른 생물 기후환경차에서 탈규산화 작용과 적색토화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고적색토로 사료된다.

고추씨 기름의 정제와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cessing and Analysis of Red Pepper Seed Oil)

  • 김재철;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6-132
    • /
    • 1980
  • n-hexane으로 추출한 고추씨 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붉은 색과 매운 맛의 제거를 시도하였다. 예상한 대로 붉은 색은 탈색 및 탈취 공정중에서 제거되었으나 매운 맛을 내는 capsaicin의 제거에는 탈취 공정은 별 영향이 없었고 탈색 공정이 아주 효과적임을 알았다. 4 %의 산성 백토를 가지고 탈색을 했을 때 capsaicin은 완전히 제거 되었다. 또한 기름 중의 capsaicin의 산성 백토에의 흡착은 산성 백토의 양을 증가함에 따라 대수적으로 감소했고 다음과 같이 Freundlich 식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 ${\frac{x}{m}}=1.1\;c^{0.31}$, 여기서 x는 백토에 흡착된 capsaicin의 양 ((mg/ml), m은 산성 백토의 양 (%), 그리고 c는 탈색 후의 잔존 capsaicin의 양 (mg/ml)이다. 고추씨 기름의 중성 지질의 구성을 보면 95.87 % triglyceride, 1.55 % sterol ester, 1.45 % monoglyceride, 0.78 % 유리 지방산, 0.2 % diglyceride와 0.15 % sterol이었다. 또한 HPLC에 의한 고추씨 기름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리놀산 (78.79 %), 팔미틴산 (15.27 %)과 올레인산 (2.93 %)이 주 지방산이었고 리놀린산은 0.63 %로 극히 적은 량이었다.

  • PDF

밭작물 소비수량에 관한 기초적 연구(III)-고추 및 가을 무우- (Basic Studies on the Consumptive Use of Water Required for Dry Field Crops (3) -Red Pepper and Radish-)

  • 김철기;김진한;정하우;최홍규;권영현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71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asic data for irrigation plans of red pepper and radish during the growing period, such as total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coefficent of evapotranspiration at each growth stage, the peak stage of evapotranspiration, the maximum ten day evapotranspiration , optimum irrigation point, total readily available moisture and intervals of irrigation date. The plots of experiment were arranged with split plot design which were composed of two factors, irrigation point for main plot and soil texture for split plot, and three levels ; irrigation point with pH1.7-2.0, pF2.1-2.4 and pF2.5-2.8, at soil texture of sandy soil, sandy loam and silty clay for both red pepper and radish, with two replication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1/10 exceedance probability values of maximum total pan evaporation during growing period for red peppr and radish were shown as 663.6 mm and 251.8 mm. respectively, and those of maximum ten day pan evaporation for red pepper and radish, 67.1 mm and 46.9 mm, respectively. 2.The time that annual maximum of ten day pan evaporation can he occurred, exists at any stage between the middle of May and the late of August for red pepper, and at any stage between the late of August and the late September for radish. 3.The magnitude of evapotranspiration and its coefficient for red pepper was occurred large in order of pF1.7-2.0 pF2.1-2.4 and pF2.5~2.8 in aspect of irrigation point and the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evapotranspiration and of its coefficient between levels of irrigation point was difficult to be found out due to the relative increase in water consumption resulted from large flourishing growth at the irrigation point in lower water content for radish. In aspect of soil texture they were appeared large in order of sandy loam, silty clay and sandy soil for both red pepper and radish. 4.The magnitude of leaf area index was shown large in order of pF2.1-2.4, pF2.5-2.8, and pFl.7-2.0, for red pepper and of pF2.5-2.8, pF2.1-2.4, pFl.7-2.0 for radish in aspect of irrigation point, and large in order of sandy loam, silty clay, sandy soil for both red pepper and radish in aspect of soil texture 5.1/10 exceedance probability value of evapotranspiration and its coefficient during the growing period for red pepper were shown as 683.5 mm and 1.03, respectively, while those of radish, 250.3 mm and 0, 99. respectively. 6.The time that the maximum evapotranspiration of red pepper can be occurred is in the middle of August around the date of ninetieth to hundredth after transplanting, and the time for radish is presumed to be in the late of September, around the date of thirtieth to fourtieth after sowing. At that time, 1/10 exceedance probability value of ten day evapotranspiration and its coefficient for red pepper is assumed to be 81.8 mm and 1.22, respectively, while those of radish, 49, 7 mm and 1, 06, respectively. 7.Optimum irrigation point for red pepper on the basis of the yield of raw matter is assumed to be pFl.7-2.0 for sandy soil, pF2.5-2.8 for sandy loam, and pF2.1-2.4 for silty clay. while that for radish is appeared to be pF2.5-2.8 in any soil texture used. 8.The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s of red pepper and radish have shown that maximum extraction rates exist at 7 cm deep layer at the beginning stage of growth in any soil texture and that extraction rates of 21 cm to 35 cm deep layer are increased as getting closer to the late stage of growth. And especially the extraction rates have shown tendency to be greatest at 21cm deep layer from the most flourishing stage of growth for red pepper and at the last stage of growth for radish. 9.The total readily available moisture on the basic of the optimum irrigation point become 3.77-8.66 mm for sandy soil, 28.39-34.67 mm for sandy loam and 18.40-25.70 mm for silty clay for red pepper of each soil texture used but that of radish that has shown the optimum irrigation point of pF2.5-2.8 in any soil texture used. 12.49-15.27 mm for sandy soil, 23.03-28.13 mm for sandy loam, and 22.56~27.57 mm for silty clay. 10.On the basis of each optimum irrigation point. the intervals of irrigation date at the growth stage of maximum consumptive use of red pepper become l.4 days for sandy soil, 3.8 days for sandy loam and 2.6 days for silty clay, while those of radish, about 7.2 days.

  • PDF

산성암(酸性岩) 및 중성암(中性岩)의 잔적층에 발달(發達)된 적황색토(赤黃色土)의 생성(生成) 및 분류(分類) -제(第) 1 보(報) (전남통(全南統)에 관(關)하여) (Gene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Red-Yellow Podzolic soils derived from Residuum on Acidic and Intermediate Rocks -Vol. 1 (Jeonnam series))

  • 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7-192
    • /
    • 1971
  • 산성암(酸性岩)인 화강암(花崗岩)의 풍화잔적층(風化殘積層)을 모재(母材)로한 전남통(全南統)에 대(對)한 형태(形態), 물리적(物理的), 화학적(化學的) 및 생성(生成)과 분류(分類)에 관(關)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형태적특성(形態的特性)에 있어서 표토(表土)는 갈색(褐色) 내지(乃至) 암갈색(暗褐色)의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 내지(乃至) 토양(土壤)이나 침식(侵蝕)을 받은 곳에서는 진갈색(眞褐色) 내지(乃至) 황적색(黃赤色)의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土) 또는 식양토(埴壤土)이다. 심토(心土)는 황적색(黃赤色) 내지(乃至) 적색(赤色)의 미사질식양토(微砂質埴壤土) 내지(乃至) 미사질식토(微砂質埴土)로서 구조표면(構造表面)에 엷은 점토막(粘土膜)이 형성(形成)되여 있다. 기층(基層)은 심(甚)하게 풍화(風化)된 화강암(花崗岩)의 잔적모재(殘積母材)이며 토양(土壤)의 깊이는 매우 깊다. 2.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에서 토양입자(土壤粒子)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은 표토(表土)에서 심토(心土)로 내려 갈수록 점토(粘土)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어 심토(心土)의 중앙부분(中央部分)이 34-45% 이며 특(特)히 미사(微砂)의 함량(含量)은 50~60%로서 표토(表土) 및 심토(心土)의 차이(差異)는 별(別)로 없다. 3.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은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낮고 토양반응(土壤反應)이 강산성(强酸性)이며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가 낮다. 4. 전남통(全南統)은 온난(溫暖) 습윤(濕潤)한 기후조건하(氣候條件下)에서 생성(生成)되며 분류(分類)에 있어 미농무성(美農務省) 7차시안(次試案)에 의(依)하면 Typic Hapludults, UNESCO/FAO의 분류(分類)에 의(依)하면 Helvic Acrisols에 속(屬)한다.

  • PDF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가 수경재배 토마토 'Mascara'의 품질과 배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ture Media of Red Clay and Peatmoss on Quality and Drainage Solution in Hydroponics of Solanum lycopersicum 'Mascara')

  • 나택상;최경주;윤봉기;조명수;김희곤;김효중;손동모;유용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
    • /
    • 2013
  • 본 연구는 토마토 'Mascara' 품종을 코코피트, 피트모스,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양액재배시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토마토 묘를 4월 29일에 정식하였고, Yamazaki 토마토 전용 양액을 EC $2.0dS{\cdot}m^{-1}$, pH 6.5로 조정하여 공급하였다. 토마토 과실은 6월 13일부터 8월 24일까지 수확하여 생육과 품질을 조사하였다. 토마토 양액재배에 있어서 배액량은 일사량이 많고 온도가 높았을때 배액량이 감소하였으나, 코코피트, 피트모스, 황토 + 피트모스 등 배지별 배액량은 차이가 없었다. 피트모스 단용 배지에서 재배기간동안 다른 배지에 비해 배액의 EC가 낮게 나타났으며,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는 다른 배지보다 고상이 많았고, 유효수분함량이 가장 높았다. 토마토의 당도는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5.5^{\circ}Brix$로 가장 높았고, 피트모스 배지에서 $4.7^{\circ}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산도는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0.66%로 가장 높았다. 수확량은 황토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8,428kg/10a로 가장 많았고, 상품성이 있는 과실수량의 비율도 다른 배지보다 더 높았다.

산업부산물 레드머드 첨가량에 따른 소성온도별 레드머드 세라믹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Red mud Ceramics according to Sintering Temperature and Contents of Red Mud from Industrial Byproducts)

  • 강석표;강혜주;이민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01-409
    • /
    • 2019
  • 본 논문은 고갈되고 있는 천연자원의 대체 원료로서 알루미나 산업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레드머드를 재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레드머드를 소성하여 세라믹 소재로 적용하기 위하여 실험실 환경에서 레드머드를 배합 및 온도에 따라 레드머드 세라믹을 제조하여 점토벽돌 제조용 원료로서 기초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범위에서는 레드머드 배합조건별 KS L 4201와 압축강도 및 흡수율을 비교하였을 때 1종의 경우 2개의 조건, 2종의 경우가 3개의 조건에서 규격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드머드를 점토벽돌 원료로 활용할 경우 레드머드 첨가량은 10%이하 소성온도는 $1200^{\circ}C$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레드머드를 점토벽돌 원료로서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료와 소성온도가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 동관왕묘 소조상 채색안료의 정밀분석 및 동정 (Characterization and Analysis of Painted Pigments for the Clay Statues in Donggwanwangmyo Shrine, Seoul)

  • 이찬희;이정은;한나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1-112
    • /
    • 2012
  • 동관왕묘(보물 제142호)는 조선시대(1602)의 건축물로서 관우, 장비, 우장군, 주창 및 조자룡 등의 소조상이 안치되어 있다. 이 소조상들의 채색층은 먼지 등 무기오염물로 인해 안료의 원색이 손상되었으며, 수차례의 보수 및 덧칠로 인해 원형이 훼손되어 있다. 소조상의 채색안료에 대한 정밀분석을 위해 X-선 회절분석, SEM-EDS, P-XRF 및 색도 측정을 실시한 결과, 적색과 갈색의 안료는 진사, 석간주, 연단이며, 연적색은 석고를 첨가하여 조색하였다. 흑색과 금색은 각각 흑연과 금(Au)박이 사용되었으며, 녹색 안료에서는 공작석, 염화동 및 해록석이 동정되었다. 매우 선명하게 발색된 청색은 현대 안료로 보채한 것으로 판단되며, 백색은 백악, 석고, 연백이 모두 검출되었다. 석황과 밀타승은 각각 황색과 연황색 채색에 사용되었다.

경안천 유역 하성면에 발달한 토양 특성 (Soil Characteristics on the Fluvial Surface in the Basin of Kyeongan-cheon (Stream))

  • 강영복;신광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8-556
    • /
    • 2006
  • 본 연구는 경안천 유역에 발달한 유물 지형인 하성면의 퇴적층을 모재로 하여 형성된 토양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조사 지점의 적색토의 A층은 적갈색(5YR/4/3)의 미사질식토로 발달도가 미약한 아각괴상 내지 입상 구조이다. B층은 황적색(5YR4/3) 내지 명적색(2.5YR4/6)의 미사질식토로 발달도가 약한 아각괴상 구조를 보이며 적색의 점토 피막과 망간결핵이 나타나는 점토 집적층의 특징을 갖는 argillie층이다. 토층은 $A_1-B_{1t}-B_{2t}-C$ 층으로 되어있다. 하성 고위면의 퇴적층을 모재로 발달한 본토양은 과거 제4기의 온난한 생물기후 상태하에서 이루어진 강력한 탈규산화 작용과 염기용탈 및 적색토화 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고적색토의 일종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적색토는 현재보다 온난한 생물-기후상태하에서 탈규산화를 동반하는 적색토화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고적색토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