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검색결과 16,610건 처리시간 0.044초

견/합성섬유 혼방품의 일욕염색(IV) - 산성염료/분산염료 염욕에서의 견/아세테이트의 염착거동 - (One Bath Dyeing of Silk/Synthetic Fibre Blends(IV) - Adsorption Behavior of Acid Dyes/Disperse Dyes on Silk/Acetate -)

  • 박미라;전재홍;강영의;김공주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18
    • /
    • 1994
  • In one bath dyeing system of silk/cellulose acetate fiber blend fabric with acid /disperse dyes, adsorption behavior of acid dyes and disperse dyes on silk and cellulose acetate fabrics were examined. In the dyeing of cellulose acetate with C. I. Disperse Red 19(Red 19) and C. I. Disperse Red 60(Red 60) at 8$0^{\circ}C$ and 10$0^{\circ}C$, dye uptake with Red 19 was higher than that with Red 60. When the silk/cellulose acetate dyed with Red 19 and Red 60 at 10$0^{\circ}C$, dye uptake on cellulose acetate was influenced by affinity of the dye to the silk fabric dyed together. When the silk/cellulose acetate dyed with Blue 80/Red 19 and Blue 80/Red 60 at 10$0^{\circ}C$, color of cellulose acetate dyed with Red 19 and Red 60 was not influenced by Blue 80 but silk dyed with Blue 80 was influenced by Red 19 and Red 60. Interrelation of K/S value and Munsell value was scarcely any but showed the change tendency of K/S value.

  • PDF

한국 고대 붉은 간토기의 적색 안료 및 교착제에 대한 과학적 분석 (Study on Scientific Analysis about Red Pigment And Binder - The Korean Ancient Red Pottery -)

  • 이의천;박정혜;이제현;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06-61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대 붉은 간토기 중 국립김해박물관 소장품인 적색마연완 붉은 간토기(신석기시대), 단도마연 붉은 간토기(청동기시대), 적색마연가지문 붉은 간토기(청동기시대)에 사용된 적색 안료와 교착제를 확인하여 고대 붉은 간토기에 사용된 적색 안료와 교착제의 종류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과학적 분석 결과, 붉은 간토기 3점 모두 소지층과 적색의 표면층으로 구분되었으며, 적색의 표면층에서는 적색 안료 입자와 광물의 결정이 보였다. SEM-EDS, Raman 분석을 통해 적색 안료는 산화철(Fe2O3)을 주 발색원으로 하는 토양성 안료 중 석간주로 추정하였으며, FTIR-ATR을 통해 Urushiol polymer의 특징에 의한 성분 피크가 검출되었다. GC/MS 분석 결과, 적색층에서 옻칠의 방향구조에 기인하는 성분인 Benzenemethanol-2-propenyl, 4-heptyl phenol, 1-Tetradecanol, Heptafluorobutyroxytridecane 성분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국립김해박물관 소장품인 붉은 간토기 3점의 적색 안료는 석간주(Fe2O3)를, 교착제로는 옻칠을 사용하여 제작된 토기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퍼지 추론을 이용한 적조 발생 예측 (Red Tide Blooms Prediction using Fuzzy Reasoning)

  • 박선;이성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5호
    • /
    • pp.291-294
    • /
    • 2011
  • 적조란 유해조류의 대 번식으로 바다물의 색깔이 변하는 일시적인 자연현상으로 어패류를 집단 폐사 시킨다. 유해 적조류에 의한 국내 수산업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서 적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적조 발생 예측은 적조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적조 현상 예측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단순히 적조 분류에 집중되어 있어서 적조발생 예측에는 미흡하다. 본 논문은 퍼지 추론을 이용한 새로운 적조발생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고추의 생산 및 소비 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The analysis o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red-pepper in Korea)

  • 홍승지;김성훈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4호
    • /
    • pp.405-410
    • /
    • 2013
  • Even though red pepp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n, the red pepper industry is decaying due to several reas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ore specific studie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sector of Korean red pepper market and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Korean red pepper industry. Survey analyses to producers and consumers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studies present a few findings: First, Korean consumers consume foreign red pepper products as well as domestic red pepper products, Second, more RPPC (Red Pepper Processing Complex) should be introduced, Third, WTP (Willingness To Pay) of consumers to red pepper products is different from WTP of producers, Forth, Consumers' requirements to promote the red pepper market is also different from producers' strategies.

홍미삼 알콜 추출박을 이용한 산성다당체 다량 함유 홍삼 엑기스 제조 (Preparation of Red Ginseng Extract Rich in Acidic Polysaccharide from Red Tail Ginseng Marc Produced After Extraction with 70% Ethyl Alcohol)

  • 도재호;이종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60-64
    • /
    • 199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ropriate conditions to extract acidic polysaccharide and to prepare red ginseng extract being rich in acidic polysaccharide from red tail ginseng marc produced after manufacturing alcoholic extract from red tail ginseng. Amount of acidic polysaccharide in red tail ginseng marc was about 11%. The best condition for the extraction of acidic polysaccharide from the marc was using of 3~5 mg of $\alpha$-amylase/g residue/15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 amount of acidic polysaccharide in water extract of the residue treated with $\alpha$-amylase was about 27%. So,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red ginseng extract being rich in acidic polysaccharide using water extract of red tail ginseng alcoholic residue as extraction solvent. From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red tail ginseng residue produced by manufacturing alcoholic extract of red tail ginseng has high potencies in the utilization of waste material.

  • PDF

적색도와 국소적 특성을 이용한 적목 영역의 검출 (Detection of Red Eye Region Using Redness and Local Characteristics)

  • 김태우;유현중;조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098-110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칼라 영상에서 적목(red eye)의 자동 검출 및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적색도(redness)와 기하학적 특징에 기반하여 초기 적목 영역을 검출하고, 초기 적목 영역 주위의 국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최종 적목 영역을 검출한다. 최종 적목 영역에 대해 소프트 제거에 기반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목을 제거한다. 실험에서 제안한 방법은 Willamowski와 Csurka[1]의 방법에 비해 적목 영역의 검출과 제거 결과가 개선되었다.

  • PDF

NS-2를 이용한 Efficient Adaptive RED 라우터 버퍼 관리 알고리즘 성능평가 (Evaluation of Efficient Adaptive RED Router Suffer Management Algorithm Using NS-2)

  • 임혜영;이종현;허의남;황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C)
    • /
    • pp.211-213
    • /
    • 2003
  • RED 파라미터를 가장 적합하게 설정할지라도 RED 라우터의 처리량(Throughput)이 TD 라우터 보다 획기적으로 향상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REO 라우터를 이용하여 TCP 커넥션들간의 페어니스(Fairness)와 페어니스 향상에 따른 전체 네트워크 이용률(Utilization)을 높일 수는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RED 파라미터를 조절하면서 빠르게 안정적인 상태로 적응하는 진보된 RED 알고리즘인 ea-RED(Efficient Adaptive RED)의 성능을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툴인 NS-2를 이용하여 TD. RED 알고리즘과 다양하게 실험하고 비교 분석한다. 이 실험을 통해 병목구간에서 혼잡이 심할 경우, ea-RED 라우터가 RED나 TD 라우터에 비해 큐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보다 높은 페어니스 인덱스 값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액상 및 중화 레드머드를 첨가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특성 (Hydration Characteristics of Cement Paste Added Liquid and Neutralized Red Mud)

  • 강혜주;강석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4-105
    • /
    • 2020
  • Red mud is a highly alkaline waste by-product of the aluminum industry. Although recycling of red mud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a feasible technological solution has not been found yet. In this study, we propose that neutralization of red mud alkalinity could assist in its use as a construction material. Neutralized red mud ( pH 6-8) was prepared by adding sulfuric acid to liquefied red mud (pH 10-12). After adding liquid and neutralized red mud to the cement paste, the heat of hydration was measur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calorific value of the cement paste with liquid red mud was lowered and delayed compared to the cement paste with neutralized red mud.

  • PDF

적조기상정보 : 기상인자를 활용한 연안 적조예측기술 개발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Red Tide : Technical Development of Red Tide Prediction in the Korean Coastal Areas by Meteorological Factors)

  • 윤홍주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08
    • /
    • 2006
  • 본 연구는 연안기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사전에 적조를 예찰하고 실용화하여 적조로부터의 재해를 저감하는데 있다. 이러한 적조예찰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적조발생에 관여하는 기상 및 해양인자들의 환경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성으로부터 적조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공공의 활용에 쉽게 이용될 수 있게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이 분야에 관련되는 학계, 공공기관, 업계의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리고 매년 연례행사처럼 국가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적조피해를 줄이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 PDF

적조기상정보 : 기상인자를 활용한 연안 적조예측기술 개발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Red Tide : Technical Development of Red Tide Prediction in the Korean Coastal Areas by eteorological Factors)

  • 윤홍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44-853
    • /
    • 2005
  • 본 연구는 연안기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사전에 적조를 예찰하고 실용화하여 적조로부터의 재해를 저감하는데 있다. 이러한 적조예찰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적조발생에 관여하는 기상 및 해양인자들의 환경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성으로부터 적조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공공의 활용에 쉽게 이용될 수 있게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이 분야에 관련되는 학계, 공공기관, 업계의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리고 매년 연례행사처럼 국가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적조피해를 줄이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