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tovaginal fistula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자궁 경부암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에서 선량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ose Distribution in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Uterine Cervical Cancer)

  • 신세원;김성규;김명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66-177
    • /
    • 1991
  • 1986년 4월부터 1991년 3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자궁 경부암으로 확진되어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2명의 환자에서 방사선 선량 분포에 따른 치료성적은 다음과 같다. 1. 22명중 3명(13.6%)에서 골반이나 복부에 재발이 생겼으며 임상적 병기가 진행될수록, 외부조사선량이 적을수록 재발이 많았다. 2. 골반내 임파선 전이와 임파혈관 침범인 경우에 재발이 되었다. 3. 강내조사 선량이나 수술방법은 재발과 무관하였다. 4. 중대한 합병중은 임상적 병기가 앞설수록 외부조사 선량이나, 총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많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본원 치료방사선과의 자궁 경부암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원칙은 적절하며 재발방지와 합병증의 예방을 위한 세심한 주의와 항암제를 위시한 전신요법의 추가를 고려하여야 하겠다.

  • PDF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성적 (Radiotherapy Result of the Carcinoma of Uterine Cervix)

  • 박찬일;하성환;강순범;이효표;신면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권1호
    • /
    • pp.107-113
    • /
    • 1984
  • One hundred sixty one patients with the carcinoma of uterine cervix received curative radiotherapy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December, 1979 and December, 1982. According to FIGO classification; stage $I_a 1(0.6\%)\;1_b\;8(5.0\%),\;II_a\;31(19.3\%),\;II_b\;66(41.0\%),\;III_a\;3(1.8\;%),\;III_b\;46(28.6\%)\;and\;IV_a\;6(3.7\;%)$. The proportion of early stage cancer is too small because most of them treated by surgery. External beam whole pelvic irradiation was done first with 10MV x-ray or Co-60 gamma ray upto 4,000 or 5,000 rad for early and advanced cases, followed by one or two courses of intracavitary radiation using Fletcher-Suit Applicator loading c Cs-137. Supplementary external radiation to pelvic side wall to bring dose to 6,000 or 6,500 rads, if there is parametrial involvement or positive pelvic lymph node. Of the 161 Patients, 49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but only 22 patients were lost in disease free state. And so, 86.3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followed to time of recurrence or to da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Locoregional control rates according to stage is: stage I $100\%,\;II_a\;90.3\;%,\;II_b\;75.8\%,\;III_a\;66.7\%,\;III_b\;58.7\%\;and\;IV_a\;16.7\%$, respectively. 2. Persistent or recurrent disease were localized in pelvic cavity in 32 of 50 patients and 6 had distant metastasis only. 3. Rectal bleeding wa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and appeared mostly between 6 and 24 months after radiotherapy. Most of them had transient minor bleeding and only 2 patients needed transfusion and 1 patient needed colostomy due to rectovaginal fistula. 4. The 3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is: stage I $100\%,\;II_a\;78.0\%,\;II_b\;60.6\%,\;III_a\;66.7\;III_b\;46.3\%\;and\;IN_a\;16.7\%$, respectively.

  • PDF

천공지 기저 국소 피판을 이용한 회음부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Defect in Perineum using Local perforator based flap)

  • 이주홍;윤인식;이동원;이원재;나동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65-570
    • /
    • 2009
  • Purpose: Numerous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to reconstruct the perineal area in order to preserve function of both the recipient and the donor site while satisfying aesthetic results.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of using the pudendal aretery perforator based flap in that it provides thin coverage of defect area and a relatively excellent circulation through perforators. The perineal region can be divided into two areas : the urogenital triangle and the anal triangle. Since each area differs in structure and function so does its reconstructive plan. The authors of this article report clinical results obtained from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reconstructed cases according to each differrent triangles. Methods: A total of 15 patients who underwent perineal reconstruction were enrolled in our study between the year 2002 and 2006. There were 4 cases of vaginal cancer, 4 cases of extramammary Paget's disease, 1 case of rectovaginal fistula in females and 2 cases of Paget's disease and 4 cases of Fournier's gangrene in male cases. The follow up period was on average 6 month. In female, superfic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local flap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urogenital triangle defects, while internal pudendal artery perfoator based local flaps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anal traingle defects. In males the gracilis myocutaneous flap and intern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local flaps were used in reconstruction of the scrotum and perineal defect. Result: In females, there was 1 case of partial flap necorsis that employed the superfici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ut secondary repair through the intern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local flap was done. In addition, there were 4 wound dehiscence cases in females and 2 cases in males. Conclusion: We believe that a better aesthetic and functional outcome can be achieved in perineal reconstruction if discrete surgical planning is carried out systematically categorizing the choice of flap employed acccording to distinct anatomical regions : the urogenital and the anal triangle.

젖소 번식장애 주요 유형별 치료방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jor Reproductive Failures in Dairy Cows)

  • 조성우;김용준;이해이;김용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7-217
    • /
    • 2001
  • 1999년 5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김제시 관내 32농가 가임암소 836두를 대상으로 번식장애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였다. 번식장애는 직장검사와 초음파 진단기(SA 600, Medison, 5.0MHz rectal linear transducer)를 이용하여 진단한 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번식장애 치료는 자궁질환우는 자궁세정 또는 질세정을 실시하였고, 개체에 따라 호르몬 처치를 하였다. 난소질환우는 난소질환의 유형에 따라 호르몬 처치를 하고 초음파 소견에 따라 자궁 또는 질세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1. 번식장애 대상우 102두중 15두는 임신으로 판정되어 번식장애우는 87두로 가임암소 836두에 대해 10.4%의 번식장애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2. 번식장애는 자궁질환, 난소질환, 자궁과 난소질환 혼합형, 황체존재 무발정형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번식장애우로 분류된 87두중 자궁질환은 33두 37.9%, 난소질환은 30두 34.5%, 자궁과 난소질환 혼합형은 16두로 18.4%, 황체존재 무발정은 8두로 9.2%를 나타내었다. 3 번식장애우 87두중 시험중 번식장애와 함께 병발질환인 요질과 발굽질환이 심하여 번식우로 활용하기가 어렵다고 판단되어 7두를 도태 유도하였다. 4. 번식장애우 87두중에 7두는 도태되었고 치료두수 80두에 대한 치료결과 발정발현우는 74두로 92.5%의 발정발현율을 보였으며, 수태우는 56두로 70.0%의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5. 번식장애 유형별 치료결과는 자궁질환우 32두에 대한 치료후 발정발현우는 31두로 96.8%, 수태우는 23두로 71.9%의 수태율을 나타내었고, 난소질환우는 25두에 대한 치료후 발정발현우는 22두로 55.0%, 수태우는 16두로 64.0%이었으며, 혼합형중 15두에 대하여 발정발현우는 13두로 86.7%, 수태우는 9두로 60.0%의 수태율이었으며, 황체존재 무발정우 8두에 대한 치료후 발정 및 수태 모두 8두에 나타나 발정발현율 및 수태율이 100.0%이었다. 6. 번식장애우의 분만후 경과시기에 따른 발생 여부는 전체 87두중 분만후 0~30일이 2두 2.3%, 30~60일이 6두 6.9%, 60~90일이 12두 13.8%, 90~120일이 18두 20.7%, 120일 이상이 49두로 56.3%로서 분만후 시일이 경과할수록 번식장애우의 발생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7. 번식장애우에 번식질환과 함께 병발된 질환을 조사한 결과 번식장애우 87두중 병발질환이 있는 번식장애우는 18두로 20.7%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병발질환을 유형별로 보면 발굽질환우는 5두, 관절질환우는 5두, 뇨질 6두, 직장질루 2두로 나타났다. 병발질환우 18두에 대한 사지질환우는 10두로 55.6%이었다. 8. 번식장애농가 12농가중 7농가가 번식기록 관리를 하지 않았고(58.3%), 또한 5 농가가 운동장이 없거나 활용하지 않아(41.7%) 이러한 요인도 번식장애 발생과 연관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 직장검사에 의존해서 번식장애를 판단하기보다는 초음파 검사와 병행을 할 때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 높은 치료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번식기록 미비와 운동장의 활용이 적다는 것도 번식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사양관리상의 조건이 될 것으로 생각되어 이에 대한 개선방향이 세워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