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s of the villag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7초

성미산마을 공동체주거 계획과정의 거주자와 코디네이터의 의견조정 사례연구 (Case Study of Opinion Coordination between Residents and Coordinators on the Planning Process of Community Housing in Sungmisan Village)

  • 박경옥;류현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clear considerations in the planning of community housing and the roles of coordinators. Seongmisan village, a representative urban community village in Seoul, was selected for this study on problem solving between residents and opinion coordination between residents and coordinators. For this qualitative research, 2 residents and 2 coordinators answered 'open questionnaires' on prior basic planning, land purchase, financing, architectural planning, construction and inspection, and actual living conditions thereafter. They were each interviewed for 2 hours at a time that was 14-16 months after the residents started living in the new houses, and the records were transcribed. The following was the result. 1) The residents, who ruled the steps of prior basic planning and land purchase, did not have sufficient information or knowledge of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housing, so that they faced difficulties especially in the legal and financial aspects. 2) The coordinator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t the steps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construction. The residents accepted the coordinators' opinions on the choice of floor and position, and the coordinators listened to the residents' opinions on individual plans and finishing materials. In the construction step, however, there was conflict between them, and dissatisfaction occurred on the comple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 For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community housing, a professional coordination company needs to join the project to establish a system of opinion coordinating from the step of prior basic planning to the step of afterconstruction management.

기록으로 본 부산의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Industrial Fluctuations and Locality of Busan with Records)

  • 송정숙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3-172
    • /
    • 2016
  • 전통적으로 부산 일대에서 전통적인 정치 행정의 중심지는 정주공간인 동래이고, 부산은 동래부 동평현 부산포라는 어촌이었다. 개항 이후 일본과의 연이은 조약으로 일본인의 조선 내에서의 활동범위가 넓어지고 조선에서 일본인의 상업행위가 허용됨에 따라 일본인의 이주가 급증하였다. 일본은 조차나 임대, 매입 또는 매축을 통해 전관거류지와 서쪽 방면 일대, 북항 일대의 부지를 확보하고, 북항 일대에 공공시설과 상공업시설, 철도 항만시설을 구비하여 경부철도와 관부연락선이 바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처럼 부산이 한일간 교통의 요충지가 되자 부산은 통상 중심의 상업이 발달하고, 부산항은 조선 최대의 무역항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조선이 일본에 병합된 이후 조선총독부는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조선의 임야와 거대한 농지를 확보하고, 소작농이 도시 임금노동자로 전락하게 되었다. 회사령을 통해 조선 자본의 성장을 억제하고 일본 자본이 침투하여 일본인 기업이 대거 설립되었다. 1914년에 시가지는 부(府)로, 농촌은 군(郡)으로 지방행정조직이 개편됨에 따라 부산포 일대의 일본인이 개발한 지역은 부산부로, 그 외의 농촌지역은 동래군으로 바뀌었다. 새로 신설되는 공공시설과 상공업시설, 철도 항만시설은 부산부에 집중적으로 들어섬에 따라 변방이었던 이곳이 정치 행정의 중심지로 탈바꿈하였다. 부산이 교통과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함에 따라 경상남도의 도청이 진주에서 부산으로 이전하였다. 이로써 부산이 경상남도의 정치와 행정의 중심지로 역할이 확대되었다. 토지조사사업으로 대규모 노동력을 확보하고, 회사령 철폐로 일본이 대자본이 식민지로 진출하였다. 부산진 방면의 매립으로 조선방직 등 대규모 공업시설이 설립되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부산의 도시 정체성, 즉 로컬리티도 어촌에서 통상 위주의 상업도시로, 나아가 상공업 도시로 변모하게 되었다.

산촌 중학교 보건교사의 코로나19 집단감염 발생 대응 사례 (A Case Report of the COVID-19 Outbreak Response by a Middle School Health Teacher in a Mountain Village)

  • 조아람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4-5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a school health teacher's experience working in a mountain village during the COVID-19 outbreak in 2021. Methods: The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 based on the school records and reports to the local office of education. Results: In T City, since the first COVID-19 case confirmed on March 8, 2020, as of May 17, 21, a total of 21 cases have occurred, including two third-year students of H Middle School. Since then, one additional case was confirmed on May 18, one more on May 25, and one more on May 27, resulting in a total of five confirmed cases. During this period, 42 students and 13 teachers were self-quarantined, all students and staff were tested for COVID-19 PCR, and students received remote classes. The role of school health teacher can be described through three categories: "collaborator", "care coordinator", and "educator". The school health teacher did a lot of work until the situation came to an end, successfully fulfilling these three roles. Conclusion: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prepare a more effective communicable disease response system suitable for public health infrastructure of non-urban area.

문화 아카이빙 정착을 위한 방향 연구 (A Study of Establishing Culture Archiving)

  • 류한조
    • 기록학연구
    • /
    • 제37호
    • /
    • pp.41-74
    • /
    • 2013
  • 문화 아카이빙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다. 문화가 경쟁력인 시대적 배경과 기록학의 영역 확장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상 아카이빙이나 마을 아카이빙과 같은 다양한 시도들이 전개되고 있고,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당위성을 설명하거나 실제 사례들을 보여주는 연구에 치중되어, 문화 아카이빙에 필요한 이론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글은 문화 아카이빙에 있어 기록의 문화적 재현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해보고, 문화아카이빙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 아카이빙에 있어서 기록관리자의 생산에 대해 재검토 하였으며, 수용자가 부여한 가치를 중심으로 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콘텐츠에 적합한 분류체계 설정과 재현방식의 아카이빙을 검토하였다.

ESTIMATES OF PHENOTYPIC AND GENETIC PARAMETERS FOR WEANING AND YEARLING WEIGHTS IN BALI BEEF CATTLE

  • Djegho, Y.;Blair, H.T.;Garrick, D.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623-628
    • /
    • 1992
  • Records on weaning (3803) and yearling weight (2990) of beef cattle (Bibos banteng) from the Bali Cattle Improvement Project were examined. A mixed model analysis involving all main non-genetic effects (village, year of birth, season of birth, age of dam, sex of calf, all significant interactions and age at weighing as a covariate) as fixed effects and sire nested within village as a random effect was undertaken. Variance components were estimated by Henderson's Method III. Paternal half-sib components of variance and covariance were used to estimate heritabilities of weaning and yearling weights, as well as their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Heritability estimates ($\pm$ standard error) obtained by Henderson's Method III for weaning and yearling weights were $.11{\pm}.03$ and $.13{\pm}.04$, respectively while the phenotypic and genetic correlations were estimated as .32 and $.64{\pm}.10$, respectively. The parameters estimated in this study were at the lower end of the range of reported values from various breeds. It is concluded that further information should be gathered to assist in estimating genetic parameters for other economic traits of Bali beef cattle and to provide more accurate estimates for weaning and yearling weights. These parameters should then be used to formulate a selection program to enable the genetic improvement of Bali Beef cattle.

마을 아카이브를 도입한 백령도 탐방로 조성계획 (Planning for Baekryeong Island Trail Introducing Local Archive)

  • 홍정식;이보미;안덕초;강은지;서종경;김용근
    • 농촌계획
    • /
    • 제21권1호
    • /
    • pp.143-154
    • /
    • 2015
  • This study has set up a plan to establish a trail as a means of maximizing a community by using the residents' living materials and unused facilities that a village holds now. A local archive is a place where the records and living materials collected from a village are preserved, displayed and shared with others, serving as a complex space with multiple functions. To apply the idea of 'utilizing a local archive',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by making an analysis of trail resources of Baekryeong Island and local archive application resources. Local archive resources were selected through evaluation of connection of trail routes by investigating and discovering the unused facilities of Baekryeong Island village and the depreciation level and scale of them. And actual local archive living references were investigated and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villagers. Also, through planning of trails by region, limitations of investigation activities were improved and various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owned by Baekryeong Island were utilized to enable effective and distinctive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Unused facilities were surveyed and chosen to take advantage of the local archive space, along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living in Baekryeong Island. In addition, the current conditions for the trail routes were checked out in order to 'point out the final routes'.

농업유산으로서 남원시 신기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 및 관리방안 고찰 (Perspectives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cheme of Sacred Dangsan Forest in Singi-ri, Namwon-si as an Agricultural Heritage)

  • 최재웅;김동엽;윤순덕;곽민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15-123
    • /
    • 2016
  • 이 연구는 농업유산으로서 남원시 신기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서, 관리 개선방안 고찰을 통해 농촌마을 신기리의 활력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는 각 나라의 농지, 독특한 농업경관, 문화다양성 보호 등을 위해 '세계중요농업유산' 개념을 정립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발전을 위한 새로운 목표와 수단을 만들어 나가는 데 있어서, 농업유산이 핵심전략 자원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수 백년 이상의 당산제 역사를 갖고 있으며 농지와 연결되어 있는 농어촌 전통마을숲,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농업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신기리 당산숲은 두 개의 당산숲과 하나의 비보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395m 길이에 15m 폭을 가진 두 번째 당산숲은 조산 위에 조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당산숲은 조성 내력에 대한 기록이 없으나, 신기리 당산숲은 두 번째 당산숲 안에 조성 내력이 기록된 '토성축성기념비'가 보존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기리 당산숲은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관심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다. 가치 있는 경관 특성을 지닌 신기리 당산숲은 일반 대중에게 널리 인식될 필요가 있다. 신기리 당산숲이 '지리산 둘레길'과 연계되면 신기리의 농업경관, 농업유산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마을 활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하회마을 담장 형태의 변화양상 (Changing Aspects of the Wall Types of Hahoe Village)

  • 김동현;이원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7-96
    • /
    • 2017
  • 본 연구는 안동 하회마을을 대상으로 197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담장의 형태적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소재 및 형태, 분포 중심의 변화과정을 4시기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동 하회마을이 문화재로 지정되기 이전인 1970년대는 마을 중심부의 토담에 기와를 얹은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마을 외곽부에서는 토담에 볏짚이나 솔잎 등을 올리거나 담장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싸리담을 두르기도 하였다. 둘째, 1980년대 문화재 지정 이후에는 초기단계의 문화재 정비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 퇴락가옥 보수나 기반시설 정비에 중점을 두고 있어 담장에 대해서는 문화재 지정 이전의 분포와 큰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과거 하회마을의 입지 특성상 담장에 돌을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었으나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토석담으로의 대거 교체가 확인되었으며, 이전시기에 비해 머리부에 기와를 사용한 사례가 증가되었다. 이전시기 주를 이루던 토담의 비중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양상은 2000년대까지도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현장조사를 통해 오늘날 하회마을의 담장을 살펴본 결과, 마사토에 시멘트, 강회, 자갈 등을 섞은 몸체가 마을 대부분의 담장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엉을 얹은 담장과 싸리담의 범위는 마을 외곽부의 일부로 축소되었다. 다섯째, 197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나타나는 하회마을 담장의 변화특성으로 새로운 소재의 사용빈도 증가와 기존 가옥의 담장교체에 따라 머리부에 기와를 얹은 가옥 범위의 확대 등이 도출되었으며, 그 요인은 풍수적 가치 퇴조, 원형 기록에 대한 부족, 건축물 외 시설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결여, 기타 담장 정비에 대한 마을 주민간의 관계 등으로 확인되었다.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A Study on Documentation Strategy for Archiving Locality)

  • 권순명;이승휘
    • 기록학연구
    • /
    • 제21호
    • /
    • pp.41-84
    • /
    • 2009
  • 수많은 지역 속에는 우리의 역사와 삶이 존재하고 있지만, 그것들은 인간의 불완전한 기억만을 기대하며 사라져 가고 있다. 지난 10년간의 기록관리는 공공성이라는 미명하에 공공영역에만 치우쳐왔다. 민간영역이라고 해봤자 종교 또는 대학기록관리 정도에만 관심을 기울인 정도였다. 민간영역에 대한 기록관리는 그동안 '사적인 것'이라 하여 기록화 되지 못한 것들을 다양성 추구와 공동체적 삶을 보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민간영역 기록관리는 지역이라는 범위로 토대로 각각의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지역 아카이빙(Archiving Locality)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 지역성이란 '특정한 지점에 속하는 성격' 또는 '한지역의 특별한 성격', 즉 지역별 특수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장소나 공간에 존재하는 상태나 상황을 일컫는 말로써 상이한 지역 내에 나타나는 자연적 환경 및 사회 문화적 환경의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지역적 유기체로서의 성격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역성을 바탕으로 한 지역 아카이빙들이 모인다면 지역의 다양한 삶이 녹아있는 국가의 모습을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아카이빙의 대상은 도심 속 문화공간에서부터 공동체적 삶을 영위하는 마을 및 소멸되어 사라지는 장소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지역 아카이빙을 위해서는 과거기록에 대한 수집만큼이나, 지역성의 지속을 위해 앞으로 생산되어야 하는 기록에 대한 생산전략 역시 중요하다. 지역 아카이빙은 국지적이며 단계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해당지역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와 인식 역시 수집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수집정책을 바탕으로 지역의 조직 및 개인기록들을 아카이빙 한 이후에는, 운영 및 활용에 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 아카이빙의 방법론 구축 및 공유, 그리고 결과물의 다양한 활용을 모색해야 한다. 지역 아카이빙이란 용어 자체가 아직은 낯설고 지역성에 대한 개념 또한 명확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동안 공공영역에 쏟았던 관심과 노력을 이제는 민간영역으로도 상당부분 돌려야 할 시기가 왔다고 생각한다. 뉴스나 정보, 데이터 하나가 한 시간도 채 되지 않아 전국에 전파되는 오늘날이지만, 우리의 삶은 여전히 우리가 살고 있는 조그만 지역으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지역 아카이빙이 모여 국가의 모습을 완성한다면 다양성을 담보하는 것은 물론, 거시적인 흐름 속에서의 지역 공동체적 삶을 보존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정산 도주 일가의 만주행록에 관한 재고찰 (A Reconsideration on the Records on Doju Cho Jeongsan and His Family in Manchuria, China)

  • 崔峰龍
    • 대순사상논총
    • /
    • 제26집
    • /
    • pp.215-253
    • /
    • 2016
  • In 2007, according to the records, I made an on-the-spot survey of the place where Doju Cho Jeongsan and his family might have lived in exile in Manchuria and released a paper in which I decided that the site could be the Shuidongchun (village) of Luotongshanzhen in Liuhexian, Jilin Province. Thereafter, sponsored by the Doju Cho Jeongsan's Memorial Project from 2008 to 2013, many times, I carried out the field investigations and researches on Liuhexian, including the visits of the institutions which have the historical documents, in order to find the data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of him and his family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I was, hence, able to reconfirm that the village had been the place of their exile, based on my collected data and the oral reports which the local historians and ethnic Korean elders had provided. In this study, using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maps and the oral materials, I made an attempt to prove the historical truth thoroughly once again. First, the existing sources of Doju Cho and his family's settling in Manchuria from March 1909 to 1917, were carefully analyzed which were described in The Jin-gyeong. In doing so, the misspelling of the names and the spatio-temporal errors of the people's activities were corrected. Next, I researched on another town, Shuitungou of Liuhexian in Fengtian Province (in West Gando of Manchuria), which it is known that Doju and his family stayed in, and the Laogushan (mountain), which it is believed that Doju cultivated himself in. Finally, through the attempt,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Doju and his family had settled at Shuidongchun (once called Shuidonggou or Shuitongchun) of Luotongshanzhen (once called Datonggou) in Liuhexian, Jilin Province. In the Liuhexian-related documents and maps published in the eras of Republican China and Manchuria, the place name called Shuitungou was not found. However, I discovered a map in the era of Republican China on which Shuitongchun was recorded as Shuidonggou. In addition, considering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Republic China, tun(屯) and gou(溝) could not be used together in the place names. Accordingly, Shuitungou was more likely misspelled as Korean people in those days mispronounced Shuidonggou. Furthermore, people in China has habitually called the Dagushan(大孤山), located in the north of Gushanzizhen of Liuhexian, as the Laogushan(老孤山). This means that the Korean people who lived in the area then perhaps recorded the mountain as the Nogosan(老姑山), the mountain of the old goddess, according to Korean enunciation, because they had the custom of worshipping the mountain goddess. I tried my best to find the historical documents regarding Doju and his family's anti-Japanese activities to prove the location of exile in which they settled in northeastern China (Manchuria). However, I was not able to reach the initial goal completely due to the shortage of objective evidences, only to leave tasks to be solved. I hope that this study can give a little help to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is m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