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 collection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초

세탁물 관리를 위한 문자인식 딥러닝 모델 경량화 (Lightweight Deep Learning Model of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for Laundry Management)

  • 임승진;이상협;박장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6_3호
    • /
    • pp.1285-1291
    • /
    • 202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w-cost, low-power embedded environment-based deep learning lightweight model for input images to recognize laundry management codes. Laundry franchise companies mainly use barcode recognition-based systems to record laundry consignee information and laundry information for laundry collection management. Conventional laundry collection management systems using barcodes require barcode printing costs, and due to barcode damage and contamina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st of reprinting the barcode book in its entirety of 1 billion won annually. It is also difficult to do. Recognition performance is improved by applying the VGG model with 7 layers, which is a reduced-transformation of the VGGNet model for number recognition. As a result of the numerical recognition experiment of service parts drawings, the proposed method obtained a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 over the conventional method with an F1-Score of 0.95.

한국 패션 박물관 건립을 위한 패션 박물관의 기능과 현황 연구 (A Study of the Func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Fashion Museum for Construction of Korean Fashion Museum)

  • 박주희;최현숙
    • 복식
    • /
    • 제62권5호
    • /
    • pp.156-170
    • /
    • 2012
  • These days, fashion museums that were established during the 60~70s in advanced countries are spiritedly planning opportune exhibitions as well as opening collections and accumulated research materials to the public. They are also publishing innovative visual references and offer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ey play a crucial role in speeding up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of fashion designers by accumulating archives through analytic researches. Since Korea has applied western fashion for over a century, now is the time to make a fundamental long-term plan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fashion by gathering and classifying the history of a century.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ach a conclusion to construct fashion museum in Korea to discover as well as develop fashion talents and eventually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First,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history and the functions of fashion museum were analysed. 'The collection & exhibition' in the common thread is one function of the fashion museum. Another function is 'the research', which includes accumulations, classification and record of materials in a particular point of view. It also includes publishing catalogues with temporary exhibitions and open management to the scholars and the designers. 'The communication', which is enacted through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events for inflow of new visitors, is the other function of fashion museum. The current state of fashion museums in advanced countries and Korea were also analysed. Korean public museums only owned traditional collections while public fashion museums in other advanced countries usually owned collection of the past and the present together. The only contemporary fashion museum in Korea is run private which leads to many problems. Finally, The study went further to suggest the advanced model of fashion museum in Korea based on the research.

대학의 설립자 개인기록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versity's Management of the Founder's Private Records)

  • 오의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3-161
    • /
    • 2017
  • 본 연구는 개인의 기록이 사회의 공공기록을 보완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대학의 중요 기록물은 행정기록 이외에 대학과 관련된 인물의 개인기록을 통하여 보완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대학의 설립자의 생애사를 분석하여, 기록의 분류체계와 수집전략 구축에 활용하였다. 분류체계로 기능 및 주제 분류 그리고 형태분류로 구성되는 다중분류체계를 제안하였고, 수집전략으로는 분류체계에서 도출한 키워드들을 향후 기록 수집을 위한 탐색의 출발점으로 활용하고 잠재적 수집처 및 생산자로 추론할 것을 제안하였다. 모든 개인기록에 대한 표준적인 기준은 만들어 질 수 없지만 개인기록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의미 있는 시도로 생각된다.

Collection of Clonorchis sinensis adult worms from infected humans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 Shen, Chenghua;Kim, Jae-Hwan;Lee, Jeong-Keun;Bae, Young-Mee;Choi, Min-Ho;Oh, Jin-Kyoung;Lim, Min-Kyung;Shin, Hai-Rim;Hong, Sung-T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149-152
    • /
    • 2007
  • A cohort was established for evaluation of cancer risk factors i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Korea. As one of the cohort studies, stools of 947 residents (403 males and 544 females, age range: 29-86 years) were screened for Clonorchis sinensis eggs using both Kato-Katz method and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 The overall egg positive rate of C. sinensis was 37.7% and individual EPG (eggs per gram of feces) counts ranged from 24 to 28,800. Eight egg positive residents voluntarily joined a process of collection of the passed worms after praziquantel treatment. A total of 158 worms were recovered from 5 of the 8 treated persons, ranged from 3 to 108 in each individual. The worms were $15-20 mm{\times}2-3 mm$ in size, and showed brown-pigmented, red, or white body colors. This is the first collection record of C. sinensis adult worms from humans through anthelmintic treatment and purgation. The adult worms of C. sinensis may be paralyzed by praziquantel and then discharged passively through bile flow in the bile duct and by peristaltic movement of the bowel.

건설 프로젝트 데이터 특성을 반영한 기준생산성 산정 방법 (A Method of Calculating Baseline Productivity by Reflecting Construction Project Data Characteristics)

  • 김은서;김준영;주선우;안창범;박문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11
    • /
    • 2023
  • 건설업은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성능과 생산성의 변동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계약자의 실제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기준생산성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산출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존 문헌에서 주로 제시된 기준생산성 산출 방법은 주관성이 내재된 기준을 사용하여 기준생산성을 산출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에 과도한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는 기존의 'Five-minute Rating'과 같은 데이터 수집 방식으로는 공사 현장에서 실적 물량, 실적 자원과 저해 요인이 포함된 Detailed Data를 수집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nimpacted Productivity BP를 산출할 때 활용되는 Detailed Data를 체계적인 형식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작업 체크시트 와 과도한 비용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기준생산성 산출 방법의 객관성과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교 분석하여. Detailed Data를 활용한 보다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Unimpacted Productivity BP를 활용한 기준생산성 산출을 제안한다.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위한 학습 경험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for Learning Experiences in Learner-Centered Customized Education)

  • 김상우;이명숙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59-165
    • /
    • 2024
  •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위한 지능형 학습활동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전체 체계를 연구하였다. 학습활동 데이터수집 표준인 xAPI, Caliper analytics, cmi5의 특징들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러한 표준화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표준화되지 않은 학습활동 데이터도 모두 빅데이터로 저장되어 인공지능 학습분석을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 유형 정의, xAPI 적용한 학습데이터 표준화, 빅데이터 저장, 학습분석(통계 기반 및 AI 기반), 학습자 맞춤형 서비스인 5개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학습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체 체계를 3개의 단계로 나누어 구현하고 실행하면서 설계에서 부족한 부분을 수정·보완할 것이다.

산난계의 유전적 모수 추정과 조기선발효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and Selection Efficiency on Early Part-record for Improving Egg Production in Layer)

  • 이득환;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8
    • /
    • 1988
  • 산난종계의 주요 경제형질인 산난양의 개량은 단기검정에 의한 조기선발이 실용화되고 있는 바 산난수에 대하여 조기선발 하였을 경우 조기선발의 최적시기 및 조기선발에서 기대되는 상관적 선발효율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계통의 일반능력을 조사란 평균치는 초산일령에서 150.5 일과 159.1 일이었고 조기산란수는 W계통에서 후기산란수는 B계통에서 더 많이 산란하였고 총산란수는 두 계통 모두 272개로 비슷하게 산란하였다. 2. 초산일령과 산란수에 대한 유전력 및 표준오차 추정치는 두 계통에서 전자매분산성분으로 추정하였을 때 $0.37\pm0.09$~$0.49\pm0.10$$0.18\pm0.10$x~$0.33\pm0.08$로 추정되었다. 특히 산란수에 대한 추정치는 W계통은 모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B계통에서는 부분산성분에 의한 추정치가 더 높았고 두 계통 모두 후기산란수에 대한 유전력보다 조기산란수에 대한 유전력이 더 높게 추정되었다. 3. 각 조사형질들 간의 유전상관 및 표준오차의 추정결과는 W와 B계통에서 전자매공분산성분에 의하여 추정하였을 때 조기산란수와의 유전상관에 있어서 후기산란수는 $0.46\pm0.15$$0.39\pm0.16$, 총산란수는 $0.77\pm0.07$$0.76\pm0.08$ 초산일령은 -$0.77\pm0.06$$-0.82\pm0.05$이었고 후기산란수와는 총산란수는 $0.92\pm0.03$$0.89\pm0.04$로 비교적 높게 추정되었으며 초산일영령 $-0.11\pm0.17$$-0.15\pm0.18$로 미약한 원의 상관을 보였다. 총산란수와 초산일령과의 유전상관은 W계통에서 $-0.41\pm0.13$과 B계통에서 -$0.50\pm$0.13으로 모두 원의 상관을 보여 산란수에 준한 선발은 초산일영을 단축시킨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4. 선발효율의 추정결과는 초산 시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수에 의하여 선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1.69와 1.80) 이 시기의 산란수에 의하여 선발하였을 경우 초산일령과의 견전상관을 고려할 때 초산일영을 크게 단축시킬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초산일령의 단축으로 인한 난중의 감소 및 자료수집에 필요한 경비 등을 고려할 때 31주령 이후, 특히 31주령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기녹에 의하여 선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문헌각과 문헌각서목의 분석 -숙종조의 문화적 배경을통한 한국본 서고의 연구- (A Study of the Munheongak and Munheongaksomog)

  • 남권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147-183
    • /
    • 1984
  • This is an analytical study on Munheongak (文獻閣) and it's catalogue. The major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get a recognition of Munheongak under the culture of Sukjong (肅宗) period in Korean library history. Most of early studies made on such a category have been concentrated on Jiphyunjeon (集賢殿), Hongmungwan (弘文館), Kyujanggak(奎章閣) and their backgrounds. In this study, the author has invest gated Kungwolji (宮闕志), Munheongakseomg (文獻閣書目) and other materials related to this subject.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unheongak was established by king Sukjong in the 26th year of his reign. According to some records of Kungkwolji, the reason of establishment of the library was to arrange the collection in the Sango (相庫) consisted of various kinds of materials. In case of books, most of them turned out to be Korean books. 2. Munheongak was sited to the estern side of Kyunghyundang (景賢堂), which was located on the Kyungdeokgung (慶德宮). After Youngjo (英祖) the place was called Kyungheuigung (慶熙宮) so as to avoid the name of the precedent king. But these days, both the buildings are not to be found. 3. After its establishment, the library could not play the role as a library because of the then political situation and sectionalism. During the period of the revival of the learning from Youngjo till Jeongjo(正祖) the function of the library was in a stagnant state. Kyujanggak played the part in its place. 4. Referring to the collection management, the Munheongakseomog is equipped with 101 titles, 2,525 volumes, which are arranged by means of the traditional Chinese classification system. 5. The classification scheme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hinese classification system which might divide all subjects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Confucian classics division, Historical documents division, Master's division, and Collection of literature division. Some illustrations reveal that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directly influenced by Seogoseomg (書庫書目) : the influence reflected in the classes for the translated literature and writings, poems, genealogy about kings, etc. But some subdivisions such as a class of Annals, Historical Epcerpts were omitted in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did not strike the balance in the system in terms of the present theory of classification. Most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s were also influenced by Seogoseomog but some elements were partly omitted. 6. The special feature of the collection building is the absence of books in Collection of literature division except only three kinds of books in examining the Munheongakseomog. Since this is rather a comprehensive study for such aspects as historical backround, catalogue, and cultural environment of Munheongak and its related record, it is advised that further and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made.

  • PDF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에 나타난 명승자원 연구 (A Study on Scenic Sites Introduced in 『Joseon MyungSeung Sisun (朝鮮名勝詩選)』)

  • 이창훈;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
    • /
    • 2017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초기에 한반도 내 명승지를 소개할 목적으로 발간된 나루시마 사기무라[成島鷺村]의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에 수록된 명소들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책을 집필한 의도와 과정을 살피기 위해 서문(序文)과 예언(例言)의 내용을 해석하고, 본문에서 소개하는 약 1700개소의 명승지의 유형, 분포,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문경관이 자연경관의 2배 이상 소개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경관유형으로는 불교유적, 누 정, 명산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 "조선명승시선"은 우리나라선인이 작성한 시문(詩文)의 내용을 활용하여 전래 명승지로써의 개념을 확장하고자한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일제강점기라는 전환기적 상황을 배경으로 근대 성격을 갖는 근대공원, 근대기념물, 해수욕장, 기차역 등이 사람들에게 새로운 명소로 소개되는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범위 선정에 있어 명승지의 인식이 변모하는 일제강점기 전과 후 사정을 전체적으로 다루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 시기에 한반도 내 명승이 소개되는 여타 문헌에 대한 비교 분석의 연구 등은 추후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버전 기반의 공간 레코드 관리를 위한 쓰레기 처리 기법 (Garbage Collection Techniques for Version Based Spatial Record Management)

  • 김희택;김명근;김호석;배해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58-60
    • /
    • 2004
  • 다중버전 알고리즘은 다수의 버전에 대한 접근을 통해 검색 연산이 갱신 연산 때문에 대기하거나. 갱신 연산이 검색연산 때문에 대기하는 문제점을 제거하여 트랜잭션의 동시성을 향상시킨다. 이런 다중버전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위한 버전 기반의 공간 레코드 관리기법이 제안되었다. 버전 기반의 공간 레코드 관리기법은 공간 레코드의 속성 데이터 버전과 공간 데이터 버전을 따로 생성 및 관리하는 기법이다 하지만 하나의 공간레코드를 위하여 털러 개의 속성 데이터 버전과 공간 데이터 버전을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저장 공간의 부하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버전 기반의 공간 레코드 관리 기법에서 저장 공간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검색 트랜잭션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공간 레코드 버전을 찾아 제거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은 트랜잭션 완료 시 제거될 버전의 후보를 선정한 후, 진행중인 트랜잭션의 타임스탬프와 제거될 버전의 타임스탬프를 비교하여 향후 검색 트랜잭션이 사용하지 않는 대전을 제거하여 저장 공간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기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