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soning

검색결과 2,542건 처리시간 0.034초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y majors on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 Lee, Sun-myung;Chae, Joo-hyun;Sung, I-sul;Lee, Soo-jin;Moon, Soo-bin;Park, Da-hee;Park, So-hyun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93-1501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of CIST evaluation and to find out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gnitive tool.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occupational therapy majors at M University located in Gyeongsangnam-do. The data collection from May to June 2021. Total of 25 copies of the data were finally analyzed, SPSS Statistics 26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level was visual reasoning 1 test strip and the visual reasoning 1 to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spondence 1 figure simulation sheet and the figure simulation tool for each item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correspondence 2 visual reasoning 2 sheet. Visual reasoning 2 sheet and visual reasoning tool also showed tha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for visual reasoning 1 sheet and the visual reasoning 1 tool, reasoning 2 tool and visual reasoning 1 sheet, and the visual reasoning 2 tool and the verbal reasoning sheet. Conclusion: In this study, in the CIST items that may be difficult, it is better to attach the actual tool rather than the verbal explanation of the test pap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est and the understanding of subjec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t was implemented by applying the tool, and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tool in the visual reasoning item showed a high correlation by item. Furthermore, based on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suggest a method to control the difficulty of each subject of the cognitive evaluation tool, and to prepare a standard for future research.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비교' 상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Proportional Reasoning Understanding of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ocusing to 'comparison' situations-)

  • 박지연;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5-129
    • /
    • 2016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과정은 수학적 추론,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소통의 형태로 강조되고 있으며, 수학적 추론의 한 형태인 비례 추론은 비와 비율 개념과 관련된 추론이다. 비례 추론은 초등학교 수학에서 규칙성 영역의 핵심이면서 중등수학에서 학습하는 함수 개념의 기본이 된다. 본 연구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사이에 놓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례와 관련된 형식적인 알고리즘을 배우기 전 단계에서 비례 추론의 특징과 유형을 분석해봄으로써 비례 추론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과 오류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비례 추론 문항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비와 비율을 학습하기 전후에 비례 추론 관련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또 어떠한 오류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그 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문제의 조건과 유형에 따라 다양한 비례 추론 전략을 활용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곱셈적 추론 수준에 있으며, 비례 추론 검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전략으로는 분수 전략과 간비교, 내비교 전략 등이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상대적인 비교를 필요로 하는 문제의 경우 문제의 이해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을 나타냈다. 따라서 절대적 상대적 변화를 비교하는 수준에 이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비례 추론 문항 개발이 요구되며, 이와 함께 비례 추론 상황을 포함하여 지도할 수 있는 교수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과학적 추론 능력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 Korean and the US College Students)

  • 전우수;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7
    • /
    • 1999
  • 최근의 보고에 따르면 우리 나라 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과학적 수준은 반대로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고등학교 이후 집단의 과학적 추론능력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가설검정능력과 관련된 과학적 추론은 가장 고등한 인지기능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고, 또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에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과학적 추론 능력을 조사하고, 이를 미국 대학생들의 과학적 추론 능력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가설 검정능력이 과학적 추론능력의 다른 하위요소에 비해 고등한 추론기능이라는 가설도 검정하였다. 고등학교 이후의 과학적 추론에 대한 경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생 774명과 미국의 대학생 568명에게 과학적 추론 검사를 실시하여서 비교 분석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가설검정능력이 과학적 추론의 다른 하위요소에 비해 고등한 추론이라는 가설도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과학적 추론 검사는 보존논리, 비례논리, 변인통제, 확률논리, 상관논리, 그리고 가설검정기능에 관련된 127개의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대학생들이 비례 및 확률논리를 평가하는 과제에 대해서는 미국 학생들보다 월등하게 높은 접수를 기록하였고, 보존이나 변인통제, 그리고 상관논리를 평가하는 과제에 대해서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설검정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에서는 양국 모두 다른 과학적 추론 과제에 비해서 뚜렷하게 낮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이들 결과에 대해서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해서 논의하였고 이의 교육적 적용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초등학생들의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과학적 추론의 학년별 차이 (Scientific Reasoning Differences in Science Writ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rades)

  • 임옥기;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39-85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과학적 추론의 학년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 글쓰기 활동지와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국가수준의 성취도 평가 중상위 수준의 서울 지역의 한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 학생들에게 개발한 과학글쓰기활동을 하도록 하여, 총 320명의 과학 글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3학년 학생들의 글 중 52%, 4학년 학생들의 글 중 68%, 5학년 학생들의 글 중 85%, 그리고 6학년 학생들의 글 중 89%가 과학적 추론을 포함하고 있었다. 초등학생들이 쓴 과학 글에는 귀납적 추론, 연역적 추론, 귀추적 추론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과학적 추론이 포함되어 있었다. 귀추적 추론이 나타난 글은 귀납적 추론이나 연역적 추론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그리고 과학적 추론 수준에서는 각 과학적 추론 유형별로 3 수준의 글이 가장 많았다.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에서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점 높은 수준의 글을 썼으나, 귀추적 추론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별로 귀납적 추론, 연역적 추론, 귀추적 추론에 의한 글이 모두 나타났다.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학년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귀추적 추론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학년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학년의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 수준은 다른 학년과 비교하여 많이 낮은 편이었다.

The Effects of Children's Metastrategic Activities on Strategies to Control Variables at a Scientific Reasoning Task

  • Jang, Myoung-Duk;Yang, Il-Ho;Jeong, Jin-Wo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4-16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tastrategic exercise on a scientific reasoning strategy to control variables, and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atterns in the strategy usage within a given period. Two groups composed of 90 fifth grade students engaged in a scientific reasoning task over six daily sessions. Additionally, one group engaged in metastrategic exercise on fictional students' strategies of controlling variables on the task, while the other spent equivalent time on an unrelated task. Based upon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the metacognitive exercise on the strategy to control variables has positive and long-standing effects on the strategy performance at the reasoning task. The exercise also takes effect of near-transfer. Taking into consideration only about sixty minutes of metastrategic practice, the results provide the validity of the activity in order to develop children's reasoning strategies. Second, in a scientific reasoning task, each child seems to go through one out of two developmental patterns in their usage of reasoning strategies: gradual change or fundamental change. Considering the ratio of pattern of fundamental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it is clear that the metacognitive exercise influences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strategy usage.

혼합 공간 추론 알고리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ybrid Spatial Reasoning Algorithm)

  • 남상하;김인철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5호
    • /
    • pp.601-608
    • /
    • 2015
  • 미국의 Jeopardy! 퀴즈쇼와 같은 DeepQA 환경에서 인간을 대신해 컴퓨터가 효과적으로 답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지식 베이스와 빠른 시공간 추론 능력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 및 위상 관계 추론을 위한 효율적인 공간 추론 방법 중 하나로, 혼합 공간 추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알고리즘은 전향 추론과 후향 추론을 결합한 혼합 추론 방식을 취함으로써, 불필요한 추론 계산을 줄여 질의 처리 속도도 향상될 뿐 아니라 공간 지식 베이스의 변화에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구현한 혼합 공간 추론기와 샘플 공간 지식베이스를 이용하여 성능 분석 실험들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혼합 공간 추론 알고리즘의 높은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호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임상적 추론, 임상적 판단 개념의 고찰 (A Review for Concept Clarification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Education)

  • 이동숙;박지연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78-387
    • /
    • 2019
  • Purpose: This article is a comprehensive review for concept clarification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which still lack a consensus and are of mixed use. Methods: Norris's method of concept clarification was used to review concepts that have no clear definition or conceptualization yet. Results: This review summarized literature from various disciplines, classified each concept based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provided hypothetic conceptual schema. Conclusion: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are clinical situation specific concepts, while critical thinking is a concept applied in general situations. Critical thinking is a broader concept and serves as a foundation for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Clinical reasoning precedes clinical judgment. Clinical judgement implies the end point or conclusion of clinical reasoning. Each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is a cognitive and affective process not a psychomotor process. The concept of clinical competency involves action taken after the cognitive processes of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RENE LAENNEC'S SYNDROME-BASED CLINICAL REASONING

  • Berezutskyi Volodymyr
    • 셀메드
    • /
    • 제14권2호
    • /
    • pp.4.1-4.4
    • /
    • 2024
  • The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which is the basis of medical education, is of great importance in medical universities. One of the founders of modern structural clinical reasoning, based on the knowledge of pathological physiology, is the inventor of the stethoscope Rene Laennec (1781-1826). He described the pioneering experience of clinical reasoning in the pages of his treatise A Treatise on the Diseases of the Chest and on Mediate Auscultation, which is of lasting value, since every rookie physicians in his professional development goes through the path of Laennec. Laennec's practice is of great importance for novice physicians since Laennec's treatise contains a diagnostic analysis of the most common clinical cases. Each such analysis demonstrates the algorithm of clinical reaso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pproaches of clinical reasoning by René Laennec, which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two basic principles. Laennec's diagnostic reasoning involved two principles: pathogenetic analysis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a syndrome-based approach to differential diagnosis. These principles help distinguish between diseases with similar symptoms and physical findings are used to demonstrat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yndrome-based differential diagnosis. These principles can be easily mastered by understanding the pathogenesis of clinical manifestations. Thanks to the pathogenetic basis, the principles of clinical reasoning of Rene Laennec are universal and applicable to the analysis of any signs of the disease: not only physical but also laboratory and instrumental.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초등교사들의 통계적 추론 분석 : 질문 생성 단계를 중심으로 (Statistical Reasoning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gaged in Statistical Problem Solving: Focused on Question Posing Stage)

  • 이은정;박민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2권4호
    • /
    • pp.205-221
    • /
    • 2019
  • 이 연구는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중에 설문지 질문 생성 단계에서 나타나는 예비초등교사들의 통계적 추론을 조사하고 이것이 이후 단계들에서의 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4개 조의 교육대학교 2학년 학생들 80명이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을 직접 실행하고 통계 보고서를 작성하였으며, 그 중 22개 조의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설문지 질문 생성 단계에서 예비교사들의 9가지 통계적 추론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그 중 질문 명확화 지향 추론과 변이 기반 추론은 기존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았던 추론이었다. 또한, 설문지 질문 생성 단계에서의 통계적 추론이 이후 단계의 활동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료 분석 및 결론 단계에서 예비교사들이 보고서에 기술하였던 어려움 및 이슈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의 어려움이 설문지 질문 생성 과정에서의 모집단 관련 추론, 범주 수준 추론, 표준화 추론, 질문의 일관성 지향 추론, 질문 명확화 지향 추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질문 생성하기 단계에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는 점에 비추어보면, 본 연구 결과는 질문 생성 단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통계적 추론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질문 생성 단계에서 적절한 통계적 추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교수 방안들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 수학 교재에서 활용되는 추론 분석 (Analyses on the reasoning in primary mathematics textbooks)

  • 서동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59-178
    • /
    • 2003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재에서 정당화 과점이나 문제 해결 과정에서 활용되는 추론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한 가지 전형적인 예에 대한 국소적 연역 추론이 가장 전형적인 특징으로 드러났으며, 사각형에 대한 몇 가지 명제는 연역 추론으로 정당화할 뿐 아니라 일반성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열거에 의한 귀납 주론은 그리 많이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구체물을 통한 유추가 밭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형적인 한 가지 예에 대한 설명은 Miyazaki가 제시한 예에 의한 설명이나 Semadeni가 제시한 활동 증명과 유사한 면을 지니고 있지만, 학생들의 학년 단계가 높아지더라도 계속 낮은 수준 머물러 있는 점이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또한, 사각형의 일반적인 성질을 다루는 몇몇 명제는 Piaget의 이론에 비추어 너무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한으로서 보다 점진적인 추론의 지도를 제안하였는바, 전형적인 예에 대한 경험적 정당화, 전형적인 예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추측의 구성, 다양한 예에 대한 추측의 타당성 조사, 일반성에 대한 스키마 형성, 함의 관계의 이해를 위한 기초 경험의 다섯 가지 수준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