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y-to-eat agricultural produc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Prevalence and Thermal Stability of Enterobacter sakazakii from Unprocessed Ready-to-Eat Agricultural Products and Powdered Infant Formulas

  • Jung, Mi-Kyoung;Park, J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52-157
    • /
    • 2006
  • Enterobacter sakazakii, designated as an unique microbial species in 1980, may cause bacteremia,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infant meningitis. The distribution and the thermostability of E. sakazakii in unprocessed ready-to-eat (RTE) agricultural products of 252 and in 25 powdered infant formulas (PIF) were analyzed. Eighty one, 50, 43, and 47% of brown rice, pumpkin, potato, and carrot samples, respectively, had aerobic plate counts (ARC) in the range of 5 log CFU/g or more. Almost all the other products sampled had APC of approximately 2 log CFU/g. Fifty three, 75, 67, and 68% of banana, pumpkin, soybean, and carrot had Enterobacteriaceae counts approximating 3 log CFU/g. Sixty six percent of the brown rice tested had Enterobacteriaceae counts approximating 5-6 log CFU/g. E. sakazakii was isolated from 3/25(12%), 4/23(17%), 1/24(4%), and 1/27(4%) of PIF, brown rice, laver, and tomato samples, respectively. D-values were 3.52-4.79 min at 60 and $D_{60}-values$ were similar as the isolates reported. Thermal inactivation of four thermovariant E. sakazakii strains during the rehydration of PIF with hot water were investigated. At $50^{\circ}C$, the levels of E. sakazakii decreased one log CFU/g for 4-6 min and thereafter the levels remained stable for 20 min. At $60^{\circ}C$, inactivation by about 2 log CFU/g occurred for 20 min. Therefore, the un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might be a source of contamination for PIF when used as an ingredient after drying and pulverization. Rehydration of PIF for infant feeding with a water temperature of $60^{\circ}C$ rather than $50^{\circ}C$, as recommended by the manufacturers, may be helpful in the reduction of potential E. sakazakii risk.

Types of Home Meal Replacement and Determinants of Consumption in South Korea

  • Ahn, Kyeong Ah;Choe, Young Chan;Cho, Hye Bin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6권2호
    • /
    • pp.1-12
    • /
    • 2014
  • HMR is a home-style food product designed for convenience and cooked outside the home leaving out cumbersome cooking process and consumed at home. The present paper aims to find out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HMR by analyzing data on food consumption during the 3 years between December 2010 and November 2013.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of Costa et al. (2001), this study categorized HMR products as 3 types as follows: C1 (ready to eat), C2 (ready to heat) and C3 (ready to cook), and examined factors affecting purchase rate and per capita purchase price for each type of HMR product.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 that only the purchase rate of C3 products was influenced by whether the purchaser was housewife with job or not. For those who do not live together with parents, per capita purchase price for HMR was high; and the more they ate out, the higher the purchase rate of HMR was.

유통중인 파프리카, 딸기 및 토마토의 생물학적 위해요소 분포 조사 (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Paprikas, Strawberries and Tomatoes in the Markets)

  • 유용만;윤영남;;차광호;이영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4-181
    • /
    • 2009
  •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즉석섭취(ready-to-eat) 농산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 농산물중 파프리카, 딸기, 토마토 등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출 농산물로서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대전시내 2개 백화점과 2개 대형할인점에서 유통 중인 파프리카, 딸기 및 토마토를 대상으로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식중독 유발 세균 및 기생충의 오염 수준을 배지 배양법, multiplex PCR, 상업용키트 및 현미경으로 조사하였으며, 또한 세척방법별 세균 감소율을 평가하였다. 유통중인 파프리카, 딸기 및 토마토의 평균 총호기성균 수는 $1.3{\times}10^4{\sim}1.8{\times}10^5$CFU/g, 평균 대장균군의 수는 $1.4{\times}10^3{\sim}9.6{\times}10^3$CFU/g 범위이었으며, 세균 오염 정도는 매장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호기성균 및 대장균군의 오염 정도는 딸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딸기에서 미확인 기생충 충란이 발견되었다. 조사한 농산물에서 가장 흔히 분리되는 세균은 Enterobacter cloacae 이었으며, 식중독 유발 세균중 Staphylococcus aureus가 딸기에서 발견 되었으나 그 외의 식중독 유발 세균은 분리되지 않았다. 딸기를 대상으로 세척방법별 세균 감소율을 조사한 결과 수돗물로 5회이상 세척시 일반세균의 80%이상을 제거할 수 있었으며 야채용 세제를 사용하거나 초음파 세척시 세균 감소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파프리카, 딸기 및 토마토의 세균 및 기생충의 오염 정도를 조사한 결과 딸기에서 가장 많은 생물학적 오염을 보였으며, 이들 농산물들의 생물학적 오염 정도는 구입 매장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샌드위치 제조 사업장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Assessment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ing Company of Sandwich Products)

  • 김지영;김세리;최진길;제정현;정덕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6-323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for the processing of sandwich products in the middle of Gyeongnam province from December 2004 to January 2005. A total of 85 samples were collected from 5 sandwich shops. These samples were tested sanitary indication bacteria, such as aerobic Plate count(APC), coliforms, and Escher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As a result of APC and coliform count ranged 0-4.59 $log_{10}$ CFU/(ml, g, 100 $cm^2$, hand) and 0-3.86 $log_{10}$ CFU/(ml, g, 100 $cm^2$, hand), respectively. Especially, the highly contaminated items for APC were confirmed 1.64-4.59 $log_{10}$ CFU/g to employees', raw materials and sandwich in all items. Escherichia coli was isolated from 5 sample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detected in 1 sample and 11 samples from utensil, raw materials and sandwiches, respectively. However,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anywhere. For the production of safety sandwich, education of sanitation for employees, control of raw materials, and continuous monitoring for microorganism will be required.

재배방식에 따른 딸기의 부위별 세균 오염도 분석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in strawberry parts according to their cultivation methods)

  • 유용만;김진원;최인욱;윤영남;이영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23-329
    • /
    • 2013
  • 딸기는 다양한 효능을 보일 뿐만아니라 맛과 영양까지 뛰어나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대표적인 즉석섭취 농산물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딸기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본 연구는 딸기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논산시내 12개 딸기 농장에서 채취한 1,020개의 표본(열매, 줄기, 잎 각각 340개씩)을 대상으로, 재배방식(양액재배, 무농약재배, 유기농재배) 및 딸기의 부위에 따른 총호기성균, 대장균군/대장균을 정량적 분석하였다. 또한 식중독 유발세균인황색포도상구균,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오염 여부를 정량 혹은 정성 분석하였다. 딸기 표본의 총호기성균 수는 2.3~6.8 ${\log}_{10}$ CFU/g 범위이었으며, 대장균군은 전체 표본의 14.2%에서 검출되었고 양성 표본의 대장균군 수는 2.1-4.5 ${\log}_{10}$ CFU/g 범위이었다. 대장균은 전체 표본중 1.0%에서 검출되었고, 양성 표본의 대장균 수는 2.1-2.8 ${\log}_{10}$ CFU/g 범위이었다. 딸기의 재배방식별로 분석시, 총호기성균 및 대장균군의 수는 양액재배 혹은 무농약재배에 비하여 유기농재배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으나(p<0.05), 대장균은 무농약재배와 유기농재배에서 유사하게 검출되었고 영양재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딸기를 3개 부위(열매, 줄기 및 잎)로 나누어 호기성균 및 대장균군/대장균 수를 분석시, 이들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딸기에 부착되어 있는 식중독 유발 세균을 조사한 결과, 1,020개의 표본중에서 유기농재배 농가 표본 2개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그 외의 Salmonella spp., Listeria spp., E. coli 0157:H7은 모든 표본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딸기의 재배 방식에 따라 위생지표 미생물의 오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재배 방식에 적합한 세균 오염 저감화 대책이 요구됨을 시사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