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time

검색결과 900건 처리시간 0.031초

매체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읽기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Media Type)

  • 노경국;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21-240
    • /
    • 2023
  • 이 연구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원주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매체별 읽기 성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매체 유형에 따른 읽기 자료의 완독 시간과 내용 이해도를 묻는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동일한 기사 내용을 3개 모둠으로 나누어 각각 매체 유형을 달리해 읽는 시간을 측정하고 평가 문항을 통해 매체에 따른 내용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 웹 페이지의 평균 완독 시간은 3분 28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3.99문제였으며, pdf 파일의 평균 완독 시간은 5분 23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4.35문제였다. 또한 인쇄자료의 평균 완독시간은 7분 14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6.26문제로 나타났다. 실험에 참여한 학생 수는 144명으로 연구자의 실험 결과만으로 매체 유형에 따른 읽기 방식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노인들의 글 읽기에서 나타나는 눈의 움직임 양상과 읽기 노출의 필요성 (Effect of word frequency in sentence reading of older adults with rich reading exposure)

  • 주혜리;고성룡
    • 인지과학
    • /
    • 제34권2호
    • /
    • pp.67-84
    • /
    • 2023
  • 이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대한민국 노인들(만70-75세)을 대상으로 읽기 노출 정도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문장 읽기 안구운동 추적 실험으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젊은 성인(만20-28세)과 전반적인 글읽기 양상과 단어 빈도 효과를 비교하고자 했다. 나아가 글읽기 노출이 많은 노인들과 글읽기 노출이 적은 노인들의 안구운동 추적 실험 결과를 통해 글 읽기 수행의 어려움이 노화가 아니라 읽기 노출에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실험 결과, 글읽기 노출이 적은 집단은 젊은 성인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눈이 머무르는 고정시간이 길고 눈의 건너뛰기는 짧았고, 글읽기 노출이 많은 노인 집단은 젊은 성인 집단과 동일한 읽기 양상이 나타났다. 모든 집단에서 단어 빈도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읽기 노출이 많은 노인 집단, 읽기 노출이 적은 노인 집단 순으로 고정시간이 짧게 나타났다. 또한 글 읽기 노출에 따른 두 노인 집단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지만, 젊은 성인 집단과 글읽기 노출이 많은 노인 집단 차이에서 상호작용을 확인 할 수 없었다. 이는 나이 그 자체가 글 읽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노인들의 읽기 노출의 경험이 글 읽기 수행에 영향을 준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반복 읽기를 이용한 수학 학습의 과정 분석: 시선의 움직임 추적과 심박수 측정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process of learning mathematics by repeated reading: Eye tracking and heart rate measurement)

  • 이봉주;이세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59-81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수학 텍스트를 반복하여 읽을 때 나타나는 수학 학습 과정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수학 학습 방법으로써 반복 읽기의 효과를 점검하고 보다 효율적인 반복 읽기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반복 읽기 수학 학습에는 국립대학교 수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수학교사 8명이 참가하였다. 예비 수학교사는 각각 4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그룹에 따라 서로 다른 4개의 주기로 총 3회 반복 읽기를 시행하였다. 수학 학습 자료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 수학교사의 시선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회차별 총 읽기 시간, 슬라이드별 총 읽기 시간, 각 회차와 슬라이드별 총 읽기 시간의 변화 추세, 슬라이드 읽기 순서, 회차별 심박수 변화 추세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 번째 읽기에서는 참가자의 대부분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두 번째와 세 번째 읽기에서는 개별 학습자에 따른 읽기 패턴의 변화가 보다 다양하게 드러났다. 또한, 첫 번째 읽기에서 반복 주기와 무관하게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후 반복적 읽기 시간에서는 개인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서 도출한 가장 중요한 결론은 반복 읽기를 통한 자기 주도적 수학 학습은 주기와 관계없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반복 읽기 교수·학습 전략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네 가지 전략을 제안하였다.

유치원 대집단 읽기 활동과 자유 놀이 시간에서의 이야기 책에 대한 접근 관점과 그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Korean Kindergarten Children's Reading Stances and Responses in Two Contexts: Official Reading Tasks and Spontaneous Reading Activities)

  • 권민균
    • 아동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3-162
    • /
    • 1997
  •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of young Korean children's reading stances and responses to children's books and discusses their literacy development in relation to school reading experiences. Rosenblatt's theory (1978) of aesthetic and efferent stances is used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A teacher's reading stances in the official school world are analyzed and their relationships to children's stances and responses are discussed. The teacher's efferent stance encouraged her children's responses to he efferent as well. It also influenced children's assumptions and expectations about the teacher's reading activities, so that the children came to view these activities only as ways of obtaining factual knowledge and practicing literacy skills. The children's own interests and intentions during free play time are described in order to understand children's reading stances in the unofficial school world. The children showed various types of stances during free play time even though they were encouraged to take only one type of stance, i.e., an efferent stance, in the official school world.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for classroom practice and literacy research.

  • PDF

Driving Simulator를 이용한 VMS 메시지 판독시간모형 개발 (A Model for VMS Message Reading Time Using Driving Simulator)

  • 김태형;김성민;오철;김정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4-32
    • /
    • 2007
  • VMS는 도로, 기상 및 교통 상황, 교통규제 상황에 관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안전한 통행을 하도록 하는 시설이다. 그러나 기 구축된 VMS는 판독거리, 소실거리, 인지가능 메시지 수, 정보 당 판독시간 등 인간공학적 특성에 대한 적정한 연구 없이 설치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riving Simulator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량의 VMS 메시지를 표출하고 운전자의 정보량에 따른 판독시간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VMS 메시지 판독시간 모형을 개발하고 보다 효과적인 메시지 설계를 위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PDF

독서에 관한 표어 조사 분석 - 독서의 달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otto of Reading)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5-12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진흥을 위하여 표어의 특징, 유형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고 독서주간과 독서의 달의 표어를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독서표어를 분석해 보면 간결하고 도치된 표어가 많다. 또한 대구와 반복 음절을 쓰고 있다. 또한 청유형과 서술형, 명사형이 많고 국어로 된 단어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반복하여 계속 사용되고 있고 한 시대의 목표와 철학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의류상품 구매후기를 읽는 동기와 인터넷 점포 고객 유형화 (Motives for Reading Reviews of Apparel Product in Online Stores and Classification of Online Store Shoppers)

  • 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82-296
    • /
    • 2012
  • This study identified the types of motives for reading consumer reviews of apparel products for online stores and classified shoppers into the groups based on motives. Data were collected from eleven Korean women by a focus group interview and from 313 females by an online survey. Respondents were in their 20s' and 30s' with significant experience reading consumer reviews of apparel products for online stores. The seven motives found by interviews were reduced to four types of motives by factor analysis: Right product choice and judgment of product value, risk reduction, saving time and money, and fun/killing time. The motive for the right product choice and judgment of product value was the highest and the motive for fun/killing time was the lowest.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motives: Utilitarian shoppers (25.8%), shopping-task oriented shoppers (36.8%), multiple-motive shoppers (19.7%), and moderate-motive shoppers (17.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and the amount of reading reviews posted on a product and the duration of reading reviews for online stores. In addition,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eveloped.

웹기반 과정 중심 독서 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rocess Oriented Reading Education System)

  • 엄정화;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7-6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독서교육 시스템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웹기반 독서교육 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강화 및 독서 흥미를 높이는 데는 효과적이었으나 독서의 결과 지도에만 치중하여 장시간을 요하는 독서 과정에서 웹기반 시스템의 활용도는 극히 미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독서교육을 읽기 전, 읽는 중, 읽은 후의 활동으로 세분화하고 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웹기반 독서 전략들을 개발하여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전문가 협력학습, 문제해결학습 등 국어과의 교수-학습 유형에 따른 전략의 적용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정규 교과 시간의 독서 지도가 활성화 되도록 하였다.

  • PDF

초등학생 때 독서 습관이 중학생 때의 독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Reading Habi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Read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 한다혜;이국희
    • 감성과학
    • /
    • 제24권3호
    • /
    • pp.61-7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시기의 독서선호도와 독서습관이 중학생의 독서 행동에 각각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학년이 올라감에 따른 독서량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독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초등학교 6학년 시절의 독서습관과 독서선호도를 조사한 후, 평균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었다. 또한 참가자들은 6주 동안 매주 1회 독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20분 이상 독서한 날 수와 독서 시간을 분 단위로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참가자의 초등학교 6학년 시절 75% 이상이 일주일에 1권의 책을 보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책을 많이 읽는 것과 좋아하는 것은 다른 차원의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 중 책을 좋아한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책을 거의 읽지 않는 사람이 약 35%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초등학생 시기에 형성된 독서 선호도보다 독서 습관이 중학생의 독서한 날수와 독서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더 강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즉, 초등학생 때 독서 습관이 높은 수준으로 형성된 중학생은 중학생이 돼서도 책을 자주 읽고 독서에 더 오랜 시간 집중하지만, 독서 습관이 낮은 수준으로 형성된 경우 중학생이 돼서도 책을 읽지 않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독서에 대한 주관적 태도와 실제로 책을 읽는 행동은 전혀 다른 문제임을 보여준다.

동화의 정독적 반복 들려주기와 다독적 한번 들려주기에 따른 유아의 흥미도와 이야기 구조화 (Effectiveness of Intensive Versus Extensive Reading of Children's Stories)

  • 손혜숙
    • 아동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69
    • /
    • 2004
  • The question addressed by the present research was whether repeated, careful reading of a few stories(Intensive Reading)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one-time reading of many stories(Extensive Reading). Unfamiliar stories were read to 105 kindergarten children from typewritten sheets of paper for 40 days(about 10 weeks). The Intensive Reading group heard 5 stories and the Extensive Reading group heard 40 stories. Effectiveness was measured by interest level during story telling and by narrative structure. Test scores were analysed by ANCOVA.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2 groups; however, as a new area of study it could serve as a catalyst for research on story telling meth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