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culture promotio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1초

A Case Study on the Bibliotherapy Class -Focusing on Lee Chung-jun's novel Snowy Road -

  • Hae Rang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30-35
    • /
    • 2023
  • This study is an example of a class of bibliotherapy through Lee Chung-joon's novel Snowy Road. Bibliotherapy proceeds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catharsis, output, insight, and application through reading. Through research, students objectively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character in the novel and compare it with their own situation. Students evaluate the situation of the character in the novel, experience the various life positions of the character in the novel by answering "What would you do if I were a character in the novel," and express their willingness to live differently from their lives. At the same time, I look into my relationship with my parents and seriously think about whether there is a problem and how to solve it if there is one. Through this process, students specifically suggest ways to think about and solve their emotions and problems. In the end, students' hurt feelings can be partially or sufficiently healed through readi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of bibliotherapy will be more concrete and develop in a positive direction.

경기도 책꾸러미 사업을 통한 양육자의 독서육아 효과 분석을 위한 지표개발 및 효과성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Indicatives for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Book Sharing Project on pre-schoolers of Supporter' Reading Care in Gyeonggi-do)

  • 최인자;윤성은;김수경;황금숙;이선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33-155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도 경기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에서 양육자의 독서 육아의 효과를 분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표를 개발하고 효과성을 분석한 뒤 향후 경기도 독서문화 진흥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사업은 소외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 대상의 독서 복지를 위해, 기관과 가정이 연계하여, 가정에 책꾸러미를 정기 배송하고, 유아와 양육자를 대상으로 맞춤형으로 개별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양육자의 독서 육아 효과 분석을 위한 측정지표는 가정 문식성, 부모 효능감 이론에 대한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설정되었고, 이후 17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를 통해 델파이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경기도 7개 시군(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양주시)의 양육자 105명을 대상으로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사전/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전/ 사후 효과성을 조사한 결과, 유아 책꾸러미 정기배송 사업의 양육자는 독서 상호작용과 독서 육아 효능감 면에서 향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사업 효과를 고려할 때, 이 정책은 특정 지역을 넘어서 보편적인 조기 유아 독서 복지 정책으로 가정과 기관이 연계한 형태로 지속적인 사업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한 만2세의 그림책 (Exploring Picture Book Reding Ecperiences of 2-Year-Olds Using Sensuous Reading Media)

  • 남기원;이수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59-370
    • /
    • 2023
  • 본 연구는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한 만2세 그림책 읽기 경험이 영아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의미있는 읽기를 통한 언어능력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만35개월 남아를 선정하였고, 자료수집은 가정에서의 참여관찰 및 현장기록노트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3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2개월간 연구대상이 그림책을 탐색하며 놀이하는 시간을 모두 녹화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녹화 시간은 약 20시간이고 수집된 자료를 및 현장기록을 전사한 자료는 A4 용지 108페이지이다, 연구결과는 만2세 영아의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하여 그림책 읽기 경험을 통해 새로운 매체를 탐색하기, 비슷한 매체와 비교 탐색하기, 매체를 활용한 그림책 읽기에 몰입이 흐름이 나타났으며. 또한 스스로 책을 선택하고 읽는 주도적 읽기의 출현, 읽기 매체를 활용한 탐색, 일상생활 속 그림책과 연계된 놀이로 변화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감각적 읽기 매체를 활용한 만2세의 그림책 읽기 경험이 영아의 읽기 경험에 유의미함을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노인용 큰글자도서 개발을 위한 적정문자 연구 (A Study on the Proper Large Print for the Development of Books for the Elderly)

  • 육근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1-192
    • /
    • 2009
  •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큰글자도서는 저시력자를 위한 교재가 전부였다. 하지만 최근 독서문화진흥법에서 노령화에 인해 독서자료를 이용할 수 없는 사람들도 독서장애인이라고 정의한만큼 향후 노인을 위한 큰글자도서가 더 많이 보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노인용 큰글자도서 개발을 위한 적정문자를 밝히고자 80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하였다. 연구 목적으로 문자 모양과, 문자 크기, 문자의 행간, 도서의 판형 등에 대한 선호도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으로서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참여관찰 등을 통한 질적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Cultural diversity and National identity in English Textbooks of Korea

  • Chang, Bok-M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48-253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nglish textbooks in Korea reflect English education policies for improving the English language learners' cultural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ethod of analyzing English textbooks was used because English textbooks are an important tool that most specifically reflects the English policy of a country.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15 English textbooks currently used in South Korea. We analyzed nouns/pronouns related to culture presented in the reading section included in each unit, and compared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identity included in English textbooks in Ko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uth Korea has tried to cultivate Korean learners' cultural competence through English education and introduced their cultural pride to Western culture to realize the goal of strengthening global capabilities.

유학생 대상의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 방안: 영화 대본 소리 내어 읽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Non-Face-to-Face General English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Reading Movie Scripts Aloud)

  • 이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67-272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에서 영화 대본 소리 내어 읽기가 유학생들의 영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소재 대학에 다니는 유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한 번, 15주간, 애니메이션 라푼젤(Tangled)을 이용하여 교양 영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사의 동영상 수업과 영화 대본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격주로 진행하였다. 교사는 쉬운 한국어로 영화 대사의 어휘 설명 및 해석으로 동영상을 제작하여 학습 관리 시스템(LMS)에 게시하였다. 학생들은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은 줌을 통해 교사의 도움을 받으며 개인별 및 조별 소리 내어 읽기를 하였다. 사후 평가에서 사전 평가 대비 읽기와 쓰기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설문에서는 이해도, 만족도, 흥미도, 추천도의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증강현실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 및 수업 모형 설계 제안 (A Proposal for the Design of Augmented Reality Reading Activity Application and Class Model Based On Nuri Curriculum)

  • 김서영;김태우;이경업;조유빈;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355-360
    • /
    • 2023
  • 최근 디지털의 발달로 아동들은 미디어 매체에 많이 접하고 있다. 독서 활동이 줄어 책에서의 정보를 습득하거나 습득한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증강현실이 접목된 교육이 학습에 대한 아동의 참여도와 몰입도를 높이므로, 우리는 아동의 독서 흥미도와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이 도입된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또한, 5가지의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갈 놀이 중심의 독후활동을 설계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제안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놀이 중심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형 설계에 따른 개념적인 사고의 틀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어린이집을 방문하고 전문가가 참관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참관한 전문가들에게 독후활동 수업 모델 및 운영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미리 제작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리의 수업 모형 설계는 한정된 도서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윤리상의 문제로 아동 대상으로 대규모 실험을 진행하지 못하여 연구의 결과가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 하지만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독후활동 수업 운영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줌(Zoom)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방향 탐색 (Exploiting Directions in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Class Using Zoom)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84-290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효율성을 파악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 가능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확장 가능성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이 한 단계 더 발전해서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교육학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줌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독해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이것이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은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에 대체로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여 주었고 만족하는 이유로는 체계적인 수업 진행 및 수업의 질, 학습의 효율성 등을 제시하였다. 교수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의 확장 가능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방안을 미리 대비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들은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활동을 제시하고 세세한 내용 설명과 빠르면서도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업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국내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선정책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Books Selected in 'One Book, One City' Community Reading Promotion Campaign in Korea)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65-188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03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현황을 정리하고, 특별히 책의 선정과 관련된 경향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국내 1,170개 공공도서관 및 지자체의 홈페이지, 주요한 독서 및 문화관련 기관, 단체의 홈페이지, 지자체와 도서관의 보도자료 및 신문기사 등을 내용분석 및 문헌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립어린이청소년 도서관의 온라인목록을 검색하여, 2021년 기준 지자체 시행 57개 '한 책' 프로그램 및 그동안 '한 책' 프로그램들에서 선정된 책 729종 1,119권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지자체 시행 57개 '한 책' 프로그램과 이들이 2003년부터 2021년 사이 선정한 책들의 분석은 점점 더 많은 '한 책' 프로그램에서 연령별 책의 분산 선정, 책들 간 주제적 연관성 결여, 청소년수준 책, 신간 및 대중적 화제작 문학책의 선호 등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책의 선정 경향은 한 권의 책을 중심으로 한 집중성 결여를 초래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연령층의 지역주민에 대한 가시성 증대 및 관심계층의 확산이라는 긍정적 효과도 기대되었다. 향후 개별 '한 책' 프로그램의 책 선정의 과정, 목표와의 부합성 등에 대한 보다 심층적 분석과 설명이 필요하다.

최신 문화 예술공연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 About Culture And Art Based On Application)

  • 구민정;신예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4호
    • /
    • pp.65-69
    • /
    • 2015
  • 본 연구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최신 문화 관람 및 정보를 제공하는 App을 개발하여 사용자가 문화생활을 즐기고자 할 때 이 DB를 사용하여 각 뮤지컬, 연극, 영화 별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고 또한 리뷰 등록 및 열람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자는 관리자(Administrator)모드로 로그인하여 문화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스템 관리를 원활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User)모드로 로그인을 하여 문화 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감상평을 기록하고 친구그룹의 추천기능을 통해 신뢰할만한 공연정보를 확인하여 여가생활을 문화 활동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