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1 마우스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7초

정상 마우스와 rd/rd 마우스의 망막파형 비교 (Comparison of Retinal Waveform between Normal and rd/rd Mouse)

  • 예장희;서제훈;구용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3호
    • /
    • pp.157-163
    • /
    • 2008
  • 망막색소변성(retinitis pigmentosa: RP)과 연령관련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은 망막변성으로 인해 실명에 이르는 대표적인 질환이며 망막이식장치의 개발을 통해 치료될 수 있다고 간주되고 있다. 성공적인 망막이식장치 개발을 위하여 여러 가지 선결요소가 필요하지만 그 중 한 가지가 이식장치에 인가할 전기자극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변성망막의 전기적 특성은 정상 망막과 다르리라 예측되므로 우리는 장차 개발될 망막 이식장치에 인가할 전기자극 최적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정상 망막과 변성망막의 망막파형 차이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망막을 분리한 후 망막절편을 신경절세포 층이 다채널전극의 표면을 향하게 하여 전극에 붙인다. In-vitro 상태에서 망막 신경절세포의 전기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전극 직경: $30{\mu}m$, 전극간 거리: $200{\mu}m$, 전극 임피던스 1 kHz에서 50 $k{\Omega}$인 8행 8열의 다채널전극을 사용하였다. 생후 28일된 정상마우스(C57BL/6J 종)에서는 짧은 시간대(<2 ms)의 망막 스파이크만 기록되었다. rd/rd 마우스(C3H/HeJ 종)에서는 정상적인 스파이크뿐만 아니라 약 100 ms 의 시간대를 가지는 느린 파형이 같이 기록되었다. 우리는 rd/rd 마우스에서만 관찰되는 이 느린 파형의 기전을 알아보고자 여러 가지 시냅스억제제를 사용하였다. 이 느린 파형은 rd/rd 마우스에서 양극세포로부터 신경절세포로 들어오는 흥분성입력이 정상마우스보다 강화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rd/rd 마우스에서 흥분성입력이 강화되는 여러 가능성 중에서 망막변성으로 인해 수평세포로부터 양극세포로 들어오는 억제성 입력이 소실됨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양극세포로부터 신경절세포로 들어오는 흥분성입력이 강화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

  • PDF

독립성분분석을 이용한 정상 마우스와 rd/rd 마우스 망막파형의 시공간적 분석 (Spatiotemporal Analysis of Retinal Waveform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n Normal and rd/rd Mouse)

  • 예장희;김태성;구용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1호
    • /
    • pp.20-26
    • /
    • 2007
  • 망막질환에 의해 변성된 망막에서는 시냅스 조직의 구성이나 전기적 특성이 정상망막과는 크게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다채널기록법을 이용하여 정상 망막과 변성 망막에서 망막파형을 기록한 후 그 파형을 주성분 분석법과 독립성분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주성분분석법은 망막파형 분석법으로 확립된 방법인 반면 독립성분분석법은 EEG 신호의 분석법으로는 확립된 방법이나 아직 망막파형 분석법으로 사용된 적이 없으므로 본 연구진이 최초로 적용하여 보았다. 본 연구진에 의해 프로그램된 독립성분분석법을 위한 toolbox를 사용하여 시공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상 마우스에서는 독립성분분석법 또한 주성분분석법과 같이 망막신경절세포 파형의 분석 방법으로서의 사용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rd/rd 마우스에서는 독립성분분석법으로 그린 공간지도상에서 다수의 강한 활성과 약한 활성이 혼재되어 나오는 복잡한 양상을 띄었다. 추후 어떠한 기전에 의해 변성망막의 공간지도가 이렇게 복잡한 양상을 띄는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정상망막과 변성망막에서 전압자극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망막신경절세포의 반응 비교 (Comparison of Retinal Ganglion Cell Responses to Different Voltage Stimulation Parameters in Normal and rd1 Mouse Retina)

  • 예장희;류상백;김경환;구용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2호
    • /
    • pp.209-217
    • /
    • 2010
  • 색소성망막염(retinitis pigmentosa: RP)이나 연령관련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과 같은 망막질환으로 인해 실명한 환자를 위해 인공시각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인공시각장치의 동작원리는 전기자극을 주어 신경세포의 활동도를 조절하는 것이므로 시각정보를 제대로 인코딩하기 위해 최적의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것은 인공시각장치의 실용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압자극의 크기와 자극시간을 변화시켜 가면서 정상망막과 변성망막에 인가한 후 자극에 의해 유발된 망막신경절세포 반응을 분석하고 역치전하밀도를 비교함으로써 최적의 전기자극 조건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상마우스와 rd1 마우스의 망막을 in vitro 상태로 분리한 후 망막의 신경절세포층이 전극을 향하여 부착되도록 한 후 망막신호를 기록하였다. rd1 마우스에서 얻은 변성망막의 망막신경절세포에서도 전압펄스를 인가시 정상망막의 망막신경절세포처럼 전압자극의 크기와 자극시간 변조에 대하여 반응하였다. 그러나 정상망막과 변성망막에서 망막신경절세포 반응의 시간적 패턴은 매우 달랐다: 정상망막의 망막신경절세포 반응은 전기자극 후 약 100 ms 내에서 1개의 피크만 나타나는 반면, 변성망막에서는 이보다 긴 400 ms 구간에서 약 10 Hz의 진동리듬을 가진 다수의 피크(~4개)들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성망막에서 망막신경절세포의 반응을 유발하기 위한 역치 전하밀도가 정상망막에서 보다 크게 상승하였다: 자극세기를 변화시켰을 때 정상망막의 역치 전하밀도는 $37.23{\sim}61.65\;{\mu}C/cm^2$, rd1 마우스에서는 $70.50{\sim}99.87\;{\mu}C/cm^2$로 2배가량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자극시간을 변화시켰을 때 정상망막의 역치 전하밀도는 $22.69{\sim}37.57\;{\mu}C/cm^2$, rd1 마우스에서는 $120.5{\sim}170.6\;{\mu}C/cm^2$로 5배가량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밥 중심 식사가 마우스의 체중 및 혈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Rice-Based Diet on Body Weight and Serum Lipid Levels in Mice)

  • 최원희;엄민영;안지윤;정창화;서정숙;하태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8
    • /
    • 2013
  • 본 연구는 밥 중심 식사 패턴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C57BL/6 마우스를 고지방식이 대조군(HFD), 밥 중심 식사 급여군(RD) 및 빵 중심 식사 급여군(BD)으로 분류하여 각 실험 식이를 5주간 공급하여 마우스의 체중 변화, 혈중 지질 함량, 지방조직의 무게 및 혈중 glucose 및 insulin 함량을 비교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사료 섭취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RD 급여군에서의 체중 증가량은 BD 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지방조직 무게 역시 RD 급여군에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특히 부고환지방의 무게 및 지방세포의 크기는 BD 급여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RD 급여군에서의 혈중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포도당 및 인슐린 농도 역시 BD 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밥 중심의 식사는 고지방 식이를 비롯한 빵 중심 식사에 비하여 체내 지방조직의 축적을 억제하고, 혈중 지질농도를 감소시키며, 혈당의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비만 및 당뇨병 등의 대사성 질환을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홍도라지 추출물이 마우스 모델에서 Cyclophosphamide에 의한 면역력 저하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Platycodon grandiflorum on Cyclophosphamide-induced Immunosuppression in Mice)

  • 이은별;최지혜;장환희;홍하철;이해정;정현철;이성진;이성현
    • 생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40-348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red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RD) prepared by repeated steaming and drying process in the immune-suppressed mice induced by pre (RD-A) or post-treatment (RD-B) with cyclophosphamide. The immune-stimulating effects of ethanol RD extract in in vivo at 150 (RD-1) and 300 mg/kg body weight (RD-2) for RD-A and RD-B group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o the NC group supplied with distilled water only or positive control group. After 14 days of oral supplement, serum IgA, IgG, and cytokine levels, splenocytes proliferation rate, NK cell activity, and gene expression of cytokines were measured as immune related biomarkers. Serum IgA, IgG, IL-1β, and IL-12 levels increased in both RD-A and RD-B groups while serum TNF-α level decreased in RD-A group compared to the NC group. Splenocytes proliferation rate, NK cell activity, and cytokine (IL-1β, IL-6, IFN-γ) expression levels were also improved by RD supplement in the both groups. The RD showed more significant immunomodulatory effects at higher dose (RD-2) rather than the lower dose (RD-1). Thus, RD has an immune efficacy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can be used as an immune stimulating source to improve immunity.

마우스 및 흰쥐에 있어서 Fibricola seoulensis의 산란력 (Egg Laying Capacity of Fibricola seonlensis in Mice and Rats)

  • 홍성태;김창현;허선;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117-120
    • /
    • 1988
  • 마우스와 흰쥐에 뱀으로부터 분리한 F. seouzensis의 피낭유충을 20∼30마리씩 감염시키고 경시적으로 산란량을 측정하였다. 감염후 1주부터 12개월까지 각 실험동물의 24시간 대변을 수거하여 60ml로 희석하고, 이중 4ml를 뽑아 전 충란의 수를 세어 1일간 총 충란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한 번 반복하여 그 평균치를 구하고, 동시에 동물을 희생시켜 성충을 회수하였다. 카 기간군에 따라 충란의 수를 충체의 수로 나누어 충체당 1일 평균 산란 량(EPDPW)을 계산하였다. 마우스에 감염된 충체의 EPDPW는 감염후 1주에 116이고 2주에 123이었으나 3주에는 42로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다소 더 감소하였으며 6개일과 12개월에는 카각 36 및 23의 산란량을 유지하였다. 횐쥐에 감염된 충체의 경우 EPDPW가 감염 1주후에 49이고, 2주후 250, 4주후 216, 6개필후 327 및 12개월 후에는 11이었다. F. seouzensis는 마우스보다 횐쥐에서 훨씬 많이 산란하고 산란력을 유지하는 기간도 6개월로 비교적 길게 지속되었다. 또한 이 충체는 마우스와 횐쥐 모두에서 1년이상 생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방사선 조사 마우스에서 인삼 panaxadiol계 ginsenosides의 효과에 관한 형태학적 평가 (Morphological evaluation on the effect of panaxadiol series ginsenosides in irradiated mice)

  • 이해준;김세라;김성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9-184
    • /
    • 200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s (panaxadiol, ginsenoside $Rb_1$, $Rb_2$, Rc, Rd) on jejunal crypt survival, endogenous spleen colony formation and apoptosis in jejunal crypt cells of mice irradiated with gamma-ray. ICR mice were given each saponin (i.p. 50 mg/kg of body weight) at 24 hours before irradiation. The radioprotective effects of saponins were compared with the irradiation control respectively. The jejunal crypts were protected by pretreatment with ginsenoside Rc (p<0.05) and Rd (p<0.05). The spleen colony was increased by pretreatment with panaxadiol (p<0.05) and ginsenoside Rd (p<0.05). And the frequency of radiation induced apoptosi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pretreatment with panaxadiol (p<0.05), ginsenoside Rb2 (p<0.05), Rc (p<0.05) and Rd (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oside Rc, Rd might have a major radioprotective effect.

Ginkgo Biloba Extract가 마우스 피부 및 공장 소낭선의 방사선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inkgo Biloba Extract on Radiosensitivity of Mouse Skin and Jejunal Crypt)

  • 신경환;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07-114
    • /
    • 1998
  • 목적 : 혈관수축이완작용 및 혈액점도저하의 약리작용을 가져 말초혈관의 혈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은행잎 추출물인 Ginkgo biloba extract(GBE) 투여후 방사선 조사시 마우스 종양에서 방사선 효과가 증강됨이 확인되었다. 즉 저산소세포 분획이 감소되었으며 따라서 암조직의 혈류증가가 간접적으로 증명되었다. 방사선효과 증강제인 경우 암조직에 대한 효과가 정상조직에 대한 효과보다 더 커야한다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에 저자들은 GBE 투여후 방사선조사시 마우스 정상조직 급성 반응의 증가여부 및 그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방사선에 대한 급성 피부 반응의 측정 및 공장 재생 소낭선 측정을 위해서 C3H 마우스를 방사선 단독 조사군과 GBE 투여후 방사선조사군으로 나누었다. GBE는 방사선조사 24시간 전과 1시간 전에 각각 복강 내에 2회 주사하였다. 급성 피부 반응 측정 실험에서는 30-50Gy가 마우스 우측 하지에 조사되었고, 공장 재생 소낭선 측정 실험에서는 11-14Gy가 마우스 전신에 조사되었다. 결과 : 방사선에 의한 급성 피부반응 점수 2.0 이상에 해당하는 $RD_{50}$는 방사선 단독조사군에서 44.2Gy(40.6-48.2Gy)이었고, GBE 투여후 방사선 조사시에는 44.4Gy(41.6-47.4Gy)로서 GBE에 의한 영향이 없었다. 방사선 단독 조사군 및 GBE 투여후 방사선조사군의 각 방사선량에 따른 마우스 공장 재생 소낭선의 수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7-0.94). 평균치사선량($D_0$)은 방사선 단독조사시 1.80Gy(1.57-2.09Gy), G8E 투여후 방사선조사를 병용시 1.88Gy(1.65-2.18Gy)로서 GBE에 의한 영향이 없었다. 결론 : C3H 마우스에서 방사선에 의한 급성 정상조직 손상은 GBE에 의하여 전혀 증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미 증명된 종양세포에 대한 치료효과의 증강과 더불어 방사선치료시 GBE를 병용함으로써 치료적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BALB/c 마우스에서 발효 홍삼 Ginsenoside의 생체이용율과 항염효과 (Bioavailabil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Fermented Red Ginseng in BALB/c Mouse)

  • 이은규;배주현;김유진;박수동;심재중;유영법;이정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3-44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발효홍삼과 발효하지 않은 홍삼을 BALB/c mouse에 경구투여한 후 혈청을 채취하여 주요 진세노사이드 생체이용율을 LC-MS/MS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의 항염효과를 IL-1𝛽, TNF 정량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홍삼을 발효하였을 때, Rd를 포함한 전체적인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마우스에게 투여하였을 총 진세노사이드 TG 의 혈액 검출량 AUC 또한 발효홍삼을 섭취하였을 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Cmax값 또한 동일하게 발효홍삼을 섭취하였을 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염증지표를 확인 하였을때 유도군과 비교하여 IL-1𝛽, TNF의 감소효과는 확인하였으나 그룹간의 유의적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probiotics가 발효홍삼의 ginsenoside 생체이용율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이는 probiotics를 이용한 천연물 발효제제의 적용 확장과 그 산업적 활용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우스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종양세포에 대한 Interleukin-2의 항암효과 (Effect of Interleukin-2 on Antitumor Response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Fibrosarcoma in Mice)

  • 권오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17
    • /
    • 2001
  • Recombinant interleukin-2 (IL-2) has demonstrated as an antineoplastic agent in mice and human, but the relatively low response rates observed in clinical trial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valuate therapeutic activities of IL-2 for the establishment of therapeutic applications. At the onset of the experiment, normal C3H/HeN mice were injected with $3{\times}10^6$ RD-995 tumor cells, murine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fibrosarcoma, subcutaneously. Beginning on day 25, experimental groups were treated with a 5-day course of IL-2 (subcutaneous injection of 30,000 IU every 12 hours for 5 day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revealed that RD-995 tumor grew progressively in control mice. Subcutaneous IL-2 therapy decreased tumor growth until day 23, then the tumor grew progress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of IL-2 therapy decreased tumor growth until day 23, then the tumor grew progress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of IL-2 therapy decreased tumor growth until day 23, then the tumor grew progress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of IL-2 treated mice were observed compared with the control m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