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y-fa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7초

Nanocrystallization of Cu-Based Bulk Glassy Alloys upon Annealing

  • Pengjun, Cao;Dong, Jiling;Haidong, Wu;Peigeng, Fan;Anruo, Zhou
    • Applied Microscopy
    • /
    • 제46권1호
    • /
    • pp.32-36
    • /
    • 2016
  • The Cu-based bulk glassy alloys in Cu-Zr-Ti-Ni systems were prepared by means of copper mold casting. The Cu-based bulk glassy alloys samples were tested by X-ray diffractomer (XR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nstron testing machine and Vickers hardness instrument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repared Cu-Zr-Ti-Ni alloys were bulk glassy alloys. The temperature interval of supercooled liquid region (${\Delta}T_x$) was about 45.48 to 70.98 K for the Cu-Zr-Ti-Ni alloy. The Vickers hardness was up to 565 HV for the $Cu_{50}Zr_{25}Ti_{15}Ni_{10}$ bulk glassy alloy. The $Cu_{50}Zr_{25}Ti_{15}Ni_{10}$ bulk glassy alloys were annealed in order to obtain nanocryst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ckers hardness was raise up to 630 HV from 565 HV. As shown in XRD results, the amorphous alloys changed to nanocrystals, which were $Cu_8Zr_3$, $Cu_3Ti_2$ and CuZr, improved the hardness. The SEM analysis showed that the compression fractured morphology of amorphous alloys was brittle fracture, and the fracture morphology after annealing was ductile fracture. This proved that annealing of amorphous to nanocrystals can improve the plasticity and toughness of amorphous alloys.

Facile Synthesis of g-C3N4 Modified Bi2MoO6 Nanocomposite with Improved Photoelectronic Behaviors

  • Zhu, Lei;Tang, Jia-Yao;Fan, Jia-Yi;Sun, Chen;Meng, Ze-Da;Oh, Won-Chu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593-600
    • /
    • 2021
  • Herein, a series of g-C3N4 modified Bi2MoO6 nanocomposites using Bi2MoO6 and melamine as original materials are fabricated via sintering process. For presynthesis of Bi2MoO6 an ultrasonic-assisted hydrothermal technique is researched.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nanocomposites are characterized by Raman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XRD), and high-resolution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improved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are studied by photocurrent density, EIS, and amperometric i-t curv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tructure of Bi2MoO6 nanoparticles remains intact, with good dispersion status. The as-prepared g-C3N4/Bi2MoO6 nanocomposites (BMC 5-9) are selected and investigated by SEM analysis, which inhibits special morphology consisting of Bi2MoO6 nanoparticles and some g-C3N4 nanosheets. The introduction of small sized g-C3N4 nanosheets in sample BMC 9 is effective to improve the charge separation and transfer efficiency, resulting in enhancing of the photoelectric behavior of Bi2MoO6. The improved photoelectronic behavior of g-C3N4/Bi2MoO6 may be attributed to enhanced charge separation efficiency, photocurrent stability, and fast electron transport pathways for some energy applications.

Synthesis, Crystal Structure and Theoretical Calculation of a Novel Nickel(II) Complex with Dibromotyrosine and 1,10-Phenanthroline

  • Huang, Guimei;Zhang, Xia;Fan, Yuhua;Bi, Caifeng;Yan, Xingchen;Zhang, Zhongyu;Zhang, N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10호
    • /
    • pp.2889-2894
    • /
    • 2013
  • A new complex [$Ni(phen)(C_9H_8Br_2NO_3)_2{\cdot}2CH_3OH{\cdot}2H_2O$] [phen: 1,10-phenanthroline $C_9H_8Br_2NO_3$: 3,5-dibromo-L-tyrosine] was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IR, elemental analysis and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X-ray crystallography shows that Ni(II) ion is six-coordinated. The Ni(II) ion coordinates with four nitrogen atoms and two oxygen atoms from three ligands, forming a mononuclear Ni(II) complex. The crystal crystallizes in the Orthorhombic system, space group $P2_12_12$ with a = 12.9546 ${\AA}$, b = 14.9822 ${\AA}$, c = 9.9705 ${\AA}$, V = 1935.2 ${\AA}$, Z = 1, F(000) = 1008, S = 0.969, ${\rho}_{calcd}=1.742g{\cdot}cm^{-3}$, ${\mu}=4.688mm^{-1}$, $R_1$ = 0.0529 and $wR_2$ = 0.0738 for 3424 observed reflections (I > $2{\sigma}(I)$). Theoretical study of the title complex was carried out by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method and the B3LYP method employing the $6-3l+G^*$ basis set. The energy gap between HOMO and LUMO indicates that this complex is prone to interact with DNA. CCDC: 908041.

일차원적 비균일 개구변조시 광학계의 최적상면 MTF에 미치는 영향 (One dimensional inhomogeneous aperture modulation effects on the MTF of optical system II)

  • 홍경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77-281
    • /
    • 1998
  • 일차원적 비균일 진폭변조가 광학계의 최적 상평면 상에서의 MTF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시험평가 렌즈는 국산 유효경 10mm, 초점거리 87.8mm인 이중렌즈를 택하였다. 시험렌즈의 수차특성은 축상과 시계각 $1^{\circ}$$2^{\circ}$인 비축에 대해 각각 ray-fan 과 파면수차를 계산하여 그림으로 도시하였다. 진폭변조는 시험렌즈 앞에 근접하여 진폭변조판을 위치함으로 이루어 진다. 진폭변조판은 계단식으로 투과도가 다른 것과 연속적으로 투과도가 변하는 것으로서 미국 Edmund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진폭변조하였을 때에 각각의 경우 60line/mm의 공간주파수에서 최대 MTF값을 가지는 상평면을 best of focus 로 결정하였다. 진폭변조의 경우와 변조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MTFM를 측정해서 그 값을 서로 비교하였다. Gaussian 상평면 상에서 MTF를 측정하였을 때와는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축상에서는 변조할 경우에 MTF 값이 변조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고주파로 갈수록 증진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축외에서는 시계각 $1^{\circ}$에서는 다양한 결과가 나타나서 현저하게 증진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도 있다. 시계각 $2^{\circ}$에서는 변조할 경우에 MTF 값이 변조하지 않은 경우 보다 대체로 감소하여 역효과가 나타났고 고주파 부분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 값 자체가 매우 작으므로 실용적인 가치가 적게 나타났다.

  • PDF

LED 식물공장에서 산란 유리 이용에 의한 상추(Lactuca Sativa L.)의 군락 광분포, 광합성 및 생장 향상 (Improvement of Canopy Light Distribution, Photosynthesis, and Growth of Lettuce (Lactuca Sativa L.) in Plant Factory Conditions by Using Filters to Diffuse Light from LEDs)

  • 강우현;장범;이준우;손정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84-93
    • /
    • 2016
  • 인공광 식물공장은 조명에 많은 전력이 소요되므로 광이용효율의 향상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공장의 LED 광원에 산란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광이용효율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실험에는 Haze factor 40%와 80%의 산란 유리가 적용된 두 가지 처리구와 산란 유리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를 두었다. 3-D 광선추적기법을 이용하여 상추 작물의 군락 광분포를 분석하였으며 군락 광합성률은 밀폐 아크릴 챔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처리구 별로 16주의 상추를 수경재배 방식으로 28일간 재배하여 생장량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작물의 상단부에 광량이 집중되었고 대조구에서 작물 상부에 광량 핫스팟이 발생하며 처리구에 비하여 광이용효율이 감소하였다. 총 광 흡수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효 광 흡수량은 처리구에서 더 높았고 산란광의 비율이 높은 처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작물의 군락 광합성률과 생장량은 산란 유리를 사용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산란 유리의 이용을 통해 상추의 군락 내 광분포가 개선되었고 군락 광합성률 및 생장량이 증가하여 식물공장의 광이용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석탄광 분진의 특성과 효율적 제어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oals and efficient control of coal dust)

  • 김수홍;권준욱;김선명;김윤광;장윤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589-609
    • /
    • 2017
  • 석탄광산 분진을 환기로 제어하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가행되는 5개 광산의 석탄 분진 시료를 채취하여 석탄 분진의 특성인 밀도와 원소분석, 입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것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무연탄에서 파생되는 석탄 분진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연구의 기초가 될 것이다. 입도분석(PSA)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석탄 분진 시료입자의 크기는 $0.007{\sim}88.614{\mu}m$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이중 진폐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3.5{\mu}m$ 이하의 입자가 광산 내 상당부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개광업소에서 채취한 석탄광 분진의 풍속에 의한 유동을 알아보기 위해 풍동을 제작하여 풍속에 대한 석탄광 분진의 낙진을 측정하였으며, 낙진된 석탄 분진의 입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실제 미세먼지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채준 작업장에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앤더슨 멀티스테이지 샘플러(Anderson multi-stage sampler)를 이용하여 석탄광 분진을 작업장에서 환기되는 풍속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3.5{\mu}m$ 이하의 석탄 분진을 제어하는 풍속을 실험을 통하여 밝혀냈다. 주선풍기의 과설계를 방지하기 위해 A광업소의 자연환기력을 계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