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rity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초

원발성 종격동 비정상피종성 생식세포종 3예 (Three cases of primary mediastinal Nonseminomatous germ cell tumors)

  • 이순일;용석중;송광선;신계철;양경무;조미연;임형래;유광하;조화상;유종길;송종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1008-1018
    • /
    • 1996
  • 저자들은 젊은 연령의 성인 남자들에서 종격동에 발생한 원발성 종격동 비정상피종성 생식세포종 3예를 수술적 제거 및 화학요법을 통해 치료하던 중 암표식인자의 의미있는 감소와 종양 크기의 감소를 얻었으나 종양 재발에 대한 보조 화학 요법후 합병증이 발생한 경험을 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동해안 낭만가도의 바위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Measures of Rock Formations in the Romantic Road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권동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803-81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낭만가도에 발달한 총 80개의 바위지형을 조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바위지형 경관이 가장 많이 관찰되는 지역은 양양(43개)이며 사이트별로는 죽도해변(18개)에 가장 밀도 높게 분포한다. 가장 많이 관찰되는 지형단위는 풍화지형(61%)이며 나머지는 해안지형(24%), 구조지형(15%)이다. 풍화지형 중에서는 타포니(33%)가 가장 많고 다음은 핵석(27%), 토르(22%), 나마(10%), 그루브(4%), 박리(4%) 등의 순이다. 학술적 가치, 희소성,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관광자원 및 지형학 야외 학습장으로 이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지형 경관은 35개이다. 이 중 11개 경관이 밀집된 양양 동산해변은 '동산해변 바위공원(가칭)'의 명칭으로 개발하여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해보는 것도 고려해 볼만하다. 지형학 야외학습장으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경관은 부채바위, 옵바위 등 총 16개이다. 이들 지역에는 전형적인 풍화지형 경관들이 한 장소에 집중 분포하고 있고, 한 장소에서도 부가적으로 2~3개의 다른 개념의 지형유형을 함께 관찰할 수 있어 효율적인 야외 학습이 가능하다.

  • PDF

Selecting Protected Area Using Species Richness

  • Kwon, Hyuksoo;Kim, Jiyoen;Seo, Changwan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20
    • /
    • 2015
  • We created species richness maps of mammals, birds and plants using "N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and identified correlations between species richness maps of each taxa. We examine the distribution of species richness of each taxa and calculated conservation priority rank through plotting species-area curves using an additive benefit function in Zon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lant showed high species richness in Gangwon province and Baekdudaegan, and mammals showed high species richness at eastern slope of Baekdudaegan in Gangwon province unusually and the species richness of mammals distributed equally except Gyeonggi and Chungnam province. However, birds showed high species richness in the west costal because the area is the major route of winter migratory birds. Second, correlation of each taxa's distribution i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mmals and birds is positive but correlations between birds and others are negative. Because mammals inhabit in forest but birds mostly live in coastal wetlands and rivers. Therefore, bird's habitats are not shared with other habitats. Third, the probability of mammals occurrence is very low under 25% in species-area curve, others increase proportionally to area. Birds increase dramatically richness at 10% because bird's habitat is concentrated in coastal wetlands and rivers. Plants increased gently species richness due to large forest in Gangwon province. We can calculate the predicted number of species in curves and plan various conservation strategies using the marginal number of species. Finally, high priority ranks for conservation distributed mainly in Gangwon province and Baekdudaegan. When we compared with priority map and terrestrial national parks, the parks were evaluated as high priority ranks. However, the rank of parks away from Baekdudaegan was low.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selecting conservation priority area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spite of the omission of survey data in national parks and Baekdudaegan, the results were good. Therefore, the priority rank method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is useful to selecting protected areas and improving conservation plans. However, it is needed to select protected areas considering various evaluation factors, such as rarity, connectivity, representativeness, focal species and so on because there is a limit to select protected area only using species richness.

Vascular Plant Diversity of Jeju Island, Korea

  • Kim, Chan-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58-570
    • /
    • 2009
  • The vascular plants in Jeju composed of 21 families 62 genera, 190 species, 7 varieties with 197 taxa in Pteridophyta, 3 families 5 genera, 7 species, 3 forma with 10 taxa in gymnosperm (Coniferophyta) and 143 families 703 genera, 1,622 species, 114 varieties and 47 forma with 1,783 taxa in Endospermae. The total number of taxa was 1,990 consisting 167 families, 770 genera, 1,818 species, 121 varieties and 50 forma. Three families, 4 genera 4 species and 1 variety in Pteridophyta and 1 family, 1 genus I species, 1 forma of Coniferophyta were endemic to Jeju. Five families, 8 genera and 8 species in the Monocotyledonae of Endospermae and 23 families, 32 genera, 21 species, 16 varieties and 7 forma and 44 taxa in Cholipetalae, and 9 families, 24 genera, 12 species, 13 varieties and 7 forma, total 32 taxa in Sympetalae were endemic to Jeju. Total 90 taxa with 41 families, 69 genera, 46 species, 29 varieties and 15 forma were drawn up as endemic plants in Jeju. As the numbers show on, Jeju has more biodiversity especially plant diversity than any other places in Korea. It was an important region in regard to geographical position. The rarity on plants from Jeju has been assessed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at both regional and global levels. There was one species in each extinct (EX) and extinct in the Wild (EW). The EX and EW species were Rhododendron saisiuense Nakai (Ericaceae) and Asplenium antiquum Makino (Aspleniaceae), respectively. Three taxa, Rhododendron dauricum L. (Ericaceae), Lycopodium sieboldii Miq., and Lycopodiella cernua (L.) Serm (Lycopodiaceae) were species that is extinct in the region (RE). Sixty-one taxa were critically endangered (CR), 13 were endangered (EN), and 83 were vulnerable (VU) at regional level. The taxa listed on a Red List corresponds 26.9% of total taxa in Jeju. At global level, there were 19 taxa in CR, 4 in EN, and 1 in VU (Vulnerable) as the category of threat. The rest taxa (133 taxa) were classified as Least Concern (L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conservation measures must be taken for total of 157 species that were categorized in threaten including one of EX, one of EW and three extinct in the region immediately. Of 157 species, 61 were CR, 13 are EN and 83 were VU.

한의학의 체질식품에 대한 문헌적 고찰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Constitutional Foods in Korean Medicine)

  • 이봉희;권강범;한종현;류도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207-1220
    • /
    • 2009
  • Through the study on the constitution-favored food by each constitution, we can draw below conclusions : The number of food that corresponds to that on more than 3 literatures showed over 40 for lesser yang person, greater yin person and lesser yin person, however, the number for greater yang person only appeared about 20, half of the number for the others. This is considered to have resulted from the not-enough studies on greater yang person for its rarity. When looking into the portion of the constitution-favored food for each constitution, the portion of cereals, bulbous plants and beans takes 27% (average 16.4% in the constitution-favored food)for greater yin person-favored food, the portion of vegetables and mushroom shares 29%(average 23.6% in the constitution-favored food) for lesser yin person, while the portion of fish, shellfish and other sea-food shows an average 25%, almost same figure for greater yang person, lesser yang person and lesser yin person, but its portion for greater yin person comes up the lowest figure at 16.2%. The portion of fruit shows relatively bigger figure in the constitution-favored food for lesser yang person and greater yin person, while smaller for greater yang person and lesser yin person. Meat, milk and milk products, eggs, oil and fats, condiments and flavors are not found in the greater yang person-favored food. When classifying the constitution-favored food by 4-Chi, the cold-natured food which favorers for lesser yang person shows a major portion, and when classifying it by 5 tastes, the sweety food becomes major, further, when classifying it by the benefited organ, the food benefiting to spleen and stomach, the lesser yin person favored food, appears prevalent. Above conclusion, based on approximately 300 kinds of food which are classified as constitutional food on literatures, suggests the necessity of a steady study and requires us to develop new constitutional food with the contemporary technology of food-processing and to determine the constitutional suitability on the newly introduced food which is increasing its numbers through importation due to frequent oversea trading.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제7형 (Spinocerebellar ataxia 7 (SCA7))

  • 정선용;장석훈;김현주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4권1호
    • /
    • pp.22-37
    • /
    • 2007
  • The autosomal dominant spinocerebellar ataxias (SCAs) are a group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clinically and genetically heterogeneous, characterized by degeneration of spinocerebellar pathways with variable involvement of other neural systems. At present, 27 distinct genetic forms of SCAs are known: SCA1-8, SCA10-21, SCA23, SCA25-28, DRPLA (dentatorubral-pallidoluysian atrophy), and 16q-liked ADCA (autosomal dominant cerebellar ataxia). Epidemiological data about the prevalence of SCAs are restricted to a few studies of isolated geographical regions, and most do not reflect the real occurrence of the disease. In general a prevalence of about 0.3-2 cases per 100,000 people is assumed. As SCA are highly heterogeneous, the prevalence of specific subtypes varies between different ethnic and continental populations. Most recent data suggest that SCA3 is the commonest subtype worldwide; SCA1, SCA2, SCA6, SCA7, and SCA8 have a prevalence of over 2%, and the remaining SCAs are thought to be rare (prevalence <1%). In this review, we highlight and discuss the SCA7. The hallmark of SCA7 is the association of hereditary ataxia and visual loss caused by pigmentary macular degeneration. Visual failure is progressive, bilateral and symmetrical, and leads irreversibly to blindness. This association represents a distinct disease entity classified as autosomal dominant cerebellar ataxia (ADCA) type II by Harding. The disease affectsprimarily the cerebellum and the retina by the moderate to severe neuronal loss and gliosis, but also many other central nervous system structures as the disease progresses. SCA7 is caused by expansion of an unstable trinucleotide CAG repeat in the ATXN7 gene encoding a polyglutamine (polyQ) tract in the corresponding protein, ataxin-7. Normal ATXN7 alleles contain 4-35 CAG repeats, whereas pathological alleles contain from 36->450 CAG repeats. Immunoblott analysis demonstrated that ataxin-7 is widely expressed but that expression levels vary among tissues. Instability of expanded repeats is more pronounced in SCA7 than in other SCA subtypes and can cause substantial lowering of age at onset in successive generations termed ‘anticipation’ so that children may become diseased even before their parents develop symptoms. The strong anticipation in SCA7 and the rarity of contractions should have led to its extinction within a few generations. There is no specific drug therapy for this neurodegenerative disorder. Currently, therapy remains purely symptomatic. Cellular models and SCA7 transgenic mice have been generated which constitute valuable resources for studying the disease mechanism. Understanding the pathogenetic mechanisms of neurodegeneration in SCAs should lead to the identification of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and ultimately facilitate drug discovery. Here we summarize the clinical, pathological, and genetic aspects of SCA7, and review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esis of this disorder. Further, we also review the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ies that are currently being explored in polyglutamine diseases.

  • PDF

청송 주왕산 북부 일대의 구과상 유문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pherulitic Rhyolites in the northern part of Juwang Mt., Cheongsong)

  • 오창환;김성원;황상구;손창환;김창숙;김형식
    • 암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3-118
    • /
    • 2004
  • 청송 지역에서는 국내외적으로 희귀하며 매우 다양하고 아름다운 형태를 보여주는 구과상 유문암들이 맥의 형태로 산출된다. 청송 구과상 유문암내에 나타나는 섬유상 광물은 이들 암맥이 지표근처에서 빠르게 냉각되었음을 지시하며 청송 구과강 유문암의 다양한 형태는 각 맥의 냉각속도의 다양함에 기인한다. 구과상 유문암의 형태는 성인에 따라 방사상 단식,층상 단식, 층상 복식, 방사상-층상 복식, 방사층상 복식의 5가지로 분류된다. 방사상 단식 구과형과 방사층상 복식 구과형은 상대적으로 가장 빠른 냉각시 과냉각에 의한 확산류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냉각속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느린 경우 리제강 링의 형성 원리와 같은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느린 확산에 의해 층상형 복식 구과형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냉각속도가 중간일 경우 층상 단식 구과형이 생성된다. 따라서 청송 지역의 구과상 유문암중 방사상 단식 혹은 방사층상 복식 구과형인 국화형, 민들레형, 해바라기형, 다알리아형은 가장 빠르게 냉각된 암맥에서 생성된 반면 층상형 복식 구과형인 장미형, 무명형과 목단형등은 상대적으로 가장 천천히 냉각된 암맥으로 부터 형성되었다. 그리고 매화형과 같은 층상단식 구과형은 상대적으로 중간 속도의 냉각 속도를 갖는 맥에서 산출된다. 구과상 유문암 맥들의 K-Ar 전암 연령은 이들 암석이 48-50Ma에 관입한 암체임을 지시한다 청송지역의 구과상 유문암은 그 희귀성과 다양하며 아름다운 형태 때문에 연구 및 보존가치가 높다.

천연기념물(식물)의 유형 및 지정기준 변화에 대한 비교 고찰 (The Designation Criteria and Types of Natural Monument Plants in Different Countries)

  • 손지원;신진호;지윤의;이나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2호
    • /
    • pp.26-39
    • /
    • 2017
  • 천연기념물은 자연보호운동과 더불어 발전되어 왔으며 유럽에서 먼저 제도로 정착되었고 일제강점기를 거쳐 우리나라에 도입된 제도이다. 천연기념물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로는 일본과 독일 등이 있다. 독일은 자연보호법에서 천연기념물을 관리하는 반면, 일본과 우리나라는 문화재보호법에서 관장하고 있어 발전과정과 지향점이 유사하다. 천연기념물제도는 1930년대 법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으나 시간이 흐름이 따라 자연유산에 대한 가치와 여러 제반여건이 변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천연기념물(식물)의 지정기준 및 유형에 대한 국가 간 비교를 통해 정책적 측면에서 크게 세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천연기념물(식물) 지정에 있어 식물의 학술적 가치 중심에서 벗어나 우리나라 고유의 역사성과 문화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정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식물의 효율적인 보존을 위하여 천연기념물 지정구역에 있어 점 단위 지정에서 면 단위로의 지정구역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등록문화재에 대한 자연유산 등록기준 마련을 통해 잠재 지정문화재로서 등록문화재를 계속적으로 발굴하고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와 유형 및 등급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산림습원 유형 구분 및 등급의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ypes and Grades of Forest Wetlan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Forest Wetland Evaluation Factors and Types)

  • 이종원;윤호근;이규송;안종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71-501
    • /
    • 2022
  • 본 연구는 산림습원의 가치평가 및 등급화로 인벤토리가 구축된 산림습원 455개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산림습원 가치평가 항목인 식생 및 경관,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인문·사회경관 및 교란정도 4가지 카테고리의 23개 평가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가치평가의 개선을 통하여 향후 산림습원 보전 및 복원에 필요한 기준안을 마련하여 보전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고, 체계적인 모티터링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산림습원 유형 구분과 규모와 접근성은 양적 상관을 보였으나, 나머지 항목은 음의 상관이나 상관성이 없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산림습원 등급과는 음의 상관이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중치가 부여된 4가지 상위 카테고리 요소와 아주 큰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가치평가 항목의 평가 기준치를 조정하거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항목을 추가하거나 가중치에 대한 오류가 있는 것으로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산림습원의 경우 생물다양성으로 인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이 가장 크므로 이를 고려하여 평가항목을 개선해야 한다. 따라서 고유성·희소성(15%), 야생동물서식지(15%), 식생 및 경관(35%),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30%) 그리고 인문·사회경관(5%) 5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해볼 수 있고,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가중치를 제안하는 바이다.

Source Investigation and Control of Ralstonia mannitolilytica Bacteremia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Case Report

  • Dabin Kim;Min Hye Kim;Seul Gi Park;Sujin Choi;Chan Jae Lee;Young Hwa Jung;Chang Won Choi;Myoung-Jin Shin;Kyoung-Ho Song;Eu Suk Kim;Jeong Su Park;Hong Bin Kim;Hyunju Le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1호
    • /
    • pp.33-38
    • /
    • 2023
  • Ralstonia mannitolilytica는 다양한 종류의 상수도에 퍼져 있는 그람 음성세균으로써 병원체로는 흔하지 않지만 골수염, 수막염, 균혈증, 패혈증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저자들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R. mannitolilytica bacteremia 단일사례를보고한다. 재태주수 38주 6일에 2,770 g으로출생한환아는대혈관전위, 심실중격결손, 폐동맥협착이 있어 신생아 중환자실로 입실해 프로스타글란딘E1을 투약 받았으며, 생후 7일부터 간헐적으로 발열이 있어 감염을 배제한 후 체온을 낮추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였다. 생후 34일에 39.2℃의 고열이 있어 시행한 혈액배양 검사에서 R. mannitolilytica가 동정되었다. 이전에 R. mannitolilytica가 기관에서 검출된 적이 없었을뿐더러 항생제 치료에도 균혈증이 지속되어 환경 조사 및 의료기기에 대한 감시 배양를 시행하였다. 환아에게 사용한 가습기에서 R. mannitolilytica가 동정되었고, 가습기 사용을 중단한 후로 균혈증, 발열이 호전되었다. 이 증례는 새로운 또는 흔하지 않은 감염이 있을 경우 감염원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중요함과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도 반응이 없을 경우 환경조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