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eseed oil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韓國産) 식물식용유지(植物食用油脂)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 HPLC에 의(依)한 면실(綿實), 대두(大豆), 호마(胡麻), 소마(蘇麻), 옥배(玉胚) 및 채종유(菜種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Plant Edible Oils and Fats -Part 2. Triglyceride composition of cottonseed, soybean, sesame, perilla, corn and rapeseed oils by HPLC-)

  • 고영수;장유경;이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1호
    • /
    • pp.43-49
    • /
    • 1979
  • Triglyceride compositions of cottonseed, soybean, sesame, perilla corn and rapeseed oils have been determined by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An optimum condition was obtained by using a ALC/GPC 244 type, from Waters Association, Japan with $\mu$ Bondapak $C_{18}(1/4^{'}\times1^{'})$ column. A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of triglycerides was found in cottonseed, soybean, sesame, rapeseed and corn oils. It was noted that $C_{40}$, $C_{42}$ and $C_{44}$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these seed oils, except perilla oil. The results showed that contents $O_{40}-C_{48}$ triglyceride types in cottonseed, sesame and corn oil were within $2.23{\sim}41.24%$ and $C_{38}-C_{48}$ triglyceride types in soybean oil were within $3.01{\sim}10.02%$ and $C_{34}-C_{46}$ triglyceride types in rapeseed oil were within $2.38{\sim}28.68%$.

  • PDF

유채유로 만든 견정련비누의 정련 (Studies on the Scouring Effects of Scouring Soap Made from Rapeseed Oil)

  • 배도규;배현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3-47
    • /
    • 1993
  • 유채유를 이용해서 만든 새로운 정련비누와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정련 비누로, 정련염색 및 물성시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련율에서는 OC(올레인산으로 만든 비누)를 사용한 것이 가장 좋고 RS(유채유로 만든 비누)를 사용한 것이 다음으로 모두 MS(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누)를 사용한 것보다 우수하였다. 2. 완충력을 측정한 결과 RS와 OS는 비슷하였지만 MS는 크게 떨어졌다. 3. 오염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OS와 RS로 정련한 것이 반점이 없었으나, MS로 정련한 것은 염반이 발생하였다. 4. 강·신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MS로 정련한 것이 OS, RS로 정련한 것보다 다소 낮았다. 5. 정련 후의 방추도 및 백도는 OS, RS, MS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디젤기관의 대체연료 이용에 관한 연구(III) (에스테르 연료, 연소특성해석) (A Study on Alternative Fuel as Fuel Substitutes in DI Diesel Engine III (Esterified fuel, Analysis of rate of combustion using by Wiebe's functions))

  • 오영택;정규조;촌산정
    • 오토저널
    • /
    • 제11권1호
    • /
    • pp.31-43
    • /
    • 1989
  • 제2보 (2)에서는 식물유를 연료로 사용할 경우 문제점인 시동성, 내구성 및 카본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방법으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관자체는 전혀 변형시키지 않고, 점도저감을 위하여 화학적인 방법 즉, 식물유를 알콜과 반응시켜 에스테르변 환을 하여 해결하려는 방법으로, 에스테르화한 연료를 사용하였을 때의 기관성능 및 카본 퇴적 문제를 비교, 시험한 것이다. 또, 기름이 식물유와 같이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어느 기름도 에스테르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선기름인 정어리기름의 에스테르연료도 사용하여 그 이용 가능성을 확실히 하였다. 또한, 각종 연료의 연소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한 검토를 하기 위하여, 이들의 연소율 파형을 2개의 Wiebe의 연소함수의 조합으로 표현함과 동시에 연소율 파형을 구성하는 각 변수를 해석함으로써, 기관성능치와 연소성과의 정량적인 관계에 대해서도 조사한 것이다.

  • PDF

항산화제 또는 팜유로 보강된 유채유를 이용한 라면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apeseed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 박연보;박혜경;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8-479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라면제조용 튀김유지로 사용되어온 돼지기름, 쇠기름과 팜유 등의 수입유지의 대체유로서 유채유의 사용 가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적절한 항산화제를 첨가하거나, 팜유를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이들의 라면 튀김유로서의 산화안정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제로는 천연 토코페롤,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tertiarybutyl hydroquinone (TBHQ), 그리고 ascorbyl palmitate의 경우에는 구연산과 함께 각각 0.02%의 농도로 시판유채유에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혼합유로서는 이상의 유채유에 정제팜유를 각각 30, 50, 7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실에서 튀겨서 만든 시제라면을 $35.0{\pm}0.5^{\circ}C$의 항온기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그 일부를 일정기간 마다 취하여 여기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요오드가, 아니시딘가, 유전항수와 불포화 지방산도 비율 등을 측정했다. 그리고 그 변화들과 저장 중인 시제라면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등을 검토하여, 사용한 튀김유들의 산화안정성을 추정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 사용한 항산화제들의 튀김유로 사용한 유채유에 대한 항산화효과의 순서는 TBHQ>> ascorbyl palmitate+구연산>BHA>천연 토코페롤의 순서였다. 여기서 천연 토코페롤과 BHA는 항산화제로서의 효과가 매우 약했으나. ascorbyl palmitate와 구연산을 병용했을 때에는 상당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한편, TBHQ는 항산화제로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TBHQ를 0.02% 함유한 유채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이 라면에서 추출한 유지의 성질로 추정할 때, 팜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과 거의 같았다. 2. 한편, 혼합유로 튀겨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혼합유 중의 장유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다. 혼합유로 만든 라면의 경우, 그 추출유지의 성질로 판단할 때 그 저장 안정성은 크게 개선되었다. 그 예로서 팜유를 70% 혼합한 혼합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팜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과 거의 비슷했다.

  • PDF

Effect of Fertilizer Level and Seeding Rate 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Rapeseed in Upland Field

  • Kwon Byung-Sun;Kim Sang-Kon;Bang Jin-Ki;Choi Seung-Sun;Lim Jung-Mook;Choi Gab-Lim
    • Plant Resources
    • /
    • 제8권3호
    • /
    • pp.281-285
    • /
    • 2005
  • In order to select suitable fertilizer level and sowing rate of Dangyo $^{#8}$(hybrid) rapeseed at the southern area of Korea, two varieties of Naehanyuchae (Normal) and Dangyo $^{#8}$(hybrid) rapeseed currently grown for oil production by two fertilizer level with 10-8-8 kg/10a and 15-8-8 kg/10a and three sowing rate with 500 g/10a, 1,000g/10a and 1,500g/10a with relatively high yield was grown at the same conditi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observed. Dangyo $^{#8}$(hybrid) rapeseed was superior to oil-eed rapeseed for yield at the 15-8-8 kg/10a of fertilizer and 1,500 g/10a of sowing rate. Fertilizer level, $N-P_{2}O_5-K_{2}O$ = 15-8-8 kg/10a and sowing rate, 1,500 g/10a showed somewhat higher value in two varieties of Naehanyuchae(Normal) and Dangyo $^{#8}$(hybrid).

  • PDF

마요네즈 제조시 품질특성에 미치는 저에루신산 유채유 혼합의 영향 (The Effect of Low Erucic Acid Rapeseed Oil for the Preparation of Mayonnaise on Quality Characteristics)

  • 김재욱;손양도;홍기주;유무영;정계환;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8-302
    • /
    • 1995
  • 본 연구는 상업적인 마요네즈 제조시의 원료유로서 저에루신산 유채유의 사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유인 대두유에 저에루신산 유채유를 일정한 비율로 섞은 혼합유 및 이들 혼합유를 사용한 마요네즈를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식물유 자체의 산화안정성을 랜시매트법에 의한 유도기간으로 비교한 결과 유채유가 대두유보다 길었으며, 대두유와 유채유를 혼합하였을 때는 유채유의 비율이 높을수록 유도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식물유를 사용한 마요네즈의 냉동분리 안정성, 풍미, 산화안정성 등의 품질 특성에 대한 시험 결과, 저에루신산 유채유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대두유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두유에 저에루신산 유채유를 $40{\sim}80%$ 혼합한 식물유를 사용한 마요네즈는 대두유만을 사용한 마요네즈에 비해 저온분리에 대한 안정성이 증가하여 더 바람직한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Antioxidative capacity of hydrolyzed rapeseed cake extract and oxidative stability of fish oil-in-water emulsion added with the extract

  • Lee, A-Young;Lee, Jeung-H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29-535
    • /
    • 2017
  • Rapeseed cake was extracted with 80%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H_2O$ (fraction I) as well as with 30% (II), 50% (III), 70% (IV), and 100% ethanol (V). Total phenolic content (TPC),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were in the order of fractions II > III > I > IV > V. The three fractions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ies and TPC (I, II, and III) were pooled and hydrolyzed by NaOH solution, resulting in 18.97 mg sinapic acid/g hydrolyzed extract and 21- and 2.2-fold increases in TPC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Hydrolyzed rapeseed cake extracts (200, 500, and 1,000 ppm) and catechin (200 ppm) as a comparison were added to 10% fish oil-in-water emulsion, and their effects on oxidative stability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hydroperoxide values (PV) during refrigerated storage. PV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mulsions with added hydrolyzed extract a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an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 concentration (p<0.05) over a period of 29 days. The emulsion added with hydrolyzed extract showed higher PV than that added catechin at the same concentration (200 ppm) during 13-22 days (p<0.05), but after then, the PV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is study indicates that hydrolyzed rapeseed cake extract rich in sinapic acid may inhibit oxidation in a fish oil-in-water emuls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유채의 지방산조성개량육종에 관한 연구 -제V보 유채재배시기이동에 따른 종실유의 지방산조성변화- (Breeding for Improvement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V. Change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Rapeseed Oil by the Different Seasonal Planting-)

  • 이정일;지하민부;고류겸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78-82
    • /
    • 1975
  • 1. 재배시기이동에 따른 유채종자유에 따른 지방산조성은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함량이 높은 Erucic acid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함량이 적은 지방산의 변동은 적었다. 2. 추파재배한 유채종자가 춘파재배한 것보다 Erucic acid함량이 높은데 대해서 Oleic acid와 Linoleic acid함량은 반대로 낮었다. 이들 차이는 1%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3. 추파재배된 유채종자가 Erucic acid함량이 높았으며 이는 등숙기간의 적산온도가 낮고 강수량이 많은데 있다. 이들 기상조건과 Erucic acid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단쇄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의 증감경향은 항상 정상관관계가 있으며 장쇄지방산인 Erucic acid와는 부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 PDF

디젤기관의 대체연료 이용에 관한 연구 (I) (기본성능) (A Study on Alternative Fuel as Fuel Substitutes in a DI Diesel Engine(I) (Basic Performance))

  • 오영택;정규조;촌산정
    • 오토저널
    • /
    • 제10권5호
    • /
    • pp.61-68
    • /
    • 1988
  • This paper reports the basic performance of a naturally aspirated DI diesel engine which is used widely in industry and agriculture when vegetable oils are used as fuel substitutes. In this paper, the properties of vegetable oils as diesel fuel were investigated and the load-performance of diesel engine when vegetable oils were used, as tested compared against diesel fuel. The general objectiv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realize an efficient, clean, and low carbon deposit combustion of the vegetable oils in diesel engines, showing their feasibility as diesel fuel substitute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Compared with diesel fuel, the droplet size of vegetable oil is very large. (2) Compared with diesel fuel, rapeseed oil, palm oil, and their blend fuels offered lower smoke, lower NOx, ower engine noise, and high thermal efficiency in a D.I. diesel engine However, there were carbon deposit and piston ring sticking problems with long-term operation. (3) For ethanol-rapeseed oil blends, a 10-20% of ethanol content is recommended to enable lower BSHC and less smoke without a remarkable increase in engine noise compared with pure rapeseed oil. (4) A 10% oxygen content in the vegetable oils is contributed to reduced smoke emission.

  • PDF

$Al_2O_3$ 지지 CaO촉매에 의한 식물유와 혼합지방의 바이오디젤화 (Conversion of Vegetable Oils and Mixed Fat into Biodiesel Using $Al_2O_3$-Supported CaO Catalyst)

  • 현영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1-426
    • /
    • 2010
  • The transesterification of rapeseed oil, soybean oil, and mixed fat were conducted at $65^{\circ}C$ with $Al_2O_3$-supported CaO, 0.8 wt% KOH, 1 wt% NaOH and mixed catalyst. The overall conversion(%) of rapeseed oil indicated to be 96% at the 12:1 molar ratio of methanol to oil, 8 wt% CaO and 2 wt% water. The pH ranges of biodiesel for mixed fat using four catalysts and for three fats using 8wt% CaO were 7.3-9.1, 7.3-7.5, respectively. The volumes of water needed to wash biodiesel from rapeseed oil using 0.8 wt% KOH and 8 wt% CaO were 15 mL and 3 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