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kinit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원료 배합에 따른 칼슘 실리케이트 시멘트 클링커의 성분 및 상 분석 (Component and Phase Analysis of Calcium Silicate Cement Clinker by Raw Materials Mix Design)

  • 이향선;송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1-258
    • /
    • 2022
  • 시멘트산업에서는 CO2 배출량 감축을 위해 원료대체 및 전환기술, 저탄소 신열원 활용 공정효율 향상기술, 공정발생 CO2 포집 및 재자원화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공정발생 CO2 포집 및 재자원화는 대규모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서 CO2를 분리 및 포집하는 기술로 지중저장과 해양저장, 탄산염 광물화로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2를 탄산염광물로 저장할 수 있는 CSC를 개발하고자 기초 실험을 진행하였다. 클링커 원료 배합에서 SiO2/(CaO+SiO2) 몰비가 다른 세 가지의 CSC 클링커를 제작하여 클링커의 성분 및 상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조한 CSC 클링커는 Wollastonite와 Rankinite가 생성되었다. 또한, CSC 페이스트 탄산화 시험편은 탄산화 생성물로 Calcite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SC 클링커와 CSC 탄산화 시험편은 CSC 클링커 화학조성에서 SiO2/(CaO+SiO2) 몰비가 낮을수록 Wollastonite 생성량이 감소하고 Rankinite의 생성량이 증가하였고, CSC 페이스트 시험편의 탄산화 진행에 따라 Calcite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Rankinite가 Wollastonite보다 CO2를 광물화하는데 반응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턴디쉬용 MgO Coating 재의 손상에 미치는 Flux의 영향 (Effect of Fluxes on the Wear of MgO Coating Materials for Tundish)

  • 홍기곤;박재원;김효준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77-684
    • /
    • 1997
  • The effects of fluxes on MgO coating materials for tundish were investigated. As the number of charge in continuous casting was increased, the basicity of tundish slag was de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silica formed by dissolution from rice hull. As a result, the wear of magnesia lining was increased. In aggregates of MgO coating materials, magnesioferrite was formed by the reaction between magnesia and ferric oxide formed by the oxidation of molten steel, while matrix parts of MgO coating materials were worn by CaO-Al2O3-SiO2 compounds. Silica in rice hull extracted to the molten slag reduced basicity of slag and formed forsterite in the result of its reaction with magnesia lining. Also, fayalite was formed from the reaction between silica and ferric oxide and it caused the increment of magnesia lining's wear. The wear of magnesia lining by flux of CaO-SiO2 was larger than that of Cao-Al2O3 and calcia in the flux increased the wear of magnesia lining through the formation of rankinite.

  • PDF

수열 Hot press법에 의한 화강암폐재의 고화체형성과 AE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Evaluation of the Solidified Granitic Rock by Hydrothermal Hot Press Method and AE Characteristics)

  • 나의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5-252
    • /
    • 1996
  • 본 연구는 화강암 폐재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분말형태의 화강암폐재를 Ca(OH2)와 혼합하여 수열 hot press 법에 의해 고화시켰다. 아울러 고화체의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였으며, 미시적 조직구조의 변화 및 파괴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음향방출실험을 실시하였다. 고화체의 기계적 성질은 수열온도의 의존성이 있었으며, 28$0^{\circ}C$에서 최대강도를 보였다. 또한 고화체의 파면은 수열온도에 따라 현저히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수열실험동안 다양한 화합물이 생성되었다. 그 중에서 cyclowollastonite, tobermorite 및 rankinite 등은 강도를 향상시키는 주된 화합물이었고, crossite 및 xonotlite 등은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한편, 기공이 많이 존재할수록 AE counts는 더많이 발생하였으며, 최대하중에서 AE counts는 최대치를 보였고,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AE신호는 보다 많이 방출되었다.

  • PDF

칼슘실리케이트 시멘트(CSC) 혼입 모르타르의 탄산화 양생 조건에 따른 강도발현 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Strength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alcium Silicate Cement(CSC) Mixed Mortar according to Carbonation Curing Conditions)

  • 김영진;류동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1-142
    • /
    • 2023
  • In this study, the strength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alcium silicate cement mixed mortar according to carbonation hardening conditions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strength increased according to the carbonation hardening time, and the strength increase rate was higher for the specimen with a CO2 concentration of 20%.

  • PDF

폐콘크리트 미분말 치환율에 따른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의 광물상 분석 (Mineralogical Analysis of Calcium Silicate Cement according to the Mixing Rate of Waste Concrete Powder)

  • 이향선;송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1-191
    • /
    • 2024
  • 석회석은 시멘트의 주원료로써 90% 이상을 사용하고 있으며, 고온 소성 과정에서 및 석회석의 탈탄산 반응으로 많은 양의 CO2를 배출한다. 이에 석회석 사용량 저감을 위해 원료를 대체할 수 있는 부산물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또한 광물 탄산화는 기체인 CO2를 탄산염 광물로 전환하는 기술로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CO2를 포집하여 광물로 저장 및 자원화할 수 있다. 한편, 건설폐기물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폐콘크리트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폐콘크리트는 파쇄 및 분쇄를 통해 순환골재로써 활용되고 있으나 이때 발생하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은 유효하게 재이용 되지 못하고 대부분 폐기 또는 매립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를 석회석 대체재로써 활용하여 광물 탄산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폐콘크리트 미분말 치환율 및 이산화탄소 반응 경화 시멘트의 주요 광물이 생성되는 조건인 SiO2/(CaO+SiO2) 몰비에 따른 광물 분석 결과, 폐콘크리트 미분말 치환율과 SiO2/(CaO+SiO2) 몰비가 높을수록 주요 광물인 Pseudowollastonite와 Rankinite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세 가지 SiO2/(CaO+SiO2) 몰비에서 공통적으로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50% 치환한 경우 Gehlenite가 생성되었으며, 생성량 또한 유사하였다. 이는 콘크리트 미분말에 함유하고 있는 Al2O3 성분이 CaO와 SiO2와 반응하여 Gehlenite가 합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Gehlenite의 경우 Pseudowollastonite와 Rankinite와 같이 광물 탄산화를 통해 탄산염 광물인 CaCO3를 생성하는 산화물로써 이는 Al2O3가 함유된 산업부산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의 광물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