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fall-runoff simulation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8초

GIS 기반의 HEC - HMS를 이용한 진위천 유역의 강우-유출모형 구성 (Modeling Rainfall - Runoff Simulation System of JinWie Watershed using GIS based HEC-HMS Model)

  • 김상호;박민지;강수만;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9-12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홍수범람분석 및 홍수피해산정의 기본과정으로 GIS 기반의 수문모형인 HEC-HMS를 이용하여 안성천 유역의 일부인 진위천 유역 ($737.7km^2$)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모형을 구성하는데 있다. HEC-HMS의 입력 자료인 지형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ArcView의 GIS 확장 모듈인 HEC-GeoHMS를 이용하였고 진위천 유역에 대하여 적용을 실시하였다. HEC-HMS 모형은 진위천 유역에 대하여 관측된 강우-유출 자료를 이용한 검정 및 보정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모형에서 수문학적 매개변수는 HEC-GeoHMS에서 추정하였고, HEC-HMS에서 최적화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홍수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WMM모델을 이용한 도시지역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 연구 -전주시를 대상으로 (Study on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Municipal Area Using SWMM Model -A Case Study in Jeonju City)

  • 백도현;임영환;최진규;정팔진;곽동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2호
    • /
    • pp.1185-1194
    • /
    • 2005
  •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s in the municipal area of Jeonju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using the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The flow rates and water qualities of runoff from two types of drainage conduits were measured respectively. One was a conventional combined sewer system and the other was a separated sewer system constructed recently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04, investigations on two rainfall events were performed and flow rate, pH, BOD, COD, SS, T-N and T-P were measured. These data were also used for model calibration.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data and the simulation results by SWMM, it is reported that $80-90\%$ of pollution load is discharged in the early-stage storm runoff. Therefore, initial 10-30 mm of rainfall should be controlled effectively for the optimal treat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urban area. Also, it was shown that the SWMM model was suitable for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urban area and for the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s.

신경망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유출해석 (Radar Rainfall Adjustment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Runoff Analysis)

  • 김수전;권영수;이건행;김형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B호
    • /
    • pp.159-167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지상 우량계의 강우자료와 레이더 강우자료를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의 학습을 통하여 지상 우량계가 가지는 지점 강우의 정확성과 강우레이더가 가지는 강우의 공간정보의 장점을 최대화하여 강우자료를 보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가지 신경망 모형(Model I, Model II)을 사용하였다. Model II의 입력층은 지체시간을 고려한 4개의 레이더 강우로 구성하였고 Model I의 입력층은 4개의 레이더 강우와 지상우량계 강우로 구성하여 안성천 유역의 레이더 강우를 보정하였다. 3가지 강우사상 중에서 총 2개의 사상을 신경망 모형 I, II에 입력하여 최적 매개변수인 연결강도를 추정한 후에 나머지 사상을 사용하여 검증을 실행하였다. 신경망에 의해 보정된 레이더 강우 자료(ANN 강우)와 보정을 하지 않은 레이더 강우를 준분포형 모형인 Modclark 모형에 입력하여 유출을 모의하고, 실제 유출 수문곡선과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보정을 하지 않은 레이더 강우에 의한 유출량은 전체적으로 실제 수문곡선보다 과소 추정되었다. 반면에 ANN 강우의 유출량은 관측유출량과 비교하였을 때 첨두시간과 첨두유량을 가장 근접하게 모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농업용수 이용량을 고려한 금강유역 장기유출모의 (Long-term Runoff Simulation Considering Water for Agricultural Use in Geum River Basin)

  • 우동현;이상진;김주철;안정민
    • 생태와환경
    • /
    • 제43권3호
    • /
    • pp.349-35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 이수적인 측면에서 입력되는 농업용수를 수요측면에서 산정된 계획량에서 실 이용량에 근사하게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장기유출모형을 활용하여 실용성이 높은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업용 수리시설물들이 하천유량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농업용수 이용량을 고려한 장기유출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하천수 의존도가 낮은 지점에서 관측값과 차이가 큰 불량한 모의가 주로 발생하였다. 2) 연강우량과 유출오차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001년이나 2008년과 같은 가뭄년에 실제 용수이용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유출모의시 오차가 커짐을 확인하였다. 3) 장기유출량 모의분석을 통해 논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5월부터 유출량이 음의 값으로 모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규모 수리시설물을 고려하여 보정한 용수량을 이용한 결과 상관계수가 보정전 0.580에서 보정후 0.788로 보정전 모의보다 관측값과 상관성이 높아짐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4) 주요지점의 불일치율($R_D$)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보정을 통한 모의가 적은 불일치 범위에 다수 포함됨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대청지점의 불일치율 분석결과 -2에서 -2.5사이의 저유량 오차구간에 전체오차의 3% 차지하는 75개의 불일치율 나타났다. 이는 소규모수리시설물을 고려하지 못하고 용수량이 과다 산정되어 나타나는 오차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해 모두 개선되었다. 5) 잔차분석을 통해 대청지점의 보정 전/후로 모의타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잔차의 정규성 및 독립성을 분석한 결과 보정을 통해 모의의 타당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수문 특성 분석에 의한 대청유역 주요지점 유출모의 검증 (Verification of Stream Flow by Rainfall-Runoff Simulation and Hydrologic Analysis in Daecheong Basin)

  • 이상진;김주철;노준우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183-189
    • /
    • 2010
  • 장기 유역유출모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대상유역의 주요지점 관측유량과 비교 분석하고, 유량을 재관측하여 하천유량의 적정성과 수문학적 유출특성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SSARR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장기 유역유출모형을 대청 및 용담유역에 구축, 적용하고 검증한 결과 용담댐 및 대청댐 지점의 연중 유출모의는 양호하게 모의된 반면 그 사이에 위치하는 수통관측소의 평 갈수기 유량의 신뢰도는 다소 결여된 것으로 판단되어 해당지점의 하천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용담유역내 천천 및 동향지점을 조사한 결과 관측치와 모형에 의한 모의결과는 매우 근사하였으나 용담 하류의 수통지점은 관측치보다 다소 과다 모의되었다. 재관측 결과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으로부터 산출되는 관측치보다 유출모의결과에 더욱 근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통지점 관측유량의 신뢰도에 수리 수문학적으로 미치는 영향인자를 조사하였다. 수통지점의 수위는 직상류에 위치하는 소수력발전에 의한 방류수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상류부 용담댐 방류량과는 그 상관도가 매우 낮음을 확인하였다. 소수력 발전 방류수를 고려하여 수통지점의 유량을 재추정한 결과 모형에 의한 유출결과와 근사하게 모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보와 같은 수리시설물이 유역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소유역별 용수 이용 중 하천수 의존도를 조사하였다. 농업용수 공급을 주목적으로 하는 주요 수리시설물에 의해 용수를 공급받고 있는 수혜면적비로 추정한 결과 중규모 이상의 농업용 저수지가 다수 분포하고 있는 소유역에서는 상대적으로 하천수 의존도가 적게 분석된 반면, 양수장이나 보 등을 통한 하천수 공급에 의존하는 농경지의 비율이 높아 하천수 의존도가 약 60%로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장기 유역유출모형을 금강유역에 적용하여 그 모의결과를 주요지점의 관측유량과 비교 분석하고, 유량을 재관측하여 하천유량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신뢰도가 결여되었다고 판단되는 지점은 주변의 수문학적 유출특성을 조사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향후 유역의 유출관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수문자료의 신뢰도 평가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여 정확한 수문기초자료의 획득 및 평가와 검증이 요구된다.

청계천 유역에 대한 WEP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WEP Model to the Cheonggyecheon Watershed)

  • 노성진;김현준;장철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8호
    • /
    • pp.645-653
    • /
    • 2005
  • 청계천 유역(유로연장: 13.75 km, 유역면적: $50.95\;km^2$)의 물순환 해석에 물리적 개념의 공간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WEP 모형을 적용하였다. 모형 적용 결과, 청계천 유역은 전형적인 도시 유역의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강우시의 지표면 유출량이 크고, 강우의 유출에 대한 반응이 빠르며, 증발산의 경우는 산림지역보다 도시지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관측값과 비교한 결과 청계천의 하천 유출을 모의하기에 적절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청계천 유역 자체의 복원후 유지유량 공급능력에 대해 추정하였다. WEP 모형의 적용 결과, 2002년 청계천 유역의 물수지는 연간 1,388 mm의 강우에 대하여 830 mm의 지표면 유출이 발생하고 388 mm가 침투되며 397 mm가 증발산에 의해 대기중으로 방출되었다. 하천유출량은 1,228 mm로 이 중 지표면 유출, 중간 유출, 지하수 유출의 비율은 각각 $67.6\%,\;12.7\%,\;19.7\%$이었다.

강우의 공간분포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변동성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 of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on Soil Erosion and Deposition)

  • 이기하;이건혁;정관수;장창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7호
    • /
    • pp.657-67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상류, 천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강우의 공간분포 특성에 의한 유역에서의 침식 및 퇴적양상을 분석하고, 유출 및 유사량 모의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강우의 공간적 분포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점 강우 내삽기법(Thiessen Polygon: TP,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Kriging) 및 레이더 강우 합성기법(Gauge-Radar ratio: GR, Conditional Merging: CM)을 이용하여 태풍으로 인한 3개의 집중호우 사상기간동안의 강우장을 생성한 후 각 기법들에 의해 생성된 강우장의 양적, 공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기법별로 생성된 공간분포형 강우를 분포형 수문모형에 적용하여 강우의 공간분포에 따른 유역에서의 강우-유사-유출분석 및 유역에서의 침식 및 퇴적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상 우량계를 이용한 내삽기법의 경우 유사한 우량주상도 및 수문응답을 나타내었으며, 원시 레이더 자료 및 GR기법에 의한 결과는 각각 과소, 과대산정된 반면 CM기법은 레이더 강우의 공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양적으로도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양적으로 유사한 강우장임에도 불구하고, 각 기법에 의한 강우장의 공간적 특성으로 인하여 대상유역내 침식 및 퇴적양상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토조실험에 의한 투수성 포장재의 수문학적 요소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al Factor for Permeable Pavement by using Soil Tank Experiment)

  • 전상미;이정민;박재현;이상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1-192
    • /
    • 2009
  • In this study, the hydrological properties of permeable pavement were analyzed by the experiment and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numerical model used was a modified SWMM especially for considering the hydrological response of permeable pavement. The parameters of modified SWMM were revis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n the practicability was evalua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In the experiments, three different rainfall intensities such as 65 mm/hr, 90 mm/hr, 95 mm/hr were supplied for 4 hrs, and the hydraulic properties including surface outflow, subsurface outflow, ground water level, soil water contents were measured for 10 hrs. The results showed rainfall intensity effected directly on surface outflow volume and subsurface outflow volume was more effected by ground water level than rainfall intensity. The ground water level and the soil water contents were under estimated a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except the portion of occurring direct runoff. The surface and subsurface outflow discharge were simulated very well in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data. Consequently, the modified SWMM could be used very effectively to evaluate the hydrological property of permeable pavement.

Simulation and validation of flash flood in the head-water catchments of the Geum river basin

  • Duong, Ngoc Tien;Kim, Jeong Bae;Bae, Deg-Hy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8-138
    • /
    • 2021
  • Flash floods are one of the types of natural hazards which has severe consequences. Flash floods cause high mortality, about 5,000 deaths a year worldwide. Flash floods usually occur in mountainous areas in conditions where the soil is highly saturated and also when heavy rainfall happen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magnitude of a flash flood depends on several natural and human factors, including: rainfall duration and intensity, antecedent soil moisture conditions, land cover, soil type, watershed characteristics, land use. Among these rainfall intensity and antecedent soil moisture, play the most important roles, respectively. Flash Flood Guidance is the amount of rainfall of a given duration over a small stream basin needed to create minor flooding (bank-full) conditions at the outlet of the stream basin. In this study, the Sejong University Rainfall-Runoff model (SURR model) was used to calculate soil moisture along with FFG in order to identify flash flood events for the Geum basin. The division of Geum river basin led to 177 head-water catchments, with an average of 38 km2. the soil moisture of head-water catchments is considered the same as sub-basin. The study has measured the threshold of flash flood generation by GIUH method. Finally, the flash flood events were used for verification of FFG. The results of the validation of seven past independent events of flash flood events are very satisfying.

  • PDF

강우자료의 공간해상도에 따른 모의 유출특성 민감도 고찰 (A Sensitivity of Simulated Runoff Characteristics on the Different Spatial Resolutions of Precipitation Data)

  • 이도길;황세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5권6호
    • /
    • pp.37-49
    • /
    • 2023
  • Rainfall dat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ata in hydrologic modeling. In this study, the impacts of spatial resolution of precipitation data on hydrological responses were assessed using SWAT in the Santa Fe River Basin, Florida. High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FAWN and NLDAS rainfall data, which are observed weather data and simulated weather data based on observed data, respectively. FAWN-based scenarios had higher maximum rainfall and more rainfall days and events compared to NLDAS-based scenarios. Downstream areas showed lower correlations between rainfall and peak discharge than upstream area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site. All scenario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 flow, and showed less than 5% of differences in high flows among NLDAS-based scenarios. The impact of resolution will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and topography and the applied model, and thus, is a process that must be considered in advance in runoff simulation research. The study suggests that applying the research method to watersheds in Korea may yield more pronounced results,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data resolution in hydrologic mod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