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sh-leaf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5초

생균제 미생물비료가 알타리무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ial Fertilizers on the Yield of Aitari Radish)

  • 김경제;김석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7-116
    • /
    • 1998
  • The result of application of the organic manure obtained from livestocks fed with BLCS in the altari radish under structure were as follow. The no. of leaves, leaf, root length, root width, and total weight of altari radish treated with dong of fowl(BLCS) were the highest in any other treatment, and cattle drop-ping (BLCS) was higher, also. The contents of total N, P2O5, K2O, CaO, MgO, and sugar content in the altari radish treated with dong of fowl(BLCS) were the highest, and the second was cattle dropping (BLCS). The contents of OM, P2O5, K, Ca, Mg, and CED of soil treated with microorganism were the highest in the cattle dropping (BLCS) in any other plots, however. In general, effect of cattle manure fed with BLCS on the altari radish yield and mi-crobial activity were higher than cattle manure did not feed BLCS.

  • PDF

식이섬유용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충북지역 중학생의 식이섬유 섭취 실태 (The Development of the Dietary Fibe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Dietary Fiber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ungbuk Province)

  • 신나실;이인선;김향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9-557
    • /
    • 2012
  • In this study, the FFQ-50 questionnaire which composed of 50 food items frequently eaten as sources of dietary fiber, was developed and used to estimate the dietary fiber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ungbuk province. According to the survey,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dietary fiber for the boys and girls were $23.3{\pm}12.3$ g (93.2%) and $20.8{\pm}11.5$ g (104.0%),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 The proportions of boys and girls who did not reach to the sufficient dietary fiber intake were 66.2% and 53.9% respectively. The major sources of dietary fiber were grain foods and vegetables, which measured at 77.24%, followed by fruits, seaweeds, tofu and tofu products, potato and starch, and mushrooms. The cooked white rice contributed the highest (17.81%), followed by baechu-kimchi, cooked brown rice, ramyeon (instant noodle), tangerine, sesame leaf jangajji (pickled sesame leaf), topokki (spicy rice cake stir-fry), blanched and seasoned bean sprouts, bread, and radish kimchi. The study showed that the cooked white rice was the major source of dietary fiber in the boys' diet followed by baechu-kimchi, ramyeon, cooked brown rice, tangerine, bread, strawberry, blanched and seasoned bean sprouts, sesame leaf jangajji, radish kimchi. Girls were taking in dietary fiber mostly from boiled white rice followed by baechu-kimchi, boiled brown rice, tangerine, ramyeon, sesame leaf jangajji, topokki, blanched and seasoned bean sprouts, radish kimchi, and boiled barley.

Bacillus mojavensis KJS-3를 이용한 식물의 생육촉진 활성연구 (Biological Control of Plant Growth Using the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mojavensis KJS-3)

  • 표재성;사밀라 스레스타 아마티아;박송희;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08-1315
    • /
    • 2014
  • 식물성장촉진 뿌리박테리아(PGPR)을 사용한 생물학적 조절(Biological control)은 최근 몇년 동안에 주목 받게 되었다. PGPR은 산업적으로 중요한 감자, 토마토 그리고 쌀과 같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의 성장촉진과 관련되어있다.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견된 Bacillus mojavensis KJS-3은 Aspergillus terreus, A. fumagatus, A. flavus and Fusarium redolense에 대해 항진균작용을 가지고 있는 균주로, 이미 여러 산업적인 측면에서 유용한 가능성이 확인된 균주이다.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mojavensis KJS-3를 알타리무와 상추에 $0.5{\times}10^9cfu/g$, $1.0{\times}10^9cfu/g$$2.0{\times}10^9cfu/g$의 3가지 농도로 분무, 재배한 후, 잎의 수, 길이, 무게, 뿌리와 근경의 길이, 넓이 및 무게를 비교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생육촉진작용을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Bacillus mojavensis KJS-3를 처리한 군이 더 높은 생육성장을 보였으며, $1.0{\times}10^92cfu/g$농도에서의 재배는 저농도에서의 재배보다 더 높은 생육 성장을 그리고 고농도에서의 재배와 비슷한 생육성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B. mojavensis KJS-3의 생물학적 비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B. mojavensis KJS-3의 다른 작물에 대한 생육조절제의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의 재배기간중 질산태질소의 함량변화에 따른 질산환원효소의 활성 (Nitrate Reductase Activity by Change of Nitrate Form Nitrogen Content on Growth Stage of Radish)

  • 조성민;한강완;조재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3-390
    • /
    • 1996
  • 무의 재배시 사용되는 질소비료의 형태, 시비량, 제초제농도가 무의 부위별 질산태질소의 함량, 질산 환원효소 활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산태 질소비료가 암모니아태 질소비료 보다 무의 생육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질산태질소의 함량의 경우 무의 엽병과 엽에서는 파종후 25일경에, 뿌리에서는 32일${\sim}$39일 사이에서 높게 나타났다. 2. 또한 무의 부위별 질산태질소 함량은 엽병, 뿌리, 그리고 엽의 순서로, 질산환원효소 활성은 엽병, 엽, 그리고 뿌리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제초제 Alachlor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에서의 질산태질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질산환원효소 활성도 같은 경향이었다.

  • PDF

무 유식물의 생장과 Peroxisome 효소 활성에 미치는 트리아콘타놀의 효과 (Effects of Triacontanol on Growth and Peroxisomal Enzyme Activities in Radish (Raphanus sativus L.) Seedlings)

  • 진창덕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4호
    • /
    • pp.241-251
    • /
    • 1984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iacontanol (TRIA) on plant growth and peroxisomal enzyme activities in radish seedlings.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RIA with respect to radish seedling bioassay was decided to 1.0mg $1^{-1}$. In comparison to untreated controls (including Tween 20 treatment), 1.0mg $1^{-1}$ TRIA treatment caused an increase in seed germination rate and root growth, but no stimulation in hypocotyl growth. Chlorophyll accumulation in cotyledon during carly development stage increased rapidly, and degradation of chlorophyll in later stage due to the cotyledon senesence was noticeably retarded. Increase of soluble protein content in cotyledon at early period of development was observed. Isocitrate lyase and catalas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the treated and the untreated plants. But, glycolate oxidase activity was inhibited by TRIA down to 20% against controls. Also, the increase of the activity of peroxidase, a leaf-senescence marker enzyme, was continuously retarded over control for 8 days of development. Based on above results, TRIA was found to be active in both the growth and the peroxisomal enzyme activities of radish seedlings.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Gatt (Brassica juncea)

  • Park, Jung-Eun;Moon, Sung-Won;Jang, Myung-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21-27
    • /
    • 2005
  • To improve Dongchimi (watery radish kimchi) quality and preservation, 0, 3, 5, 10, and 15% of gatt (Brassica juncea; leaf mustard) per radish was added.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for 45 days. Total acidity increased slowly by addition of gatt during initial fermentation period, and 15% treatment showed lowest total acidity. Total vitamin C content increased initially in all treatments depending on gatt content, and decreased thereafter. Period for reaching maximum value was delayed by addition of gatt. Highest total vitamin C was found in 15% treatments. In the case of reducing sugar, 5% treatment showed highest contents. Lactic, succinic, and tartaric acid contents consistent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while those of malic and citric decreased. Turbidity and total solid contents of Dongchimi liquid increased in all treatments as fermentation proceeded, although the extent was rather suppressed by addition of gatt. Colorimetric lightness values decreased, while the initial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in redness and yellowness. Addition of gatt at above 15% weight level per radish accelerated fermentation at the later fermentation stage thus it should be avoided. Most changes in typ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were similar depending on treatments. More acceptable Dongchimi could be prepared by fermenting at 5% gatt concentration under given conditions.

양액 조성이 식물공장 재배 어린잎채소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Quality of Baby Leaf Vegetables Hydroponically Grown in Plant Factory as Affected by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 곽유리나;김동섭;전창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1-274
    • /
    • 2015
  • 식물공장에서 양액 종류가 다채, 로메인, 비트, 적무 어린잎채소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레탄스펀지에 파종한 후 14일간 광원을 형광등으로 하는 폐쇄형 재배 시스템에서 재배하였다. 재배 시스템 내 광도는 $110{\mu}mol{\cdot}m^{-2}{\cdot}s^{-1}$, 명암주기는 16/8h, 명/암기 기온은 $25/20^{\circ}C$로 유지하였다. 파종 후 7일은 수돗물을, 이후 7일은 수돗물, 한국 원시, 일본 엔시, 상추용 야마자키 양액을 각각 관수하였다. 파종 14일 후 다채의 생체중은 야마자키 양액을 공급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비트와 적무의 생체중은 양액 종류 간 유의차가 없었다.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 주요 요인 중 하나인 엽색을 비교하기 위하여 양액 종류에 따른 4작물의 Hunter's L과 a값을 측정하였다. 어린잎채소의 녹색과 적색을 Hunter's a값으로 비교하였을 때, 한국 원시와 일본 엔시 양액을 공급한 처리구에서는 녹색을, 야마자키 양액을 공급한 처리구에서는 적색을 더 띄었다. 다채, 비트, 적무의 총페놀함량은 양액 종류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로메인은 한국 원시 양액을 공급한 처리구에서 총페놀함량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어린잎채소의 생육과 품질을 고려해 볼 때, 식물공장 재배 시 로메인은 한국 원시 양액이, 비트와 적무는 야마자키 양액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음식물류폐기물 퇴비와 계분퇴비 사용이 열무 성장과 토양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od-waste and poultry manure compost on the growth of young radish and the change of soil properties)

  • 김용성;김병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1호
    • /
    • pp.159-170
    • /
    • 2007
  • 음식물류폐기물을 이용한 퇴비는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의 농도가 낮고, 유기물 농도가 높아 토양에 시비하여 토지개량제로의 역할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포천시 일동면 소재의 나대지 (latitude $38^{\circ}0^{\prime}N$, longitude $127^{\circ}20^{\prime}E$)에 있는 음식물류폐기물 퇴비와 계분 퇴비를 각각 3, 6, $9kg/m^2$과 1, 2, $3kg/m^2$로 시용하여 열무의 성장특징과 생리적 특징,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통해 음식물류폐기물 퇴비의 답 토양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음식물류폐기물 퇴비를 사용한 포장에서의 열무는 초장의 경우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성장량이 좋았으며, 잎수, 잎면적, 초부와 근부의 무게는 6 kg 처리구가 가장 성장량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계분퇴비 시용구에서는 2 kg 처리구가 기타 처리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성장량이 적었다. 생육 초기 음식물류폐기물 퇴비 9 kg의 성장량이 다른 처리구보다 적었으며, 이는 종자의 발아단계에서 음식물류폐기물 퇴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된다. 용적밀도는 모든 시비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물리적 성질의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광합성능력도 염해, 오존, 질산성 질소와 같은 일반적인 외부 스트레스로 인한 감소와는 다른 경향을 보여 답 토양에 대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계분퇴비를 시비한 포장에서 electric conductivity(EC)의 농도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음식물류폐기물 퇴비 6, $9kg/m^2$ 시비구에서는 토양내 electric conductivity(EC)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음식물류폐기물을 원료로 한 퇴비를 시용하는 토양의 특성과 작물의 종류 및 기후 등에 따른 염류 집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시비처방시에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무 탄저병을 일으키는 Colletotrichum속의 종 동정 및 병원성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Colletotrichum Species Causing Anthracnose of Korean Radish (Rhaphanus sativus) in Korea)

  • 최효원;김점순;홍성기;이영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93-406
    • /
    • 2019
  • 2017년 8월경, 강원도 홍천군, 정선군, 평창군 소재 무 재배 포장에서 잎자루와 잎의 주맥에 형성된 탄저병 병징이 관찰되었다. 회색 내지 짙은 갈색을 띤 1-2 mm 크기의 점무늬가 아래 잎과 잎의 주맥에 형성되었다. 이러한 점무늬는 점차 확대되고 합쳐지면서 갈색을 띤 불규칙한 병반으로 나타났다. 병든 무 잎에서 10개의 Colletotrichum균을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의 형태적 특성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intervening 5.8S rDNA (ITS), partial beta-tubulin gene (TUB2), partial actin gene (ACT) 및 partial chitin synthase-1 gene (CHS-1) 부위를 사용한 다자위 분자 계통 분석(multilocus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에 의해 8개 균주는 Colletotrichum higginsianum, 2개 균주는C. truncatum으로 동정되었다. 무(시래기무, 오사리무)와 배추(품종: 추노, 스마트)를 대상으로 상처와 무상처로 구분하여 포자현탁액을 떨어뜨려서 접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무에서는C. truncatum 1개 균주를 제외하고 상처와 무상처 접종에서 모두 병징을 나타냈고, 배추의 경우는C. higginsianum 접종구에서만 상처의 유무에 관계없이 병이 발생하였다. 국내에는 기존에 C. higginsianum은 무와 배추의 탄저병균으로 보고되었으며, C. truncatum에 의한 무 탄저병의 발생은 본 연구에서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Pectobacterium brasiliense as a Causative Agent for Soft Rot of Radish in Korea

  • Kyoung-Taek Park;Soo-Min Hong;Chang-Gi Back;In-Kyu Kang;Seung-Yeol Lee;Leonid N. Ten;Hee-Young Jung
    • 식물병연구
    • /
    • 제29권1호
    • /
    • pp.64-71
    • /
    • 2023
  • In October 2021, soft rot disease seriously affected radish crop in Dangjin, Chungcheongnam-do, Korea. The infected radishes were stunted and turned dark green, with yellowish leaf foliage. A slimy, wet, and decayed pith region was observed in the infected roots. The bacterial strain KNUB-03-21 was isolated from infected roots. The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 were similar to those of Pectobacterium brasiliens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sequences of the 16S rRNA region and the concatenated DNA polymerase III subunit tau (dnaX), leucine-tRNA ligase (leuS), and recombinase subunit A (recA) genes confirmed that the isolate is a novel strain of P. brasiliense. Artificial inoculation of radish with P. brasiliense KNUB-03-21 resulted in soft rot symptoms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infected radish in the field; subsequently, P. brasiliense KNUB-03-21 was reisolated and reidentifie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 brasiliense as a causal pathogen of radish soft rot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