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sh sprout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4초

적색/원적색광 조사 비율에 따른 3종 배추과 채소 새싹의 Glucosinolate 함량 및 항산화 기능성 평가 (Evaluation of Individual Glucosinolates, Phytochemica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under Various Red to Far-Red Light Ratios in Three Brassica Sprouts)

  • 조정수;이준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5-42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3가지의 배추과 작물의 새싹에서 적색(R)과 원적외선(FR)광에 초점을 맞추어서 glucosinolate(GSL),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함량,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제한된 환경조건에서 5일된 새싹에 3가지의 R/FR비율을 2일동안 24시간 노출시켜 식물화학물질과 항산화활성을 대조군[형광등, R:B(8:2), 암조건]과 비교하였다. 총 GSL 함량은 각 처리 기간 동안 3가지의 작물 중 브로콜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브로콜리 새싹에서 R/FR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총 GSL 함량이 감소하는 반면 배추와 무의 새싹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배추 및 브로콜리의 주요 GSL인 progointrin은 대조군에 비해 R/FR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최대 38%, 69%까지 감소하였다. 3가지 배추과 새싹에서 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비타민 C의 함량 모두 암조건에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및 항산화 활성은 3가지 배추과 새싹에서 R/FR 비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와 비타민 C 함량은 작물 간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FR의 보광에 따라 배추과 새싹의 기능적 품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냉동 비빔밥 제조 공정 중 콩나물, 무채 및 돈육의 품질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an Sprout, Radish, and Pork During the Unit Processing in Frozen Bibimbab Production)

  • 김이슬;선민지;홍근표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32-34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냉동비빔밥 제조 공정 중 주요 식재료인 콩나물, 무채 및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콩나물의 품질은 원료의 데치기 공정, 해동 공정 및 최종조리 단계에서 변화가 야기되었으며, 특히 데치기 공정이 이후 단위 공정에 따른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정 단계로 평가되었다. 무채는 해동 및 최종 조리 단계에서 높은 중량 감소를 보였지만, 다른 식재료에 비하여 감소 폭이 현저하지 않았다. 반면 취반미 혼합 공정에서 조직이 물러지는 현상이 야기되었다. 돈육은 취반미 혼합 및 최종조리 등 열처리에 의하여 중량 감소 및 연도 저하가 현저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원료 단계에서 콩나물의 데치기 온도 및 시간에 대한 최적화 공정이 요구되며, 특히 모든 식재료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취반미 혼합 공정에서의 품질 변화 억제를 위하여 냉동밥과 식재료를 분리하여 개별 냉동 후 포장할 수 있는 공정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국과 숙주나물에 사용된 간장의 기호도 조사 (Sensory Preference of Soy Sauces used for Seasoning Soups and Cooked Mungbean Sprouts)

  • 이영춘;송주호;이승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07-511
    • /
    • 1994
  • 재래식 간장과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양조간장을 미역국, 무우국, 북어국, 숙주나물에 조미료로 사용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소비자들이 국을 조미하는데 소금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감안하여, 기호도 조사에 소금도 포함하였다. 관능검사는 일차적으로 차이식별검사를 실시하여 두 조미료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인정되면, 소비자의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차이식별검사는 약 30명의 훈련된 패널을 이용하여 삼점법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소비자 기호도 조사에는 약 100명의 소비자 패널을 이용하여 기호척도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미역국, 무우국, 북어국에 재래간장, 시판 국간장 및 소금을 조미료로 사용한 경우 조미료간에 현저한 맛의 차이가 있었으며, 소비자 패널은 시판 국간장을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소금을 선호하였다. 재래간장과 시판 진간장을 이용하여 각각의 sauces를 만들어 숙주나물 무침에 사용하여 차이식별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용한 sauces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나, 소비자 검사결과 sauces간에 기호도의 차이는 없었다.

  • PDF

채소의 용매분획 추출물들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by Solvent Separation on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강배광;정순택;김선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4-248
    • /
    • 2002
  • 용매분획에 의한 콩나물, 미나리, 무의 추출물들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A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에서 조사하였다. 이 추출물들은 알코올로 추출한 것을 용매분획에 의해 수용성 분획물과 유기성인 염기성, 산성, 중성, 페놀성 분획물들을 얻었다. 수용성 분획물들은 유기성 분획물들 보다 ADH 활성을 훨씬 높게 촉진시켰다. 수용성 분획물인 콩나물, 미나리, 무의 촉진율은 각각 125.75%, 104.94%, 87.63%를 나타냈다. 염기성, 산성, 중성의 분획물들에서 염기성 분획물이 약 40%로 가장 높았고 다른 분획물들은 25% 이하로 나타났으며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페놀성 분획물들 역시 ADH 활성에 큰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다. 따라서, 이 분획물들을 ADH 활성 촉진에 이용할 때는 무기물, 아미노산 등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용성 분획물들을 이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모의 유통 온도조건에 따른 MA 저장중 무순의 저장성 비교 (Comparison of Storability of Radish Sprouts According to Simulated Distribution Temperature Conditions)

  • 강호민;최인이;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6-170
    • /
    • 2009
  • 국내 싹채소 유통 온도를 조사해본 결과 예냉하여 포장 후 출하할 때까지 일정기간 5도에서 보관되었으며, 수송은 10도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판매소에서 저장고에 입고될 때까지 수시간 동안 상온에 다시 노출되었고 이후 10도 수준의 판매소의 저장고에 입고되고 있었다. 이러한 유통조건을 모의처리 하였는데 5$^{\circ}C$로 계속 유지된 대조구와 10$^{\circ}C$, 20$^{\circ}C$, 30$^{\circ}C$에서 약 6시간 저장한 후 10$^{\circ}C$에 17일간 저장하여 비교하였다. 25$^{\circ}C$에서 암상태로 5일간 재배한 무를 명상태에서 l일간 녹화 후 수확하여 25 ${\mu}$m ceramic film으로 포장하여 앞서 설명한 5가지 유통조건에서 유통저장하였다. 상하차 처리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생체중 감소와 외관상 품질 저하가 발생하였다. 포장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저장경과 l일후 상승하였고, 산소 농도도 저장경과 1일후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에틸렌 발생량도 고온 노출에 인해 저장 경과 l일후 빠르게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노출온도가 낮을수록 외관상 품질등을 비롯한 저장성이 향상되었다.

고랭지 여름 무에서 시들음병 발생 현황과 병원균의 병원학적 특성 연구 (Status of Fusarium Wilt Incidence on Summer Radish and E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usal Fungus in Korea)

  • 홍성기;고형래;최효원;이영기;김점순
    • 식물병연구
    • /
    • 제26권4호
    • /
    • pp.256-263
    • /
    • 2020
  • 2018년과 2019년에 강원도 여름 재배 무 포장에서 시들음병 발생이 조사되었다. 시들음병은 7월 상순 발생했고, 7월 하순과 8월 뜨거운 여름에 급속히 확산되었으며, 심한 경우, 일부 포장에서는 80%까지 발생하였다. 유묘기에 병든 무는 생육이 불량하고 뿌리 내부조직이 갈변되었다. 생육중기 동안 시간이 지나면서 병든 잎은 황화되고 뿌리표면은 흰색에서 흑색으로 변색되고, 도관조직은 갈변하였다. 병든 식물체로부터 23개 Fusarium균이 분리되었고, EF-1α와 IGS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로 동정되었다. 무와 다른 작물에 대한 인공접종에 의해 병원성이 검정되었다. 11개 품종 간에 차이는 있었으나 모든 균주들은 무에서 병원성이었다. 그러나 로켓, 방울양배추, 스토크, 순무를 포함하는 배추과 작물을 제외하고는 병원성이 없었다. 병원성 검정결과는 무 포장에서 시들음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배추과 채소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새싹채소 오염세균의 에탄올과 유기산에 의한 제어 (Bacterial Biocontrol of Sprouts through Ethanol and Organic Acids)

  • 조선경;박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9-155
    • /
    • 2012
  • 즉석섭취 신선편이식품 중의 하나인 새싹채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오염 미생물 제어방법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대형할인마트에서 유통 중인 새싹채소 20제품을 수집하여 세균수와 B. cereus를 살균소독하는 방법으로 에탄올과 초산, 구연산, 젖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에탄올과 유기산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보다 혼합처리한 실험구에서 세균생육저해가 현저하였으며, 유기산 중에서는 1% 젖산-20% 에탄올 처리구에서 10분 노출시간에 7~8 log CFU/g의 세균을 저감화 시킬 수가 있었다. 주요한 식중독 세균인 E. coli,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 E. faecalis에 직접 20% 에탄올-1% 젖산로 처리했을 때 10분 후에 세균의 감소가 5~7 log CFU/g 이루어졌으며, Gram 음성세균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 새싹채소에서 에탄올 20%와 젖산, 초산, 구연산 1%를 처리한 후 관능검사는 처리 직후가 하루 후보다는 조직감, 갈변화, 이취 등에서 약간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차아염소산과 더불어 에탄올-젖산 등의 유기산의 적절한 조합으로 새싹채소의 오염 미생물을 저감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혼합 싹채소의 MAP를 위한 포장재 비교 (Comparison Packing Materials for Proper MAP of Mixed Sprout Vegetables)

  • 강호민;최인이;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6-230
    • /
    • 2008
  • 혼합 싹채소의 MAP에 적합한 포장재를 선발하기 위해 알팔파, 브로콜리, 양배추, 무, 그리고 적무의 혼합 싹채소를 $50{\mu}m$ 두께의 low-density polyethylene 필름(PE 50), $50{\mu}m$ 두께의 polypropylene 필름(PP 50), $50{\mu}m$ 두께의 ceramic 필름(CE 50), $25{\mu}m$ 두께 ceramic 필름(CE 25), $10\sim13{\mu}m$ 두께의 polyethylene film(wrap), 그리고 통기구가 있는 polyethylene terephthalate 박스(box)로 포장하여 $8^{\circ}C$에서 저장 비교하였다. 저장 중 혼합 싹채소의 생체중은 7%의 감소를 보인 box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2% 미만의 감소만을 보였다. 포장재 내부 대기는 필름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CE 25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모두 5% 수준이었으나, PE 50과 CE 50은 이보다 높은 이산화탄소와 낮은 산소 농도를 보였는데, 이러한 대기 조성 변화가 이들 처리구에서 가장 이취가 가장 심했던 원인이라 생각된다. 저장 10일째 포장재 내 에틸렌 농도는 box가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PP 50, wrap, CE 25의 순서로 높았으며 외관상 품질이 저하가 가장 심하였던 PE 50과 CE 50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1% 미만의 생체중 감소와 5% 수준의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 그리고 4ppm 이하의 에틸렌 농도를 보인 CE 25가 혼합 싹채소에 가장 적합한 포장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esponse of Sprouts and Leafy Vegetables after Applying Oxygen Nanobubble Water

  • Lee, Seo Youn;Jung, Seo Hee;Cho, Ah Ram;Shim, Myung Syun;Chung, You Kyung;Kim, Yoon Ji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09-617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nanobubbles remain stable in water, and it increased dissolved oxygen (DO) in the water that promotes the seed germination and the plant growth. We evaluated the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sprouts (radish, wheat, and barley) and leafy vegetables (red mustard and pak choi) when irrigated with various DO of nanobubble water (NB). Methods: The oxygen NB was generated by surface friction and treated in 4 levels: NB 0% (control, DO 9.21 mg·L-1), NB 20% (DO 15.40 mg·L-1), NB 33% (DO 20.93 mg·L-1), and NB 100% (DO 39.29 mg·L-1). Results: The root length of radish and wheat increased more in NB 33% than the control plot. The fresh weight increased in NB 33% compared to the control plot in radish and wheat, and both fresh and dry weight increased more in NB 20%, NB 33%, and NB 100% than the control plot of barley. The leaf length and width of red mustard decreased more in NB 33% and NB 100% than the control plot and NB 20%, which indicated the leaf compactness. The fresh and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increased more in NB 100% than the control plot in red mustard. In pak choi, the shoot fresh weight increased more in NB 100% than the control plot. In leafy vegetables, the germination rate of red mustard in NB 100% was higher than the control plot,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xygen NB plots in sprout vegetable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ot growth and biomass increased after applying NB 33% in sprout vegetables. The leaf growth properties as the number of leaves and leaf siz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r decreased in NB treatments compared to control plots, but NB 100% (DO 39.29 mg·L-1) effectively increased the root growth and plant biomass in leafy vegetables.

Evaluating Plant Uptake of Veterinary Antibiotics with Hydroponic Method

  • Park, Saet Byel;Kim, Sun Ju;Kim, Sung Chu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2-250
    • /
    • 2016
  • Veterinary antibiotics (VAs) has been used to treat animal disease and to increase animal weight as growth promoter. However, abused usage of VAs can cause produc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s (ARGs) in the environment and additionally, residual of VAs in soil can be transferred into crops. Therefor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bioaccumulation of VAs in sprouts (red cabbage, Brassica Olearacea L. var. Capitata f. rubra and red radish, Raphanus sativus) with hydroponic method. Total of 7 VAs in 2 different classes of VAs (tetracyclcines: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sulfonamides: sulfamethoxazole, sulfamethazine, sulfamethiazole, macrolides: tylosin) were evaluated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solid phase extraction (SP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HPLC/MS/MS). Initial spiked concentration of 7 VAs was $5mg\;L^{-1}$ and cultivation period was 8 days. Result showed that growth of sprouts was inhibited about 23-27% when VAs was introduced. Amount of bioaccumulated VAs was also differed depending on class of VAs. The highest amount of bioaccmulated VAs was tetracycline and sulfamethoxazole in each class with a concentration of 4.05, $7.73mg\;kg^{-1}$ respectively. Calculated transfer ratio of VAs into crops was also ranged 0.38-54.27%. Overall, bioaccumulation of VAs in crops can be varied depending on crop species and class of VAs. However,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bioaccumulation of VAs in crops in the soi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