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strontium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초

마우스복강내 투여한 방사성스토론튬의 체외배설 촉진제로서 카이토산의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Chitosan on the Elimination of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Radiostrontium (Sr-85))

  • 김지열;김광윤;범회승;김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3-297
    • /
    • 1993
  • 카이토산은 천연착화제의 일종으로 카이틴의 유도체인데 셀룰로오스와 유사한 다당류로서 갑각류, 곤충, 균류, 효모등에 널리 퍼져있다. 카이토산은 수용성과 불용성의 두가지 형태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성 카이토산을 일반 마우스식이에 섞어 60일과 90일의 장기간 복용했을 때, 복강을 통하여 체내에 유입되는 방사성스트론튬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가를 조사한 것이다. 그 효과를 카이토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60일 처리군, 90일 처리군 간에 비교하였다. 10% 수용성카이토산 분말을 보통식이에 혼합하여 60일, 90일 간격으로 섭취시킨 후에 방사성스트론튬을 복강을 통하여 주사하였다. 그리고 5일간 식이를 복용시킨 후 6일째에 척추, 두개골, 대퇴골, 경골, 치아, 꼬리뼈 등으로 세분, 도살 부검하여 감마카운터로 계측하였다. 대조군은 카이토산을 처리하지 않았다. 각각의 실험군은 마우스 5개체로 구성하였다. 90일간 카이토산을 처리한 군이 대조군과 60일 처리군에 비해 방사성스트론튬의 골조직 침착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골조직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수용성카이토산은 체내에 유입되는 카이토산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장기간 처리했을 때 그 효과는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수용성 카이토산은 복강중으로 오염되는 방사성스트론튬의 방어약제로 쓰일 수 있으며, 그 중 장기간 수용성 카이토산을 투여할 수록 그 배출효과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수용성 카이토산에 의한 체내 방사성스트론튬의 제거 (Removal of Radiostrontium ($^{85}Sr$) from the Rat by Water Soluble Chitosan)

  • 김광윤;범희승;김희경;최근희;김지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3-129
    • /
    • 1993
  • $^{85}Sr$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85}Sr$의 오염에 앞서 3% 카이토산을 체내에 투여한 경우 $^{85}Sr$의 체내 잔존율이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 배출효과에 있어서 위장관에 의해 1일 1회 5일간의 연속투여군에서는 1회 단일투여의 경우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수용성 카이토산의 경우 1회 투여군에서는 불용성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1일 1회 5일 간의 연속 투여군에서는 약2배 이상 그 배출율이 증가하여 연속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방사선 스트론튬이 체내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배출물의 경우 변증으로 대부분이 배출되며 카이토산의 투여군에서는 뇨를 통한 배출은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수용성 카이토산의 투여군에 의해 방사성 스트론륨의 소화관 흡수가 저해되어 결과적으로 배출이 촉진될 뿐만 아니라 골대사 중에 작용하여 표적 기관으로부터 $^{85}Sr$을 추출시키는데도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수용성 카이토산과 불용성 카이토산이 방사능 방호약제로 유효하게 쓰일 수 있으며 그중 3% 수용성 카이토산은 연속적으로 투여 한 경우 $^{85}Sr$의 체내 대사에 영향을 미쳐 장기간 투여시 $^{85}Sr$을 체외로 배출시 키는데 기여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카이토산을 이용한 방사성스트론튬 오염의 치료 (The Removal of Contaminated Radiostrontium from Mice by Water Soluble Chitosan)

  • 범희승;김광윤;양광희;채기문;최근희;송호천;김지열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30-234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에 이미 오염된 방사성스트론들(Sr-85)을 제거하는데 수용성카이토산이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Sr-85를 정맥주사한 경우 주사후 1일째의 체내 잔류량은 $72.9{\pm}5.7%$, 5일째는 $57.7{\pm}1.9%$, 7일째는 $54.2{\pm}1.4%$로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Sr-85를 복강내 주사한 경우는 주사후 5일째 $54.4{\pm}1.2%$, 15일째 $50.6{\pm}0.8%$로 정맥주사에 비해 낮은 잔류량을 보였다(5일째 잔류량의 비교, P<0.05). 0.3% 수용성카이토산을 1회 정맥주사해준 제2군 및 10% 수용성카이토산을 식이중에 섞어 먹인 제5군은 각각의 대조군에 비해 체내 잔류방사능의 차이가 없었으나(P>0.05), 0.3% 수용성카이토산을 3일간 정맥주사 한 제3군과 3% 수용성카이토산을 이틀 간격으로 15일간 복강내 주사한 계6군에서는 각각의 대조군에 비해 낮은 잔류방사능을 보였다(P<0.01). 결론적으로 수용성카이토산을 연속적으로 정맥투여하거나 복강내 투여하는 경우에는 스트론튬의 골대사촉진 또는 골중의 스트론튬과의 반응등을 통해 그 배출을 촉진시킬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방사성(放射性) 스트론듐의 체내오염(體內汚染)에 대한 응급처치제(應急處置劑)의 효과(效果) (Effect of First-Aid Drugs on Internal Contamination of Radiostrontium)

  • 정인용;김태환;진수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16-23
    • /
    • 1989
  • 방사성 물질 체내 오염에 대한 진단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85}SrCl_2\;1{\mu}Ci$를 NIH(GP) 마우스의 복강내 투여로 체내 오염시키고, $CaNa_3DTPA$ 8.4 mg, sodium alginate 5 mg 및 saline 5 ml등을 병행 투여로 응급 처치한 후 경과 시간에 따라 도살 부검하여 중요 장기 및 배설물의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방사성 스트론튬에 대한 단기간의 유효 반감기는 33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각 처치제의 배설효과는 $CaNa_3DTPA$가 4.7배, sodium alginate가 1.7배, 그리고 saline이 2.4배 이었다. 스트론튬 단독 투여군의 체내 축적은 척추(脊椎), 대퇴골(大腿骨), 흉골(胸骨), 간장(肝臟)의 순이었으며, 배설 경로는 요(尿) 35.4%, 변(便) 64.4% 및 기타 0.2%이었고, $CaNa_3DTPA$ 및 saline 투여군은 주로 뇨, 그리고 sodium alginate 투여군은 변(便)을 통하여 배설하였다. 이로부터 방사성 스트론튬 체내 오염에 대한 응급 처치는 $CaNa_3DTPA$, sodium alginate 및 saline등을 병행 투여함으로써 방사선 피폭을 경감시킬 것으로 사료 되었다.

  • PDF

Sr resin을 이용한 방사성 스트론튬 분리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Radiostrontium Separation Process Using Sr Resin)

  • 정윤희;김현철;서경석;강문자;정근호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3-130
    • /
    • 2015
  • 순수 베타 핵종인 90Sr 분석은 화학적 거동이 유사한 알칼리 토금속(Ca, Ba, Ra)등 방해 원소를 제거할 분리 공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Sr을 추출/정제하기 위해 추출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최적의 절차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r resin 1.5 mL BV(Bed Volume)의 최대 Sr 흡착량은 6 mg이었다. 유량 1 mL min-1과 Ca 200 mg 이하에서는 Sr resin 1.5 mL(BV)의 Sr 회수는 정량적이었으나, 유량을 5 mL min-1으로 중가 시키면 Sr 회수율이 감소하였다. 같은 양(BV)의 Sr resin을 사용할 경우, 컬럼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Sr resin의 분리능이 향상되었다.

Crown Ether/Chloroform 용매추출법을 이용한 토양시료중의 $^{89}Sr,\;^{90}Sr$ 분석 (Analysis of $^{89}Sr,\;^{90}Sr$ in Soil Sample Using Crown Ether/Chloroform Solvent Extraction Method)

  • 홍광희;최용호;김상복;이명호;박효국;최근식;김삼랑;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9-16
    • /
    • 1996
  • 환경시료 중 토양에 대한 방사성 스트론튬인 $^{89}Sr$$^{90}Sr$의 분석을 위해 Ca과 Sr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Crown ether를 이용한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발연질산법과 비교하여 보았다. Crown ether를 이용한 추출방법을 기존의 발연질산법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높은 Sr 수율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과 절차가 훨씬 빠르고 간단했다. Crown ether을 이용한 추출방법으로 원전주변 토양에 대한 방사성 스트론튬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방사성핵종 분석에 의한 환경감시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스트른튬 분석법을 제시하였다

  • PDF

Estimation of radiostrontium, radiocesium and radiobarium transfer from arid soil to plant: A case study from Kuwait

  • Aba, Abdulaziz;Ismaeel, Anfal;Al-Boloushi, Omar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3호
    • /
    • pp.960-966
    • /
    • 2021
  • A technical approach to design and carry out an experiment to determine the uptake of selected radionuclides in site-specific conditions in Kuwait was developed and successfully executed for developing a radioecological decision support system. The radionuclides from soil-to-plant transfer factors have been obtained for leafy and non-leafy vegetables, and root crops cultivated in Kuwait. Two types of vegetated soils were selected and spik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three relatively short-lived selected radionuclides (85Sr, 134Cs, and 133Ba). The highest strontium and barium transfer factors were found in the order: leafy vegetables > root crops > non-leafy vegetables. The approximate range of radiocesium transfer factor was found to be low in all plant groups and was comparable to those reported elsewhere in different soil types of temperate and tropical environment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btained transfer factors and the distribution coefficient of the radionuclide in soil was found. It is recommended to adopt the newly derived parameters for the sensitive areas in Kuwait and other Gulf countries instead of using the generic parameters, whenever dose calculation codes are used. This will help to more accurately assess and predict the end results of the committed effective dose equivalent through ingestion pathway.

Distribution of 90Sr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al Radiation Samples of Jeju Island, Korea

  • Han, Chung Hun;Park, Youn Hyun;Lee, Young Gyu;Park, Jae Wo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418-423
    • /
    • 2016
  • Background: This work was to get information about $^{90}Sr$ contamination of the environment by using soil and moss from selected areas in Jeju Island, Korea. Materials and Methods: The activities of $^{90}Sr$ in soil and moss samples were investigated at nine locations of Jeju island, Korea. The soil samples have been collected at 4 sites of Jeju island during June to August of 2013, analyzed for vertical distribution of $^{90}Sr$ activities. The moss samples have been collected at 5 sites of Jeju island during November of 2011 to June of 2012, and analyzed for radioactive $^{90}Sr$. Results and Discussion: The $^{90}Sr$ vertical concentrations in the investigated soil samples were 2.77 to $18.24Bq{\cdot}kg^{-1}$ in eastern part, 1.69 to $18.27Bq{\cdot}kg^{-1}$ in northern part, 3.76 to $13.46Bq{\cdot}kg^{-1}$ in the western part and 1.09 to $8.70Bq{\cdot}kg^{-1}$ in the southern part of the Mt. Halla in Jeju island, respectively. Activities of $^{90}Sr$ show the highest value at the surface soil and decrease with depth. The activity concentration measured was in the range of 79.6 to $363Bq{\cdot}kg^{-1}$ -dry moss. Conclusion: This material is expected to be basis reference for survey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in Jeju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