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inone reductase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41초

불등가사리 분획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Growth Inhibition Effects of Cancer Cell Lines by Gloiopeltis furcata Fractions in Vitro)

  • 박성영;정복미;최영현;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71-775
    • /
    • 2005
  • 본 실험은 홍조해조류의 하나인 불등가사리를 추출 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와 QR유도활성 효과 등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불등가사리를 이용하여 4종의 인체 암세포주HepG2, HeLa, MCF-7및 HT-29와 정상 간세포에 대한 암세포 증식억제 실험을 한 결과 사용한 4종의 암세포주에서 모두 시료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식 저지 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불등가사리의 methanol 분획층인 GFMM에서는 매우 낮은 농도의 시료첨가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정상 간세포에서는 모든 분획층에서 약한 세포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에 미치는 독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시료는 여성암의 대표적인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의 암세포 성장저지효과가 탁월하였다. 한편, 사용한 4가지 암세포주 중 유일하게 QR을 가지고 있는 HepG2를 이용한 암 예방지표인 QR 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분획물 첨가농도를 10, 20, 30 및 40 $\mu$g/mL로 첨가하였을 때 GFMM의 첨가농도 $20\mu 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높은 QR 유도효과를 나타내어 최종농도 $40\mu g/mL$에서는 2.6의 암 예방 QR 유도효과를 나타내었다.

부추 추출 성분의 항발암 효과 연구 (Anticarcinogenic Effects of Allium tuberosum on Human Cancer Cells)

  • 박윤자;김미향;배송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88-693
    • /
    • 2002
  • 천연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이 있는 성분을 추출 분리하여 그 유효 성분을 탐색함으로써 질병 예방 및 치료제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부터 혈액 순환을 돕고, 지혈 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탁에 상용되는 야채인 부추를 이용하여 4종의 인체 암세포주인 HepG2, HeLa, MCF7 및 SK-N-MC를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및 암예방 QR 유도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암세포 증식억제 실험 결과, 4종의 암세포주 모두 ethylether층인 ATMEE에서 아주 높은 농도 의존적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다. 즉 본 실험에 사용된 인체 암세포주 4종에서 시료의 농도가 $150\;{\mu}g/mL$일 때 각 세포주 모두 약 90% 이상의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신경아종세포주인 SK-N-MC 에서는 ethylether층의 시료 농도를 다른 층을 첨가시의 농도보다 적은 $100\;{\mu}g/mL$ 첨가에서도 이미 99.8%의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신경아종세포인 SK-N-MC에서는 ethylacetate층인 ATMEA의 경우에서도 최종 첨가 시료농도를 $200\;{\mu}g/mL$ 첨가했을 때 이미 91%의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암예방 quinone reductase(QR) 유도활성을 측정한 결과, 시료의 butanol 분획물 ATMB를 $50\;{\mu}g/mL$ 첨가했을 때 시료무처리구인 대조군을 1.0으로 한 경우 암예방 QR유도 효과가 아주 높은 3.92배의 활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인체암세포 4종류에 대한 암세포 증식억제(cytotoxicity) 효과는 부추의 ethylether 분배층(ATMEE)에서 제일 뚜렷하였고, 암예방 QR 유도활성 효과는 butanol 분배층(ATMB)에서 가장 유도효과가 좋았다. 나아가 단계적인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동정이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ompounds Obtained from Sida acuta with the Potential to Induce Quinone Reductase and to Inhibit 7,12-Dimethylbenz-[a]anthracene-Induced Preneoplastic Lesions in a Mouse Mammary Organ Culture Model

  • Jang, Dae-Sik;Park, Eun-Jung;Kang, Young-Hwa;Su, Bao-Ning;Hawthorne, Michael-E.;Vigo, Jose-Schunke;Graham, James-G.;Cabieses, Fernando;Fong, Harry H.S.;Mehta, Rajendra-G.;Pezzuto, John-M.;Kinghorn, A.-Douglas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8호
    • /
    • pp.585-590
    • /
    • 2003
  •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tOAc-soluble extract of the whole plants of Sida acuta using a bioassay based on the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OR) in cultured Hepa 1c1c7 mouse hepatoma cells, led to the isolation of ten active compounds of previously known structure, quindolinone (1), cryptolepinone (2), 11-methoxyquindoline (3), N-trans-feruloyltyramine (4), vomifoliol (5), loliolide (6), 4-ketopinoresinol (7), scopoletin (8), evofolin-A (9), and evofolin-B (10), along with five inactive compounds of known structure, ferulic acid, sinapic acid, syringic acid, ($\pm$)-syringaresinol, and vanillic acid. Thes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physical and spectral data measurement. A new derivative of quindolinone, 5,10-dimethylquindolin-11-one (1a) was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spectroscopically. Of the active substances, compounds 1-3 and 1a exhibited the most potent QR activity, with observed CD (concentration required to double induction) values ranging from 0.01 to 0.12 $\mu$ g/mL. Six compounds were then evaluated in a mouse mammary organ culture assay, with cryptolepinone (2), N-trans-feruloyltyramine (4), and 5,10-dimethylquindolin-11-one (1a) found to exhibit 83.3, 75.0, and 66.7% inhibition of 7,12-dimethylbenz[a]anthracene-induced preneoplastic lesions, respectively, at a dose of 10 $\mu\textrm{g}$/mL.

Comparison on the effects of Cytotoxicity and Quinone Reductase Inducing Activity from Porphyra tenera and Enteromorpha linz

  • Jean, Kwang-Hye;Kim, Mi-Hyang;Bae, Song-Ja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30.2-231
    • /
    • 2003
  • The seaweed, as source of bio-active substances as well as food,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ytotoxic and chemopreventive effects of Porphyra tenera (PT) and Enteromorpha linza (EL). The PT and EL extracts from methanol were fractionated to five different types, which are hexane, ethylether,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omitted)

  • PDF

Induction of Ornithine Decarboxylase and Tumor Promotion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Sodium Chloride, and Dimethyl Itaconate

  • Aeree moon, Aeree-Moon;Kim, Dae-Joong;Han, Beom-Seok;Hwang, Moon-Ok;Kim, Chang-Ok;Choi, Kwang-Si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권2호
    • /
    • pp.137-142
    • /
    • 1993
  • The possible tumor-promoting activities of sodium chloride (NaCl) and dimethyl itaconate (DMI), one of the quinone reductase inducers, were examined on stomach of male Wistar rats treated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Administrations of NaCl and DMI after the initiation by MNNG resulted in various sized masses in the rat forestomach. Histopathologic studies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NaCl and DMI made an enhancing effect on the MNNG-induced carcinogenesis, resulting in papilloma in 5 weeks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20 weeks in submucosal area of forestomach. We also used an in vivo shortterm method for evaluating possible tumor-promoting activity with ornithine decarboxylase (ODC) as a marker. The markable inductions of the ODC activities by MNNG, NaCl, and DMI were found in the pyloric mucosa of rat stomach in time-dependent manners. A single administration of MNNG induced ODC activity up to 288 pmol $CO_2$/hr/mg protein at 24 hr after the administration. NaCl caused induction of ODC with a maximum of 179 pmol $CO_2$/hr/mg protein at 8 hr after the administration. ODC was induced up to 539 pmol $CO_2$/hr/mg protein at 16 hr after the administration of DMI. Additional treatment of NaCl and NaCl plus DMl caused 2 fold and 7 fold increases, respectively, in the ODC activity of the MNNG-alone group at 24 hr after the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Cl and DMI have promoting activities in the rat gastric carcinogenesis initiated by MNNG.

  • PDF

감두약침액의 암예방 효과 (Chemopreventive Effect of Gamdutang Aqua-Acupuncture Solution)

  • 한상훈;조경희;최혜경;임종국;손윤희;이임태;남경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684-691
    • /
    • 1999
  • 한방에서 염증, 종양 억제 등에 사용되는 감초와 흑소두, 감초와 흑대두를 정량으로 배합하여 조제한 약침액을 이용하여 암 억제효과를 살펴 보았다. 발암물질을 무독화 시키는 QR 생성 유도를 생쥐의 간암세포인 Hepa1c1c7과 rat의 간세포 Ac2F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감두약침액, 열수추출액을 처리한 Hepa1c1c7 세포에서 감두약침액과 열수 추출액에 의한 GSH 생성이 증가하였고, GST활성측정에 의하면 Hepac1c7 세포에서 감두약침액에 의한 GST 생성이 증가하였다, 농도별 감두약침액과 역수추출액에 의한 A. castellanii 증식을 살펴 본 결과, 약침수액과 열수추출액이 A. castellanii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효과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