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stionnaire validation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4초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대상 식사조사를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정현;김오연;이민준;박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1호
    • /
    • pp.76-94
    • /
    • 2021
  • 본 연구는 결혼으로 한국에 이주한 다문화여성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SQ-FFQ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SQ-FFQ는 결혼이주여성 대상 선행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의 SQ-FFQ 및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다소비, 다빈도 식품목록과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식품들을 고려하여 41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 분량은 0.5인분, 1인분, 1.5인분의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섭취빈도는 지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를 10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SQ-FFQ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조사지의 재현성 및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과 대전 일부 지역의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한 35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SQ-FFQ (2회) 및 3일 식사 기록지를 조사한 후 1, 2차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간의 영양소 섭취량 차이 및 SQ-FFQ와 3일 식사기록 간의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1-2주간격으로 조사한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에너지와 다량영양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섭취량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칼슘, 칼륨의 경우 1차 조사의 평균 섭취량보다 2차 조사의 평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약간 높았다. 1차 및 2차 조사에서 도출된 동일 영양소 섭취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동일 영양소 섭취량 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0.453-0.885). 식품섭취빈도 조사와 3일 식사기록의 결과 비교를 통한 타당도 검증 결과, 식사 기록법보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에너지, 탄수화물, 탄수화물, 비타민 C, 티아민, 엽산, 비타민B12, 칼슘, 나트륨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섭취빈도법이 식사기록법보다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차 식품섭취빈도조사와 식사기록법의 상관관계는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는데, 식물성 지방이 0.602로 가장 높았고, 총 섭취 에너지, 탄수화물, 지방, 티아민의 상관계수도 0.512-0.599로 다른 영양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비타민 A와 C, 칼슘, 철, 나트륨 등의 영양소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 다문화여성의 식생활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파악하고자 개발된 자기기입식 SQ-FFQ는 신뢰성이 검증된 조사도구이며 에너지와 주요 영양소의 섭취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최종 3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것으로 향후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일부 영양소의 섭취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조사식품 항목에 대한 조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며, 특히, 미량영양소의 경우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정성적인 조사를 병행하는 등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산출을 위한 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위한 근거자료들이 더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성인을 위한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ults: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 이정숙;김혜영;황지윤;권세혁;정해랑;곽동경;강명희;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4호
    • /
    • pp.340-356
    • /
    • 2018
  • 본 연구는 생애주기 중 성인 대상 영양지수 (NQ for adults)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성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식생활지침 및 국가 영양정책, 전문가 및 포커스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성인 368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식사섭취조사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 항목을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로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기본 층화변수로 6개 권역을 설정하고 권역별로 성별, 연령군별 성인 인구수를 기준으로 비례 배분하여 총 1,053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성인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21개 항목, 4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평가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한 후 추정된 경로계수를 적용하여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성인 NQ를 위한 4개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25, 절제 0.30, 식행동 0.20이었다. '균형' 영역에는 과일, 달걀, 콩이나 콩제품, 우유 또는 유제품, 견과류, 생선류 섭취 빈도 및 아침 식사 빈도 7개 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영역에는 채소 반찬, 물 섭취 빈도와 편식 수준 3개 항목이, '절제' 영역에는 패스트푸드, 라면류, 단음식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가당음료 섭취 빈도, 야식, 외식이나 배달음식 섭취 빈도 6개 항목이, '식행동' 영역에는 영양성분표시 확인, 건강한 식습관 노력 정도, 건강 인지 수준, 30분 이상 운동한 빈도, 음식 먹기 전 손씻기 5개 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NQ 평균 점수는 53.2점 이었고, 영역별 점수는 균형 38.6점, 다양 55.9점, 절제 67.1점, 식행동 47.0점 이었다. NQ를 기준으로 58점 이상인 경우 '양호'로, 58점 미만인 경우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인 NQ는 21개 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NQ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및 식행동 영역의 점수 산출이 가능하며, 상대적인 NQ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영양이 양호한 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성인 NQ는 체계적인 영양관리,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교육사업 및 정부의 영양정책 효과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hange Motivation Scale for Growth and Development)

  • 이은주;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1호
    • /
    • pp.59-8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Change Motivation for Growth and Development)를 '자신의 현재 행동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목표 달성을 위해 기꺼이 행동하도록 하는 힘'으로 정의하고, 일반 성인들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를 측정하는 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코칭 전문가 7명과 코칭 유경험자 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일반 성인 55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후 3차례의 문항 분류 작업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7개 요인, 83개 문항을 선정하여, 일반 성인 32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개요인 42 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 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 검증을 위해 일반 성인 631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1의 315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그룹2의 316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변화동기 척도의 구성개념을 검증하였다. 그룹1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1개 문항으로 구성된 3개 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2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구조의 수정모형 적합도가 양호하게 확인됨에 따라 성장 및 변화를 위한 변화동기 척도의 구성개념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준거관련타당도 분석을 위해 다양한 변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3개 각 요인은 대부분의 변인과 유의하게 관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 미래 연구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정신장애인의 치료동의능력 평가 도구 개발 : 신뢰도와 타당화 (Developing a Tool to Assess Competency to Consent to Treatment in the Mentally Ill Patient: Reliability and Validity)

  • 서미경;이민규;김승현;조성남;고영훈;이혁;이문수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4권3호
    • /
    • pp.579-596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형 치료동의 능력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이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각 하위능력별 능력, 무능력을 구별할 수 있는 최적의 절단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 참여자는 정신의료기관에 입원해 있는 정신질환자,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 및 사회복귀시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질환자 중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사람으로, 정신분열증 160명, 기분장애 32명, 기타(강박장애, 알코올) 1명으로 총 193명이었다. 이해능력(understanding), 적용능력(appreciation), 표현능력(expression of a choice), 추론능력(reasoning) 등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본 치료 동의능력 평가도구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K-MMSE, 지능, 통찰력검사, BPR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 도구의 평정자간의 일치도가 .80~.98로 매우 높고 내적 일관성계수 역시 .56~.83으로 신뢰할만한 수준이었다. 본 도구의 구성개념 타당화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알아본 결과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고, 준거관련 타당화를 위해 MMSE, BPRS, IQ, 병식을 검사한 결과 IQ, MMSE는 동의능력 중 이해, 적용, 선택의 표현, 추론 능력 모두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ROC 분석 결과 본 척도의 절단점으로 전체점수 18.5점, 하위 영역들의 절단점은 이해능력 4.5, 적용능력 8.5, 의사 표현 0.5, 추론 3.5점이 제안되었다. 이런 결과는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하며 진단성 효용성을 지님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AT and Dyspnea-12 in Bronchiectasis and Tuberculous Destroyed Lung

  • Lee, Bo-Young;Lee, Seo-Hyun;Lee, Jae-Seung;Song, Jin-Woo;Lee, Sang-Do;Jang, Seung-Hun;Jung, Ki-Suck;Hwang, Yong-Il;Oh, Yeon-Mo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6호
    • /
    • pp.467-474
    • /
    • 2012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sessment test (CAT) and Dyspnea-12 Questionnaire for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or tuberculous destroyed lung. Methods: For 62 bronchiectasis patients and 37 tuberculous destroyed lung patients, 3 questionnaires including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s (SGRQ), CAT, and Dyspnea-12 were obtained, in addition to spirometric measurements. To assess the validity of CAT and Dyspnea-12, correlation with SGRQ was evaluated.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CAT and Dyspnea-12,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calculated. Results: The mean ages of the patients were $60.7{\pm}8.3$ years in bronchiectasis and $64.4{\pm}9.3$ years in tuberculous destroyed lung. 46.8% and 54.1% were male, respectively. The SGRQ score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the Korean version of CAT (r=0.72, p<0.0001) and Dyspnea-12 (r=0.67, p<0.0001) in bronchiectasis patients. The SGRQ score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CAT (r=0.86, p<0.0001) and Dyspnea-12 (r=0.80, p<0.0001) in tuberculous destroyed lung patient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he CAT and Dyspnea-12 were 0.84 and 0.90 in bronchiectasis, and 0.88 and 0.94 in tuberculous destroyed lung, respectively. Conclusion: We found that Korean version of CAT and Dyspnea-12 are valid and reliable in patients with tuberculous destroyed lung and bronchiectasis.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자기효능감, 기대 성취욕구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 쇼핑몰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in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the Self-efficacy, the Achievement need and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

  • 김정인;이일한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5호
    • /
    • pp.21-31
    • /
    • 2014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자기효능감, 기대 성취욕구 및 교육만족도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첫째,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창업교육 강사, 창업교육 전문성, 창업교육 차별성, 창업교육 운영)이 자기효능감과 기대 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째, 자기효능감과 기대성과가 창업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국내의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가 운영하는 카페24 인터넷 쇼핑몰 창업교육팀의 해당 교육을 수강한 교육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창업교육 전문성, 창업교육 차별성, 창업 교육 운영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기대 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창업교육 전문성, 창업교육 운영이 기대 성취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 효능감과 기대 성취욕구가 창업교육 만족도에 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기 효능감과 기대 성취요구가 창업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서비스 품질, 자기효능감과 기대 성취욕구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자기효능감과 기대성취욕구와 창업교육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A Valid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sessment Test (CAT)

  • Hwang, Yong Il;Jung, Ki-Suck;Lim, Seong-Yong;Lee, Yil-Seob;Kwon, Nam-He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4권6호
    • /
    • pp.256-263
    • /
    • 2013
  • Background: Health status measure is not only important for clinical research studies but also for clinical practice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ati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COPD Assessment Test (CAT) in primary care clinics as well as in referral hospitals. Methods: Smokers or ex-smokers, aged 40 years or older, with a smoking history of >10 pack-years; and a COPD diagnosis in the past 6 months or more, were recruited from 4 primary care clinics and 2 referral hospitals. Demographic, medical, and spirometry data was collected from patients who completed the CAT and St. George Respiratory Questionnaire (SGRQ), and had their dyspnea been assessed.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correlation between of the Korean version of CAT with SGRQ in patients with COPD. Results: A total 100 patients were enrolled. The mean age and smoking amounts were $69.2{\pm}8.4$ years and $40.6{\pm}22.3$ pack-years, respectively. Sixty-seven percent of the patients reported at least one exacerbation in the past year. The mean CAT score was $16.9{\pm}8.0$. The internal consistency assessed by Cronbach's alpha was 0.85. The CAT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GRQ score (r=0.76, p<0.0001) and each component of SGRQ: symptoms, activity and impacts; r=0.68, r=0.61, and r=0.72, respectively (all p<0.0001). These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eserved in the different groups (r=0.86, p<0.0001 in primary care clinic group; r=0.69, p<0.0001 in hospital group). The CAT score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dyspnoea scale (r=0.46, p<0.0001).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CAT ha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showed good correlations with SGRQ. It can be used for assessing the impacts of COPD on the patient's health including primary care setting.

한 대학병원에서의 천식환자의 대체-보완의료의 실태와 경향 (The Current Status of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for Asthmatics in Korea : Experience in One Tertiary Care Hospital)

  • 황보영;박미나;최혜숙;최천웅;유지홍;강홍모;박명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4호
    • /
    • pp.339-346
    • /
    • 2006
  •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 대체-보완의료가 기관지천식의 환자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지리라고 추측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성인천식환자에서의 대체-보완의료의 실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성인천식환자에 있어서 대체-보완의료의 사용실태와 경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2000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경희대병원에 1회 이상 입원한 병력이 있는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 연구에 동의하는 환자 100명에게 직접면담 하거나 전화를 통해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환자들의 병력은 병록지를 참고로 조사하였다. 결 과: 조사환자 100명 중 53명이 대체-보완 의료를 경험하였다. 환자가 치료받은 병원 수가 많을수록 대체-보완의료를 경험한 횟수가 많았으며, 연령 별로는 50대가 가장 많이 대체-보완의료를 경험하였다. 흔히 사용한 대체-보완의료의 종류는 음식 및 건강식품이 35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약초가 28명, 침 요법이 9명, 쑥뜸요법이 6명, 그리고 호흡운동이 1명이었다. 결 론: 연구에 참여한 천식환자의 절반이상(53%)에서 대체-보완의료를 경험하였다. 향후 천식치료에 있어 한방 및 대체-보완의료에 대한 실태와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아동간호학 국가시험문제 보완을 위한 교과목 강의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Curriculum Content of child Nursing in Korea)

  • 조결자;송지호;최명애;신희선;김순애;정현숙;탁영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5-16
    • /
    • 1998
  • The purpose of nursing education is to prepare the professional pratictioner as nurse who will be interesteed in the health and the related aspects of community and will assume responsibility for con tributing toward the improvement of the health for the all. This means that nursing education must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hich make this possible. Consequently, this approach has relavence for nursing education. Faculty engaged in endless debates about what is to be included, and to what de1th, and what will be given short shrift as a result. Thus, it can be seen why there is so much confusion and lack of agreement between the emphasis and objectives in nursing.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and identify the curriculum content of child nursing in Korea to build and develop the standard curriculum contents for national board examination for nurses and child's health needs for the coming 21st centry.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items for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knowledge components and type of unit with weigh to be attained in child nursing. Response of 34% of nursing program in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Content analysis was done by using consensual validation of essential knowledge for curriculum content to identify what is obvious or trivial. This study pointed out that it is not yet apparent that demographic fact has greatly influenced child nursing curriculum content. In a similar vein the majority of content of child nursing devote little time and weigh to social and epidemically significant to child health. It seems to be needed that the content of child nursing may push the paradigm shift in nursing education such as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for potentional roles of child and family. In conclusion, it is the time to convoke and debate for convergence of model on essential content and standarization on job analysis for national board exam for nurses in Korea.

  • PDF

한국판 맬버른 저시력 일상생활지수(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MLVAI)의 신뢰도 및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

  • 유연환;박지혁;정민예;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2호
    • /
    • pp.51-61
    • /
    • 201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에서 개발된 수행기반의 관찰평가도구인 Melbourne Low-Vision ADL Index(MLVAI)를 한국 문화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저시력인 26명, 정안인 42명으로 총 68명이었다. 한국판 MLVAI는 번역 검증 및 도구 구성에 대한 전문가 검증을 통해 완성하였다. 한국판 MLVAI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립하였고, 신뢰도는 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 수립을 위해 저시력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이 시행한 문항적합도 검증에서는 .78이상으로 타당성이 수립되었다. 판별타당도 검증은 저시력 집단의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낮았다(p<.05). 수렴타당도는 Low Visi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LVQOL)을 이용하여 한국판 MLVAL 총점과의 상관계수 .751을 산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전체 항목에 대한 Cronbach's ${\alpha}$값은 .983으로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76(p<.05), 검사자간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2,1) .91로 모두 양호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한 한국판 MLVAI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모두 갖춘 일상생활 평가도구로 작업치료 중재 시 저시력인의 일상생활활동의 평가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