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y tool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8초

Visual Query and Analysis Tool of the Moving Object Database System

  • Lee, J.H.;Lee, S.H.;Nam, K.W.;Park, J.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455-457
    • /
    • 2003
  • Diverse researches are working moving objects.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in a moving object database system are query and analysis of spatio -temporal data providing decision-making and problem solving support. Traditional spatial database query language and tools are inappropriate of the real world entities. This paper presents a spatio-temporal query and analysis tool with visual environment. It provides effective, interactive and user-friendly as well as statistic analysis. The moving objects database system stores plentiful moving objects data and performs spatio-temporal and nonspatio-temporal queries.

  • PDF

LTSA 기반의 질의 응답 학습 도구 개발 (A Development of Query-Answer Learning Tool based on LTSA)

  • 김행곤;김정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3호
    • /
    • pp.269-278
    • /
    • 2003
  • 웹 기반 교육의 대중화로 학습 보조 도구를 이용한 다양한 웹 학습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또한 이틀 시스템의 운용 환경, 컨텐츠명세 그리고 활용 등의 상호 운용성 지원을 위한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국제표준기관 등을 통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e-learning 개발 환경을 위한 Learning Technology Standard Architecture(LTSA)를 기능별 5계층을 IEEK에서 제정하였다. 이 LTSA의 학습 보조 도구 표준화 영역에서 학습과정 피드백을 제공하는 질의 응답 학습 방법에 대한 표준규약기능을 명세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표준화 기술인 ITSA 시스템 구성중 제 3계층을 기반한 질의 응답 학습 도구에 대해 연구한다. 데이터 중심으로 작성된 LTSA 컴포넌트를 객체지향 또는 컴포넌트 패라다임으로 재 정의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기존의 Loaming Object Meatdata(LOM)을 참조하여 질의 응답 메타 데이터인 Query Answer Metadata(QAM)를 서술한다. 이들 재정의 모델과 QAM을 통합한 Query Answer Learning Tool(QALT)를 분석, 설계하여 프로토타이핑시스템으로 구현한다. 이를 통해 웹 기반 교육의 효율성 및 관련 도구 개발의 품질 및 생산성 효율을 가진다.

OWL 온톨로지 사용을 위한 SPARQL 쿼리 툴 (SPARQL Query Tool for Using OWL Ontology)

  • 조대웅;최지웅;김명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1-30
    • /
    • 2009
  • 시맨틱 웹에서는 RDF, RDFS, OWL과 같은 온톨로지 구축 언어를 이용하여 웹 리소스의 메타데이터를 정의한다. 이러한 시맨틱 웹 기술을 이용한 연구는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한 온톨로지의 개념에 대한 관계 및 트리플을 추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에이전트 기반의 온톨로지의 개념에 대한 관계 및 트리플의 추출은 에이전트의 특성상 한정된 쿼리 문을 작성하게 된다. 이는 온톨로지 안의 다른 개념에 대한 관계 및 트리플을 추출하고자 할 때는 유연성이 떨어진다. 온톨로지 정보 자체에 대한 유연성 있는 정보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표준 온톨로지 언어에 접근 및 표준 쿼리 언어의 이용이 가능한 쿼리 툴이 필요 하다. 본 논문에서는 OWL 온톨로지에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접근이 가능하고, 쿼리를 할 수 있는 SPARQL 쿼리 툴을 제안한다. 툴에 의해 생성되는 쿼리 결과는 SOAP 메시지 형태로 변환 출력함으로써 웹 서비스를 이용한 접근도 가능하다.

XML-GDM을 기반으로 한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사상을 위한 XML문서와 질의의 객체 모델링 (Object Modeling for Mapping from XML Document and Query to UML Class Diagram based on XML-GDM)

  • 박대현;김용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7D권2호
    • /
    • pp.129-146
    • /
    • 2010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XML 문서는 유연하고도 개방적인 특성으로 인해 정보교환이나 전송을 위한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XML 문서를 위한 시각적, 직관적 질의 언어인 XML-GL은 질의에 대한 의미와 결과 문서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XML 문서에 대한 구조 검색과 정보의 공유가 용이하다. 그리고 UML은 정해진 표기법과 다양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객체지향 분석과 설계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XML-GL의 데이터 모델인 XML-GDM을 기반으로 표현된 XML 문서를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사상하기 위한 새로운 객체 모델링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서 XML 문서를 직관적인 방법으로 객체지향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객체지향 검색방법을 적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XML 문서를 검색할 수가 있다.

규칙기반 역공학 도구의 구현 및 평가 (A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Rule-Based Reverse-Engineering Tool)

  • 진영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35-141
    • /
    • 2004
  • 소프트웨어의 종류가 다양하고, 커짐에 따라서 유지 보수 문제는 더욱 복잡하고 어렵게 되고, 프로그램 에러의 교정이나 요구 사항의 변경, 사용자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되면서 소프트웨어의 유지 보수가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에서 가장 비용을 많이 차지하는 부분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재구성 환경을 위한 역공학 도구를 설계, 구현하였다. 이 도구는 클래스 정보를 이용한 규칙기반 역공학 도구이다. 프로그램 유지보수자가 프롤로그를 이용한 시스템 쿼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부분의 유사한 클래스를 추출하기 위한 재구조화 방법과 변수와 함수 사이의 관계에 근거를 둔 방법을 사용하였다. 추출된 클래스의 가시성이 자동적으로 산출되고, 논리언어를 이용한 쿼리를 사용함으로서 실질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이 도구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웹검색 행태 연구 - 사용자가 스스로 쿼리를 뭉치는 방법으로 - (Web Search Behavior Analysis Based on the Self-bundling Query Method)

  • 이중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9-228
    • /
    • 2011
  • 검색이 편재화 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PC를 너머 스마트폰과 스마트TV에서도 검색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검색행태도 진화 중이다. 하지만 검색행태 연구는 서버의 트랜잭션 로그(transaction log)를 기반으로 하거나 사용자 로그(user log)를 관찰하는 경우에도 개별 쿼리(query instance)를 분석단위로 삼기에 여러 매체와 여러 시간을 가로지르는 검색 행태를 분석하기에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덩어리 지운 쿼리 뭉치(bundled query)를 살펴보아 시간과 매체를 가로지르며 궁금증을 해결해 나가는 사용자의 검색행동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사용자 PC에 웹로그 캐처를 설치하고, 취합된 웹검색 기록을 사용자들이 직접 덩어리 지워 같은 궁금증을 가진 뭉치를 만들도록 하였다. 또한 각 뭉치에 대한 설문을 통해 검색의 동기, 계기, 만족도 및 검색 후 활동을 조사하였다.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뭉치는 전화 인터뷰를 통해 검증하였고 맥락을 확인하였다. 뭉치를 통한 인터뷰는 검색 당시의 기억을 떠올리는 힌트로 작용하여 사용자의 검색 회상을 생생하게 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들은 하루에 평균 4.75개의 검색 뭉치를 발생시키고, 각각의 검색 뭉치는 평균 2.75개의 쿼리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뭉치 내 쿼리의 발전을 '쿼리의 정교화'와 '주제의 정교화'라는 상위 범주 아래 9개의 패턴으로 확인하였다.

Intelligent Query Processing Using a Meta-Database KaDB

  • Huh, Soon-Young;Moon, Kae-Hyun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161-171
    • /
    • 1999
  • Query language has been widely used as a convenient tool to obtain information from a database. However, users demand more intelligent query processing systems that can understand the intent of an imprecise query and provide additional useful information as well as exact answers. This paper introduces a meta-database and presents a query processing mechanism that supports a variety of intelligent queries in a consistent and integrated way. The meta-database extracts data abstraction knowledge from an underlying database on the basis of a multilevel knowledge representation framework KAH. In cooperation with the underlying database, the meta-database supports four types of intelligent queries that provide approximately or conceptually equal answers as well as exact ones.

  • PDF

Intelligent Query Processing Using a Meta-Database KaDB

  • Huh, Soon-Young;Hyun, Moon-Kae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161-171
    • /
    • 1999
  • Query language has been widely used as a convenient tool to obtain information from a database. However, users demand more intelligent query processing systems that can understand the intent of an imprecise query and provide additional useful information as well as exact answers. This paper introduces a meta-database and presents a query processing mechanism that supports a variety of intelligent queries in a consistent and integrated way. The meta-database extracts data abstraction knowledge form an underlying database on the basis of a multilevel knowledge representation framework KAH. In cooperation with the underlying database, the meta-database supports four types of intelligent queries that provide approximately or conceptually equal answers as well as exact ones.

  • PDF

계층 최대 R-트리를 이용한 범위 상위-$\kappa$ 질의의 효율적인 수행 (Efficient Execution of Range $Top-\kappa$ Queries using a Hierarchical Max R-Tree)

  • 홍석진;이상준;이석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1권2호
    • /
    • pp.132-139
    • /
    • 2004
  • 범위 상위-$\kappa$ 질의는 질의 범위 내의 다차원 데이타 중 값 애트리뷰트를 기준으로 상위 k개의 레코드를 반환하는 질의로 공간 데이타베이스와 데이타 웨어하우스에서 분석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유용한 질의 형태이다. 이 논문에서는 계층 최대 R-트리의 선택적인 탐색을 통해 범위 상위-k 질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은 단말 노드의 일부만을 접근하여 질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질의 범위의 크기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성능을 보인다. 또한 이 기법은 우선순위 큐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큐의 유지비용을 최소화하며, 기존 R-트리와 같은 팬아웃을 보장할 수 있다.

SPARQL Query Automatic Transformation Method based on Keyword History Ontology for Semantic Information Retrieval

  • Jo, Dae Woong;Kim, Myung 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97-104
    • /
    • 2017
  • In semantic information retrieval, we first need to build domain ontology and second, we need to convert the users' search keywords into a standard query such as SPARQL.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convert the users' search keywords into the SPARQL queries. Furthermore, our method can ensure effective performance in a specific domain such as law. Our method constructs the keyword history ontology by associating each keyword with a series of information when there are multiple keywords. The constructed ontology will convert keyword history ontology into SPARQL query. The automatic transformation method of SPARQL query proposed in the paper is converted into the query statement that is deemed the most appropriate by the user's intended keywords. Our study is based on the existing legal ontology constructions that supplement and reconstruct schema and use it as experiment. In addi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emantic search tool based on legal domain and conduct experiments. Based on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the semantic information retrieval based on the keyword is made possible in a legal domain. And, such a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other dom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