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mongolica

검색결과 874건 처리시간 0.03초

서열법과 분류법에 의한 소백산의 신갈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Sobaek by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s)

  • Song, Jong-Suk;Seung-Dal Song;Jae-Hong Park;Bong-Bo Seo;Hwa-Sook Chung;Kwang-Soo Roh;Kwang-Soo Ro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63-87
    • /
    • 1995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Sobaek (36°50'∼ 37°07'N, 128°25'∼ 128°35'E), Korea by a reciprocal averaging methol (RA ordination) and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Atemporal vegetation tabel was prepared by the RA ordination.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RA ordination on the first axis is very applicable for selecting the character and differential species of vegetation units of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The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in 34 stands on the mountain. The field data obtained were classified by the tabel comparison method.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vegetation units,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vegetation units of the Mt. Sobaek, Considering the candidates of the character and differential species derived from RA ordination. As the result,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vegetation units; Fagetea crenatae Miyawaki et al. 1968 Acero-Quercetalia mongolicas Song 1988 em. Takeda et al.1994 Lindero-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1. Lindero-Quercetum mongolicae assoc. nov. 1-1. quercetosum serratae subassoc. nov 1-2. typicum subassoc. nov. Rhododendro-Qurcion mongolicas Song 1988 em. Takeda et al. 1994. It is inferred that the Lindero-Quercion mongolicae and the Rhododendro-Quercion mongolicae corresponded to the cool-temperate forests of central and northern areas, respectively, in Korean Peninsula. Syntaxonomical synonyms were also rearrang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On the other hand, the RA ordination of stands and species on the first and second axes revealed some environmental gradients such as altitute, human impact and species richness between the vegetation units. However, the RA ordinations is considered to be less indicative for the gradients of the lower vegetation units than association. With the present study. some phytosociological problems in Korea were discussed here in detail from the floristic viewpoint.

  • PDF

월출산국립공원 미왕재-천황봉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Miwangjae to Cheonwhangbong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 추갑철;김갑태;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4-121
    • /
    • 2006
  • 월출산국립공원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미왕재-천황봉 구간 능선부에 방형구 ($2000m^2$) 11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1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때죽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등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미왕재-천황봉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이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지역에서 때죽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산벚나무와 회잎나무; 졸참나무와 화살나무; 팔배나무와 화살나무, 함박꽃나무; 당단풍과 회잎나무; 철쭉과 회잎나무, 화살나무와 생강나무, 밤나무, 비목나무; 싸리와 산철쭉; 밤나무와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와 비목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철쭉과 화살나무; 싸리와 밤나무; 국수나무와 함박꽃나무; 산철쭉과 비목나무; 회잎나무와 함박꽃나무; 쇠물푸레와 사람주나무; 산벚나무와 조록싸리; 조록싸리와 비목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2.3225{\sim}2.7721$ 범위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북한산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 박인협;이경재;조재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3
    • /
    • 1987
  • 북한산지역의 삼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식생상관 및 식생층별 nested quadrat method에 의하여 설치된 20개 조사구의 식생조사를 하였다. 교목상층의 우점종에 의한 삼림군집의 유형은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순림 또는 혼효림을 주로 하는 자연식생군집, 자연식생과 인공식생이 혼효하고 있는 반인공식생군집, 인공식생이 순림 또는 혼효림을 이루고 있는 인공식생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북한산지역 전체에 대한 면적구성비는 각각 82.64, 7.03, 5.71%이었다.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순림 또는 혼효림은 면적구성비가 전체면적의 70.8%로서 대표적인 식생이었다. 인공식생의 주수종은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무, 물오리나무 등이었으며 주로 토양침식이 비교적 심한 남사면과 도로 등 시가지와의 경계부에 식재되어 있었다. 녹지자연도 8, 7, 6의 면적구성비는 각각 82.6, 0, 12.7%이었다. 임분구조는 국소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상수리나무 장령림, 아까시나무림을 제외할 때 대체로 교목상층의 평균흉고직경, 임관고가 각각 20cm, l0m 이하로써 유령림상태이었다. 북한산지역의 대표적인 자연식생군집인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순림 또는 혼효림의 종다양도는 1.085~l.242의 범위를 보였다. 주요 수종의 직경분포에 의한 동태 분석 결과 기존 신갈나무군집과 아까시나무군집은 현재의 천이단계가 지속될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타군집의 경우 전반적으로 신갈나무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었고, 국소적으로 아까시나무가 침입하고 있는 군집과 갈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의 경우 각각 아까시나무군집, 갈참나무군집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ordination 방법중 DCA 방법이 본 연구에서는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DCA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층인 상층은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산벚나무, 팔배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들메나무, 물푸레나무의 순이었고, 중층은 산초, 참싸리$\longrightarrow$개옻나무, 옻나무, 생강나무, 진달래, 철쭉$\longrightarrow$당단풍, 함박꽃나무, 참빗살나무의 순이었다.

  • PDF

졸참나무림의 식생구조와 생태적지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Niche of Quercus serrata Forests)

  • 이미정;이선;김효정;지윤의;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0-58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of Quercus serrata forest for ecological forest management and ecological nich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chemical properties of Q. serrata forest soil were 0.24% of total nitrogen, 8.27 of organic matter, 74ppm of available phosphorous, 1.64(me/100g) of Ca, 0.22(me/100g) of Mg, 0.74(me/100g) of K and 9.3(me/100g) of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The dominant species in Quercus serrata forest were Quercus serrata,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Styrax obassia, Fraxinus rhynchophylla and Styrax japonica. DBH analysis showed that Quercus serrata seems to remain as a dominant species for the present because they had random distribution based on few of big individuality, many of small and middle individuality. But the Q. serrata community is competing with Q. mongolica and F. rhynchophylla, whose density of small individuality has increas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TWINSPAN, Q. serrata forest was classified three groups, such as Q. serrata-Acer mono, Q. serrata, Q. serrata-Q. acutissima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Q. serrata major communities and environment factors are as follows; Q. serrata-A. mono community was found relatively in high elevated and eastern and northern area that has relatively high percentage organic matter. Also Q. serrata community was found in high elevated and eastern and northern area that has high percentage organic matter. Q. serrata-Q. acutissima community was found in low elevated and southern and western area that has low percentage organic matter.

DCCA에 의(依)한 계룡산(鷄龍山)과 덕유산(德裕山)의 삼림군집(森林群集)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Mt. Gyeryong and Mt. Deokyu by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 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2호
    • /
    • pp.216-221
    • /
    • 1990
  • 계룡산(鷄龍山)과 덕유산(德裕山) 삼림군집(森林群集)의 종(種) 조성(組成)과 입지(立地)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과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식생(植生) 및 환경자료(環境資料)로 계룡산(鷄龍山) 128개소(個所), 덕유산(德裕山) 57개소(個所)의 data를 사용(使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계룡산(鷄龍山)과 덕유산(德裕山)의 삼림군집(森林群集)과 토양환경(土壤環境)과의 관계(關係)를 살펴보면 Quercus mongolica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높고, 토양(土壤)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Carpinus laxiflora군집(群集)과 Fraxinus rhynchophylla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는 중간(中間)이고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군집(群集)과 Quercus variabilis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 양료(養料) 모두 중간(中間) 부분(部分)인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Styrax japonica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는 낮고 양료(養料)가 중간부분(中間部分)인 곳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Pinus densiflora 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는 낮고 양료(養料)가 적은 부분(部分)에 주(主)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군집(群集) 분포(分布)에 영향을 미치는 제일(第一)의 환경(環境) 요인(要因)은 해발고(海拔高)(온도(溫度))이다.

  • PDF

가야산 국립공원의 삼림식생 (The Forest Vegetation of Mt. Kaya National Park, Korea)

  • 정민호;유현경;길봉섭;신성은;김창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2호
    • /
    • pp.145-151
    • /
    • 1997
  • A census of the forest vegetation of Mt. Kaya National Park was taken with respect to the medthods of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Eight group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 Quercus mongolica, Q. mongolica-Sasa borealis, Q. serrata, Q. variabilis, Carpinus laxiflora, Cornus controversa, Fraxinus mandshurica and Pinus densiflora. Among them, the Q. mongolica group and Q. mongolica-S. borealis group, the F. mandshurica group and C. controversa group showed similar floristic compositions to each othe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loristic compositon of the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was analyzed by PCA, the Q. mongolica group and the Q. mongolica-S. borealis group were distributed in areas of high CEC and total nitrogen content, while the Q. serrata. Q. variabilis. C. laxiflora and Pinus densiflora groups formed their communities in the more moderate areas of pH, soil moisture and soil organic matter. F. mandshurica and C. controversa groups were distributed in the areas of high soil moisture, soil organic matter, pH and available phosphate.

  • PDF

국산 참나무류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건조특성 및 가공수율 평가 (Evaluation of Drying Properties and Yields of Domestic Quercus Species for Enhancing Utilization)

  • 장윤성;신현경;김세종;한연중;김민지;엄창득;이영근;심국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622-62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산 참나무류의 고부가가치재 이용기술 개발을 위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를 대상으로 입목으로부터 마루판재까지의 가공수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참나무류 건조시간 단축을 위한 건조스케줄의 개선 및 물성평가를 수행하였다. 건조시간은 총 173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최종함수율은 굴참나무 5.39%, 신갈나무 4.17%로 측정되었다. 건조에 따른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재색변화는 ${\Delta}E$ 값이 7~11으로 현저한 변화를 보였다. 건조에 따른 수축률은 굴참나무의 경우, 접선방향 8.1%, 방사방향 5.0%이었으며, 신갈나무의 경우, 접선방향 8.5%, 방사방향 6.2%로 평가되었다. 제재수율은 30~40%, 최종제품수율은 8~15%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참나무류의 가공특성은 아직까지 저이용되고 있는 국산 활엽수의 효율적인 생산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금산 진악산의 산림군락 분류 및 구조 분석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Community Structure of Jinaksan Forest in Geumsan)

  • 지윤의;이미정;김효정;이규석;이선;송호경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62-270
    • /
    • 2003
  • 본 연구는 충남 금산군에 위치한 진악산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산림군락을 분류하고 방형구법으로 임분 특성을 분석하였다. 진악산의 26개 조사구를 분석한 결과, 산림군락은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피도율은 교목층이 79.4%, 아교목층이 27.6%, 관목층이 37.0%, 초본층이 31.1%의 순으로 나타났다. DBH 2 cm이상의 수목을 대상으로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는 신갈나무가 45.51, 소나무가 44.17, 굴참나무가 27.56, 졸참나무가 26.78, 갈참나무가 20.81, 벚나무가 15.58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소나무는 5 cm이하의 어린 개체와 15 cm이상의 큰 개체는 적고 5~15cm의 중간 개체가 많아 이들이 당분간 우점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임분 토양의 층위별 토양수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Soil Solution under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 류성렬;손요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1-345
    • /
    • 1998
  • Soil solutions were collected by zero-tension lysimeters at Kwangju, Kyunggi Province to estimate differences in ion concentration among species and horizons. Zero-tension lysimeters were installed in O, A, and B horizons in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Soil solu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96 through August 1998 and analyzed for $K^+$, $NA^+$, $NH_4^+$, $Mg^{2+}$, $Ca^{2+}$, $Al^{3+}$, $Cl^-$, $SO_4^{2-}$, $NO_3^-$, and $PO_4^{3-}$. The experimental site had high nitrogen loading from the atmosphere, and $NO_3^-$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K^+$ and $Mg^{2+}$. However, $NO_3^-$ and $NH_4^+$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only in the O horizon of Q. mongolica stand. Mg^(2+) deficit in the soil was predicted owing to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Mg^{2+}$ with $NO_3^-$. Concentrations of $K^+$ and $Ca^{2+}$in soil solution were estimated higher in L. leptolepis than in other stands because of high leaching from the plant. Concentration of $Al^{3+}$ in soil solu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il solution pH. Mean soil solution pH of A and B horizons in P. koraiensis was lower than 4.7, however the $Al^{3+}$ concentration was lower than the toxic level to plants.

  • PDF

덕유산국립공원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Forest Structure of Subalpine Region from Hyangjeukbong to 2nd Deogyusan in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 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2-149
    • /
    • 2004
  • 덕유산 아고산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향적봉-제2덕유산 구간 아고산 지역에 20개의 방형구(1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0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사스래나무-가문비나무-주목군집, 주목-신갈나무-사스래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덕유산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지역은 신갈나무, 주목, 사스래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가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구상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사스래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이 라 판단된다. 사스래나무와 철쪽, 털진달래; 시닥나무와 고로쇠나무; 정향나무와 함박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사스래나무와 시닥나무; 신갈나무와 고로쇠나무: 구상나무와 미역줄나무, 병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0316∼l.1776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