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image analysis

검색결과 744건 처리시간 0.031초

덕유산 국립공원 경관에 대한 계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Landscape in Tokyusan National Park)

  • 김세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31-240
    • /
    • 1994
  • 덕유산 국립공원의 삼림경관, 삼림 시설물 경관, 집단시설지구 경관, 사찰경관을 대강으로 물리적 환경이 지닌 환경적 질을 계량적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여 합리적인 이용개발 및 보전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심리량 분석을 취해 S. D. Scale 을 측정하고 인자분석 $\ulcorner$알고니즘$\lrcorner$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의 공간 이미지 구조를 밝혔으며, 시각적 선호도를 측정하여 결정 인자를 추출하였으며 각 인자 상호간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덕유산 국립공원의 공간 $\ulcorner$이미지$\lrcorner$를 함축하는 변인은 종합평가적 차원, 호감성 차원, 공간적 차원, 자연성 차원 및 품격 차원 등 5개 인자군으로 분석되었으며 종합평가적 차원, 공간적 차원 및 호감성 차원의 인자가 공간 이미지를 대표하는 인자군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선호도를 결정짓는 주요 설명 변수는 계곡물의 깨끗함과 상쾌함, 지형지세의 특이성, 등산로 설치의 자연스러움 및 사찰건물 외관과 주변 인공식생과의 어울림 등이 시각적 선호도 결정의 주요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 PDF

소나 플랫폼의 운동 파라미터에 따른 합성개구소나 영상 왜곡의 정량적 분석 (A quantitative analysis of synthetic aperture sonar image distortion according to sonar platform motion parameters)

  • 김시문;변성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82-390
    • /
    • 2021
  • 해저면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 측면주사소나나 다중빔측심기 외에도 합성개구소나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예인형 시스템 개발 등 관련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고해상도의 합성개구소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이를 탑재하고 있는 플랫폼의 운동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밀한 수중항법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개구소나를 탑재하고 있는 플랫폼의 운동 특성에 따라 소나 영상의 왜곡이 얼마나 발생하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요구되는 항법 정확도와 항법센서의 정밀도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총 다섯가지의 운동을 고려하고 있으며 정량적 분석을 위해 정규화된 평균 제곱근 오차를 정의한다. 각 운동 특성의 변수값 변화에 따른 오차 분석 수치해석을 통해 yaw and sway 운동이 가장 큰 영상 왜곡을 야기하며 pitch and heave 운동의 영향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초음파 검사 영상의 정량적인 측정 연구를 통한 지방간 분석 (Fatty Liver Analysis through Quantitative Measurement Study of Ultrasonography Images)

  • 천혜리;장현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927-934
    • /
    • 2022
  • 본 연구는 간 초음파 영상을 활용하여 정량적인 측정 분석을 통해 조직 내 감쇠 지수, 조직 내 산란 분포지수 값 분석과 함께 초음파 영상 소견 간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2년 8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지방간이 의심되어 간 초음파 검사 처방을 받은 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간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초음파 영상 소견과 조직 내 감쇠 지수 간 일치도 분석 결과 Kappa 값이 0.82(p<0.05)로 두 검사 방법 간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또한, 초음파 영상 소견과 조직 내 산란 분포 지수 간 일치도 분석 결과에서도 Kappa 값이 0.642(p<0.05)로 두 검사 방법 간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지방간 예측 시 간 초음파 소견 및 정량적인 초음파 검사 기법인 조직 내 감쇠 지수, 조직 내 산란 분포 지수를 활용한다면 지방간 환자의 진행 정도를 판단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alysis of Trends of Medical Image Processing based on Deep Learning

  • Seokjin 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283-289
    • /
    • 2023
  • AI is bringing about drastic changes not only in the aspect of technologies but also in society and culture. Medical AI based on deep learning have developed rapidly. Especially, the field of medical image analysis has been proven that AI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images more accurately and quickly than clinicians. Evaluating the latest results of the AI-based medical image processing is important for the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edical AI. In this paper, we analyze and evaluate the latest trends in AI-based medical image analysis, which is showing great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medical AI in the healthcare industry. We analyze deep learning models for medical image analysis and AI-based medical image segmentation for quantitative analysis. Also, we evaluate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in terms of marketability as well as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AI market and the restrictions to market growth. For evaluating the latest trend in the deep learning-based medical image processing, we analyze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n the deep learning-based medical image processing and data of medical AI market. The analyzed trends provide the overall views and implication for the developing deep learning in the medical fields.

과학개념 학습지속 효과의 유형과 그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Momentum Effect on Learning Science Concepts)

  • 권재술;김준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21
    • /
    • 1992
  •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to types of test items upon the momentum effect. Th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momentum effect is influenced by stduents' congnitive levels and the abstractness of test items. In this study focused on the types of test items The test items are divided into 4 different type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verbal and image. The result showed that qualitative items showed a longer momentum effect than quantitative ones. The image items and verbal item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momentum effect. The interpretation of this would need a careful psychological analysis. Anyhow, this result re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momentum effect and showed that the study on the momentum effect could be a Significant research paradigm.

  • PDF

Hann 필터의 Cut-off 주파수 변화에 따른 CT 영상의 Artifact 제거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CT Artifact Elimination with various Cut-off Frequency of Hann Filter)

  • 강보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5-9
    • /
    • 2008
  • 전산화단층촬영(CT)에 있어서 생기는 artifact를 제거하기 위해서 영상재구성 과정에 다양한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artifact는 영상재구성 과정에 사용되는 수학적 오차와, 투영이미지와 실제 해부학적 구조간의 오차, 혹은 데이터 획득과정에서의 오차 등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생길 수 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Hann필터를 사용하였을 때 CT 영상에서의 artifact 제거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Cut-off 주파수가 0.1인 경우에서 0.2씩 증가시키며 0.9까지에 대한 다양한 cut-off 주파수의 Hann필터에 대한 artifact제거 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였다. 재구성 영상에서의 artifact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 white image에 대한 CT 영상의 Noise Power Spectrum을 비교하였다.

  • PDF

AAPM Phantom을 이용한 CT 팬텀 영상 평가 시 정량적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When Evaluated Using CT Imaging Phantoms AAPM Phantom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 김영수;예수영;김동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92-600
    • /
    • 2016
  • AAPM CT 성능 평가용 표준 팬텀을 이용한 특수의료장비 품질관리 검사 시, 평가자의 주관적인 평가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 하고자 전산화된 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 팬텀으로 AAPM CT Performance Phantom을 사용하였고, 기본 촬영 조건은 품질관리검사와 동일하며, 평가프로그램으로 IMAGE J를 사용하였다. 정량적인 평가로 CT 감약계수와 노이즈측정, 균일도측정, 슬라이스 두께 측정, 대조도 분해능 측정, 공간 분해능 측정의 팬텀 영상을 평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처리를 한 후 자동추출 된 결과로 평가 하였으며, CT 감약계수, 노이즈, 균일도 측정은 영상처리를 한 영상의 표준편차가 작아 더 균일하다고 평가하였고, 슬라이스 두께 측정은 팬텀영상의 측정값과의 비율 차로 인해 평가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조도 분해능은 원통형의 지름을 6회 측정하여 지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해 원의 형태를 평가하였으며, 공간 분해능은 합격기준을 포함하는 원의 그룹을 자동 추출한 결과 원의 개수를 모두 추출한 결과로 나타났다. 정성적인 평가로 원본영상과 영상 처리한 영상을 육안적으로 비교 평가 하였는데 영상처리 된 영상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 등을 바탕으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평가와 정성적인 평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고 전산화된 평가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보다 더 효율적인 평가가 이루어 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CT 정도관리 영상의 정량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Phantom of the AAPM CT imaging evaluation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 김영수;고성진;강세식;예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1-274
    • /
    • 2016
  • CT 정도관리 영상평가는 팬텀 영상평가를 통한 정량적인 평가로 시행하며, 평가 항목으로는 물의 감약 계수, 균일도, 노이즈, 대조도 분해능, 공간분해능, 10mm 슬라이스 두께 평가 등이 있으며, 대조도 분해능, 공간 분해능, 슬라이스 두께 평가의 경우, 검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평가로 인한 오류를 예상할 수 있으므로, 주관적인 오류를 최소화 하고자 전산화된 영상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하고자 한다. CT 정도관리 영상평가의 기본 촬영 조건은 특수의료장비 품질관리검사와 동일하며, IMAGE J를 이용하여 영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CT 감약계수, 균일도, 노이즈 평가의 경우, CT 정도 관리 영상에 비하여 디지털 처리 영상의 측정값의 표준편차가 더 작아 잡음이 적고 균일한 영상이라고 평가하였으며, 대조도 분해능 평가는 원의 직경의 크기가 큰 1인치, 0.75인치, 0.5인치의 경우 원형, 원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타원에 가까운 원형으로 평가되었다. 공간분해능 평가는 영상처리 프로그램의 자동추출 기능을 이용하여, 합격기준을 포함하는 원의 그룹을 모두 자동으로 추출하여, 정량적인 평가에 매우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위의 결과 등을 바탕으로 CT 정도관리 영상 평가 시, 영상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면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 오류를 최소화하고, 보다 더 효율적인 정량적평가가 이루어 질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Gametogenic Cycle and the Spawning Season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Biological Minimum Size of Cyclina sinensis in Western Korea

  • Chung, Ee-Yung;Lee, Chang-Hoon;Park, Young-Je;Choi, Moon-Sul;Lee, Ki-Young;Ryu, Dong-Ki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3-53
    • /
    • 2011
  • The gametogenic cycle and the spawning season in female and male Cyclina sinensis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and the biological minimum size (the size at 50% of sexual maturity) was calculated by combination of quantitative data by size and von Bertalanffy's equation. Compared the gametogenic cycle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with the previous qualitative results in female and male C. sinensis, monthly changes in female and male gametogenic cycles calcul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imilar patterns to the gonadal stages in female and male reproductive cycles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Comparisons of monthly changes in the portions (%) of each area to eight kinds of area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gonads in female and male C. sinensis are as follows. Monthly changes in the portions (%) of the ovary areas to total tissue areas in females and also monthly changes in the portions of the testis areas to total tissue areas in males increased in March and reached the maximum in May, and then showed a rapid decrease from June to October. Monthly changes in the portions (%) of oocyte areas to ovarian tissue areas in females and also monthly changes in the portions of the areas of the spermatogenic stages to testis areas in males began to increase in March and reached the maximum in June in females and males, and then rapidly dropped from July to October in females and males when spawnig occurred.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in female and male C. sinensis occurred once per year, from July to October. Monthly changes in the number of the oocytes per mm2 and in the mean diameter of the oocyte in captured image which were calculated for each female slide showed a maximum in May and reached the minimum from December to February. Therefore, C. sinensis in both sexes showed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The percentage of sexual maturity of female and male clams ranging from 25.1 to 30.0 mm in length was over 50% and 100% for clams over 40.1 mm length. In this study, the biological minimum size (sexually mature shell lengths at 50% of sexual maturity) in females and males were 26.85 and 26.28 mm, respectively.

화상 분석을 통한 선박 방오도료의 성능 평가 (Image Analysis Metho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Marine Antifouling Coatings)

  • 박현;전호환;이인원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26
    • /
    • 2013
  • An accurate and reliable performance evaluation technique is indispensable for the development of marine antifouling coatings. The existing standard practice is however, based on the visual observation of biofouling settlement area, which is prone to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inspector. In spite of the above mentioned importance, a systematic and objective fouling evaluation technique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this study, a novel quantitative antifouling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marine antifouling paints is devised based on the image analysis of panel immersion test results. The present image analysis method is to quantify settlement area for each fouling category by distinctive color. The fouling categories are set as unfouled, biofilm, green algae, brown algae, calcareous animal and spongy animal with specific HSL (Hue, Saturation, Lightness) color ranges.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static immersion tests for three antifouling coatings were undertaken for two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