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6초

Erratum :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on Quantitative Chest Computed Tomography in the Korean Asian versus the White American Healthy Non-Smokers

  • Hyun Bin Cho;Kum Ju Chae;Gong Yong Jin;Jiwoong Choi;Ching-Long Lin;Eric A. Hoffman;Sally E. Wenzel;Mario Castro;Sean B. Fain;Nizar N. Jarjour;Mark L. Schiebler;R. Graham Barr;Nadia Hansel;Christopher B. Cooper;Eric C. Kleerup;MeiLan K. Han;Prescott G. Woodruff;Richard E. Kanner;Eugene R., Bleecker;Stephen P. Peters;Wendy C. Moore;Chang Hyun, Lee;Sanghun Cho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1호
    • /
    • pp.117-117
    • /
    • 2020

PET/CT 검사에서 확대된 표시시야가 표준섭취계수에 미치는 영향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Difference of the SUV Caused by DFOV Change in PET/CT)

  • 곽인석;이혁;최성욱;석재동
    • 핵의학기술
    • /
    • 제15권2호
    • /
    • pp.13-20
    • /
    • 2011
  • PET/CT 검사에서 제한적인 CT (Computed Tomography)의 FOV (Field of View)는 PET 영상의 DFOV (Display FOV) 바깥부위에서 영상 잘림 현상 (truncation artifact)에 의한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재구성 시 확대된 DFOV를 적용함에 따라 PET영상에서 표준섭취계수 (Standardization Uptake Value, SUV)의 차이를 측정하여 영상에 미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고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5.3 kBq/mL의 $^{18}F$(FDG)를 주입한 NEMA 1994 PET 모형을 FOV의 중앙에 위치하고 영상을 획득하고, 동일모형을 FOV의 바깥부분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truncation 현상이 발생하도록 한 뒤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각 실험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영상을 재구성 하였으며, DFOV는 50 cm와 70 cm로 변경하여 각각 적용하였다. 그리고 방출영상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최대섭취계수($_{max}SUV$)를 비교 하였으며 육안적인 이상유무도 함께 확인하였다. 임상영상은 모형실험에서와 같이 truncation 현상이 발생한 환자군을 선정한 후 해당 환자의 방출영상에서 간(Liver)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모형실험에서와 같이 영상 재구성 시 DFOV 변화에 따른 표준섭취계수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모형을 FOV 내 중심에 위치시키고 시행한 실험에서 DFOV 증가에 따라 화소의 크기는 3.91 mm에서 5.47 mm로 증가하였고, 관심영역의 $_{max}SUV$는 각각 1.49에서 1.35로 나타나 확대된 DFOV 적용시 9.39%의 감소를 보였다. 모형을 FOV의 바깥부분으로 이동시킨 후 얻은 영상의 경우 $_{max}SUV$가 1.30에서 1.20로 7.69% 감소하였다. DFOV 확대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나타난 부위에서의 $_{max}SUV$는 1.51이었고, truncation 현상이 발생한 부위를 기준으로 안쪽과 바깥쪽 부위의 $_{max}SUV$차이는 25.9%로 바깥쪽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임상영상의 확대된 DFOV를 적용한 경우 $_{max}SUV$ 3.38에서 3.13으로 7.39% 감소하였다. 확대된 DFOV를 적용할 경우에서의 $_{max}SUV$ 감소 현상은 화소 크기의 증가로 인해 화소 간 잡음 (Pixel to Pixel Noise)이 낮아져 발생하는 저평가 정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으며 확대된 부위의 영상에서 육안적 확인 시 선형인공산물 등의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truncation 현상 없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는 임상적 적용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환자에게 확대된 DFOV를 적용할 경우에는 영상면 전체에서 정량적 결과가 저평가 되는 것을 감안하여야 하며, 특히 확대되어 추가로 나타난 부위에서의 정량적 결과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 PDF

관상동맥조영술상 정상소견을 보인 환자에서 전산화단층촬영술(CT)를 이용한 감쇠보정이 심근관류 SPECT의 판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ttenuation Correction with CT on the Interpretation of Myocardial Perfusion SPECT: in Patients with Normal Coronary Angiogram)

  • 천경아;조인호;원규장;이형우;홍그루;신동구;김영조;심봉섭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6-251
    • /
    • 2005
  • 목적: 심근관류 스펙트 검사에서 감쇠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CT를 이용한 감쇠보정이 관상동맥조영술이 정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기존의 감쇠보정방법들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질환이 의심되어 심근 SPECT/CT를 시행한 환자들 중 관상동맥조영술상 정상소견을 보인 25명에서, Pryor 등의 방법으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가 5.0% 미만인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 6, 여 9, 평균연령 $58{\pm}8$세). CT가 장착된 Millennium VG (GE) 카메라로 감쇠보정을 하였으며, 영상의 판독은 육안분석과 극성지도를 이용한 정량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정량적 분석의 경우 극성지도 상에서 각 심근벽의 섭취율(최대 섭취율에 대한 %)을 구하여 감쇠보정을 하지 않은 영상과 감쇠보정을 한 영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육안분석에서 감쇠보정을 한 경우 하벽의 섭취는 증가한 반면, 전벽과 심첨부 및 격벽의 섭취는 감소하였다. 간에서의 섭취도 감쇠보정을 한 경우에 증가하였다. 정량분석에서는 심첨부의 경우 감쇠보정 후 섭취율이 감소하였고, 하벽의 경우 증가하였다. 하벽의 경우 감쇠보정을 하여 판독에 도움을 받을 수 있었고, 반면 전벽이나 심첨부의 경우 감쇠보정 후 판독에 어려움이 있었다. 결론: 하벽의 경우 CT를 이용한 감쇠보정을 한 경우 판독에 도움이 되었으며, 감쇠보정전 영상이 정상인 경우 심첨부나 전벽등의 판독시는 주의가 필요하다.

금속성 치아충전물이 PET/CT영상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tallic Dental Implant o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omputed Tomography Image)

  • 김기진;배석환;한상현;유세종;이보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243-247
    • /
    • 2012
  • 금속성 치아충전물이 있을 때 PET/CT검사를 시행하면 CT영상에서 선속경화인공음영이 발생한다. CT영상에 발생되는 인공음영에 의해 PET영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경부종양이 있는 환자가 치과용 충전물이 있을 경우 CT영상에서 발생하는 선속경화인공음영에 의해 PET영상 및 SUV값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금속성치아충전물에 의한 HU 값의 변화에 따른 SUV값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임상적용에 있어 적절성을 평가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 8월에 PET/CT검사를 실시한 환자 47명이었다. 분석을 위해 CT와 PET영상에 2개의 ROI를 그려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충전물이 있을 경우 HU값과 SUV값이 증가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 증가 정도는 금속성 치아충전물이 없는 환자의 경우보다 큰 변화는 아니었지만 두경부 종양이 있을 경우 암의 진단시 과대평가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따라서 임상에서 두경부 종양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PET/CT 검사를 시행할 경우 판독상의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여러 물리학적, 생물학적인 부분에 대하여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The Prognostic Value of 18F-Fluorodeoxyglucose PET/CT in the Initial Assessment of Primary Tracheal Malignant Tumor: A Retrospective Study

  • Dan Shao;Qiang Gao;You Cheng;Dong-Yang Du;Si-Yun Wang;Shu-Xia W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3호
    • /
    • pp.425-434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value of 18F-fluorodeoxyglucose (FDG) PET/CT in predicting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primary tracheal malignant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An analysis of FDG PET/CT findings in 37 primary tracheal malignant tumor patients with a median follow-up period of 43.2 months (range, 10.8-143.2 months) was performed.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associations between quantitative 18F-FDG PET/CT parameters, other clinic-pathological factors, and overall survival (OS). A risk prognosis model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identified on multivariate analysis. A survival curve determined by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to assess whether the prognosis prediction model could effectively stratify patients with different risks factors. Results: The median survival time of the 37 patients with tracheal tumors was 38.0 months,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of 10.8 to 65.2 months. The 3-year, 5-year and 10-year survival rate were 54.1%, 43.2%, and 16.2%, respectively. The metabolic tumor volume (MTV), total lesion glycolysis (TLG),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age, pathological type, extension categories, and lymph node stage were included in multivariate analyse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MTV (p = 0.011), TLG (p = 0.020), pathological type (p = 0.037), and extension categories (p = 0.038)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OS. Additionally, assessment of the survival curve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showed that our prognosis prediction model can effectively stratify patients with different risks factors (p < 0.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18F-FDG PET/CT can predict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primary tracheal malignant tumors. Patients with an MTV > 5.19, a TLG > 16.94 on PET/CT scans, squamous cell carcinoma, and non-E1 were more likely to have a reduced OS.

Fatty Liver 환자의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한 질감특징분석 (Texture Feature analy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Imaging in Fatty Liver Disease Patients)

  • 박형후;박지군;최일홍;강상식;노시철;정봉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81-87
    • /
    • 2016
  • 본 실험에서 제안된 질감특징분석 알고리즘은 지방간 환자의 CT영상을 이용하여 정상영상과 질환영상으로 구분하여, 정상 간 CT영상과 지방간 CT영상을 생성하고 제안된 질감특징분석을 이용한 컴퓨터보조 진단 시스템에 적용하여 6개의 파라메타로 정량적 분석을 통해 지방간 CT영상의 질환 인식률을 도출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로 지방간 CT영상 30증례 중에서 각각의 파라메타별 질감특징 값에 대한 인식률은 평균 밝기의 경우 100%, 엔트로피의 경우 96.67%, 왜곡도의 경우 93.33%로 높게 나타났고, 평탄도의 경우 83.33%, 균일도의 경우 86.67%, 평균대조도의 경우 80%로 다소 낮은 질환 인식률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영상의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으로 발전된 프로그램을 구현한다면 지방간 CT영상의 질환부위 자동검출 및 정량적 진단이 가능해 컴퓨터보조진단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최종판독에서 객관성, 정확성, 판독시간 단축에 유용하게 사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관골 단독 골절에서 안구 용적 변화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Orbital Volume Change in Isolated Zygoma Fracture)

  • 정한주;강석주;김진우;김영환;선욱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783-790
    • /
    • 2011
  • Purpose: The zygoma (Zygomaticomaxillary) complexes make up a large portion of the orbital floor and lateral orbital walls. Zygoma fracture frequently causes the posteromedial displacement of bone fragments, and the collapse or overlapping of internal orbital walls. This process consequently can lead to the orbital volume change. The reduction of zygoma in an anterolateral direction may influence on the potential bone defect area of the internal orbital walls. Thus we perform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orbital volume change in zygoma fracture before and after operation.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scans in 39 patients with zygoma fractures who had not carried out orbital wall reconstruction. Orbital volume measurement was obtained through Aquarius Ver. 4.3.6 program and we compared the orbital volume change of injured orbit with that of the normal contralateral orbit. Results: The average orbital volume of normal orbit was 19.68 $cm^3$. Before the operation, the average orbital volume of injured orbit was 18.42 $cm^3$. The difference of the orbital volume between the injured orbit and the normal orbit was 1.18 $cm^3$ (6.01%) on average. After operation, the average orbital volume of injured orbit was 20.81 $cm^3$. The difference of the orbital volume between the injured orbit and the normal orbit was 1.17 $cm^3$ (5.92%) on average. Conclusion: There are considerable volume changes in zygoma fracture which did not accompany internal orbital wall fracture before and after operation. Our study reflects the change of bony frame, also that of all parts of the orbital wall, in addition to the bony defect area of orbital floor, in an isolated zygoma fracture so that it evaluates orbital volume change more accurately. Thus, the measurement of orbital volume in isolated zygoma fractures helps predict the degree of enophthalmos and decide a surgical plan.

정량적 전산화단층촬영법(QCT)과 정량적 초음파법(QUS)에 의한 골밀도측정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Accessed b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and Quantitative Ultrasound)

  • 김기범;안성민;이귀원;김성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98-203
    • /
    • 2011
  • 24~69세의 일반검진대상자 106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검사시 최근 사용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QCT와 QUS에 따른 BMD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QCT와 QUS에 의한 골밀도의 측정값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성별에 따른 측정방법간의 차이에서 여성에서는 QUS에 의한 검사방법에서 T-score가 유의하게 낮았고(p<0.05). 나이에 따라서는 40세 이상에서는 유의한 범위(p<0.05)에서 T-score의 차이가 있었다. 키 및 몸무게에 따른 차이에서는 특징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BMI값이 22.9이하 그룹에서는 QCT로 검사시 T-score가 유의하게(p<0.05) 낮게 측정되었고 나머지 그룹에서는 검사방법에 따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골밀도의 측정에 있어서는 환자의 성별, 나이, 키 및 BMI에 따라서 측정방법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특별한 경우에는 여러 검사방법 등을 통하여 정확한 자료를 얻을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111-Antimyosin 항체를 이용한 심근경색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Assessment of Myocardial Infarction by In-111 Antimyosin Antibody)

  • 이명철;이경한;최윤호;정준기;박영배;고창순;문대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5
    • /
    • 1991
  • Infarct size is a major determinant of prognosis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Up to date, however, clinically available tests to estimate this size have not been sufficiently accurate. Twelve lead electrocardiogram and wall motion abnormality measurement are not quantitative, and creatine phophokinase (CPK) measurement is inaccurate in the presence of reperfusion or right ventricular infarc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localize and size acute myocardial infarcts with agents that are selectively sequestered in areas of myocardial damage, but previously used agents have lacked sufficient specificity. Antibodies that bind specifically only to damaged myocardial cells may resolve this problem and provide an accurate method for noninvasively measuring infarct size. We determined the accuracy with which infarcted myocardial mass can be measured using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and radiolabeled antimyosin antibodies. Seve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one stable angina patient were injected with 2 mCi of Indium-111 labeled antimyosin antibodies. Planar image and SPECT was performed 24 hours later. None of the patients had history of prior infarcts, and none had undergone reperfusion techniques prior to the study, which was done within 4 days of the attack. Planar image showed all infarct patients to have postive uptakes in the cardiac region. The location of this uptake correlated to the infarct site as indicated by electrocardiography in most of the cases. The angina patient, however, showed no such abnormal uptake. Infarct size was determined from transverse slices of the SPECT image using a 45% threshold value obtained from a phantom study. Measured infarct size ranged from 40 to 192 gr.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infarct size measured by SPECT and that estimated from serial measurements of CPK (r=0.73, p<0.05). These date suggest that acute myocardial infarct size can be accurately measured from SPECT Indium-111 antimyosin imaging. This method may be especially valuable in situations where other methods are unreliable, such as early reperfusion technique, right ventricular infarct or presence of prior infarcts.

  • PDF

두개골의 3차원 영상 분석을 위한 전산화단층촬영 방법의 비교-상층 두께가 3차원 영상의 계측에 미치는 영향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of the skull using variable CT scanning protocols-effect of slice thickness on measurement in the three-dimensional CT images)

  • 정호걸;김기덕;박혁;김동욱;정해조;김희중;유선국;김용욱;박창서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4권3호
    • /
    • pp.151-157
    • /
    • 2004
  • Purpose :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accuracy of three-dimensional (3D) images by means of comparing distance measurements on the 3D images with direct measurements of dry human skull according to slice thickness and scanning modes. Materials and Mathods : An observer directly measured the distance of 21 line items between 12 orthodontic landmarks on the skull surface using a digital vernier caliper and each was repeated five times. The dry human skull was scanned with a Helical CT with various slice thickness (3, 5, 7 mm) and acquisition modes (Conventional and Helical). The same observer measured corresponding distance of the same items on reconstructed 3D images with the internal program of V-works 4.0/sup TM/(Cybermed Inc., Seoul, Korea). The quantitative accuracy of distance measurements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with Wilcoxons' two-sample test. Results: 11 line items in Conventional 3 mm, 8 in Helical 3mm, 11 in Conventional 5mm, 10 in Helical 5mm, 5 in Conventional 7mm and 9 in Helical 7mm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verage difference between direct measurements and measurements on 3D CT images was within 2mm in 19 line items of Conventional 3mm, 20 of Helical 3mm, 15 of Conventional 5mm, 18 of Helical 5mm, II of Conventional 7mm and 16 of Helical 7mm. Conclusion: Considering image quality and patient's exposure time, scanning protocol of Helical 5mm is recommended for 3D image analysis of the skull in 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