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and sensory property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37초

연잎과 연근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ed Lotus Leaf and Lotus Root Powders)

  • 김현순;이치호;오재욱;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85-1291
    • /
    • 2011
  • 연잎과 연근분말을 박력분 양의 4, 8, 12% 대체 첨가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으로 제품의 굽기 냉각 손실, 부피 및 비체적, crumb 색도, 조직감, 미세구조, 관능검사 등을 분석한 결과, 굽기 냉각 손실은 연잎과 연근분말을 첨가한 시험구들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케이크의 부피는 대조구가 가장 컸고, 대체분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작아졌으며 비체적도 같은 경향이었다. 색도는 대조구가 시험구들보다 명도(L)와 황색도(b)는 높았고, 시험구 중에는 연근 12% 첨가구의 L값이 가장 낮아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a)는 대조구에 비하여 연잎과 연근분말 첨가로 증가하였다. 조직감 중 경도는 대조구와 연잎 및 연근분말 4%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고, 대체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응집성은 대조구에서 가장 낮았으나 탄력성은 대조구가 시험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케이크의 crumb 구조는 대조구에 비해 연잎과 연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이 거칠고 열려있었다. 관능검사에서 연잎 분말을 첨가한 제품보다는 연근분말을 첨가한 케이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잎분말은 4%, 연근분말은 8%까지 첨가하면 관능적 품질 특성을 유지하면서 기능성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Dietary Fiber Extracts from Brewer's Spent Grai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Cooked in Convective Oven

  • 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Lee, Soo-Yeon;Choi, Min-Sung;Lim, Yun-Bin;Choi, Ji-Hun;Choi, Yun-Sang;Kim, Hack-You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5-52
    • /
    • 2013
  • Brewer's spent grain (BSG) is a by-product of beer manufactur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fiber extracts from brewer's spent grai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The total fiber content of BSG dietary fiber extracts after extraction increased from 58.11% to 68.57%, and the extracted dietary fiber extracts were added to chicken patties at 0, 1, 2, 3, and 4%, respectively. The effects of the BSG dietary fiber extracts on pH, color, cooking loss, reduction in patty diameter, salt-soluble protein solubility,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were evaluated. The addition of BSG dietary fiber extracts decreased pH and lightness values, and increased redness and yellowness. Chicken patties formulated with 3-4% BSG dietary fiber extracts had the lowest cooking loss among all treatments (p<0.05). The diameter of chicken patties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SG dietary fiber extracts. Addition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alt-soluble protein solubility after adding 3% BSG dietary fiber extract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different among the chicken patties, and the 3% BSG dietary fiber-added chicken patty had the highest acceptability. Our results indicate that 3% BSG dietary fiber extract can be used as a good source of dietary fiber for improv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유산균 발효다시마(Saccharina japonica)를 첨가한 복분자 젤리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okbunja Jelly Containing Fermented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Powder)

  • 최지원;이연지;문수경;김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08-416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jelly prepared from gelatin, sugar, bokbunja extract, and different amounts (0, 0.5, 1, 2 and 3%) of fermented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powder (FSP). The jelly moisture, pH, and sugar content sligh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FSP content.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FSP concentration. Jelly antioxidant activ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FSP. In contrast, alcohol dehydrogenase and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ies in the jell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FSP concentration. β-secretase inhibitory activity in jellie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FSP concentration. Jellies containing 0.5 or 1% FSP achieved the highest overall sensory acceptance scores.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addition of FSP to jelly appears to improve its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떫은감 분말의 첨가에 따른 두부의 제조와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Added Astringent Persimmon Powder)

  • 이윤래;정헌식;성종환;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9-333
    • /
    • 2011
  • 떫은감(청도반시) 분말을 첨가한 두부 제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감 분말의 첨가 시기(응고제 첨가 직전과 직후)와 양(0, 3, 6, 9%)을 달리하여 두부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감의 첨가 시기가 응고제 첨가 직전인 경우가 직후인 경우보다 높은 두부 수율과 좋은 관능적 품질특성(외관,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을 보였다. 두부의 수율은 감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큰 변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두부의 hardness, chewiness, crispness는 감 분말 6% 이상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유리기 소거능은 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3%와 6%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관능적 품질특성 중 외관과 색은 첨가구가 보다 나쁘게 평가되었으나 냄새, 콩비린내, 떫은맛 및 조직감은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9%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떫은감 분말을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할 경우, 적합한 첨가 시기와 양은 응고제 첨가직전과 3-6%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판 쌀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in Korean Market)

  • 양희선;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37-744
    • /
    • 2010
  • 국내 시판 쌀국수 10종을 구입하여 3군으로 분류하여 조리 특성과 관능 특성을 살펴보았다. 순수 쌀국수의 경우 제조사의 조리방법이나 조리시간에 따라 조리손실률과 경도, 부착성, 인장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쌀가루 혼합 비율이 다른 시료의 비교에서 쌀가루 혼합 비율에 상관없이 국수가 굵을수록 단단하고 조리시간이 긴 시료일수록 부착성이 증가하였다. 불에 직접 삶지 않고 뜨거운 물을 부어 익히는 조리법 시료군이 국수의 조리 손실률이 현저히 낮았다. 특히 실온에서 일정시간 침수 후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하는 쌀국수의 조리 손실률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국수 품질특성간의 상관성 조사에서 국수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부착성, 응집성, 탄력성과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 결과에서 쌀가루 함량보다는 조리방법 및 시간, 국수 굵기, 최종 포장 상태에서 냉동, 냉장, 건면의 차이 등이 조리 특성과 조직감, 관능 특성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통적으로 관능검사에서 덜 단단하고 쫄깃함, 부착성, 매끄러움성, 씹힘성, 탄력성이 높다고 평가될수록 쌀국수의 전반적 기호도가 높게 나타나 조직감에 의해 쌀국수의 기호성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시판 쌀국수를 시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포장지에 나타난 정보에만 국한하였으며, 국수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쌀 품종, 국수 제조 방법, 첨가물 사용 유무 등을 고려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쌀국수 제품의 포장지에 제시되어 있는 제조사의 조리방법이 제품의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적정 조리 조건이었는지 또한 추후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다.

천년초(Opuntia humifusa) 열매 분말 첨가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Jeung-pyun with Added Withprickly Pear (Cheonnyuncho) Powder)

  • 조은자;김민정;최원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903-910
    • /
    • 2007
  • In order to make acquire a potential use for Opuntia humifusa as a natural functional food materia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quality properties of Jeung-pyun made with added Opuntia humifusa, or prickly pear powder. According to an analysis of its major components, we found that the prickly pear powder consisteds of nitrogen-free extracts (71.85%) and crude fiber (11.20%). Greater additions of prickly pear powder had resulted in significantly lower pH in the of Jeung-pyun. According to measurements on the degree of Jeung-pyun gelatinization, by means of ${\beta}$-amylase, greater additions of prickly pear powder led to the higher levels of isolated maltose, indicating that the gelatinization degree of the Jeung-pyun became higher. Also, samples with higher concentrations of prickly pear powder had a tendency toward lower water content, which allowed us to expect a longer storage duration for the Jeung-pyun. In the textural property tests the Jeung-pyun that had less hardness and greater adhesiveness (p<0.05) than the control group as the content of prickly pear powder became higher. Also, the Jeung-pyunhad lower gumminess and chewiness than the control group as the content of prickly pear powder became hig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pare relatively soft Jeung-pyun using prickly pear powder. For the color differences of the Jeung-pyun samples, lower L- values, and higher a- and b -values (p<0.05) presented as the addition level of prickly pear powder became higher. According to SEM observations of the Jeung-pyun, the added prickly pear powder addition groups generally showed a smaller and more inconsistent pore size, but higher porosity,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sensory analyses of the Jeung-pyun, the P2 group scored highest for color item, and the P4 group generated the fermented scent. Higher additions content of prickly pear powder led to the lower score, but higher scores for adhesiveness. Finally, the P2 group achieved the highest score for overall taste.

  • PDF

쑥, 솔잎 및 두릅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 Patty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Prepared with Mugwort, Pine Needle and Fatsia Leaf Extracts)

  • 정인철;남주현;송형익;박충균;문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26-332
    • /
    • 200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property improvement of meat products, four kinds of pork patties were prepared with water 10% as control, mugwort extract 10%, pine needle extract 10% and fatsia leaf extract 10%, respectively. In case of control moisture content was higher, but crude fat was lower, compared to patties treated with plant extracts. Crude ash content of pine needle extract treatment showed higher level than that of other patties. pH range of patties revealed to 5.92∼5.978. In raw patties Hunter's L-and a-value of control were higher than those of plant extract treatment, and a-value of raw patties showed higher level than that of cooked. Yield, water holding capacity, salt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and gel strength among patti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rol patty, fat retention was lower compared to other plant extract treatments, but water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was higher compared to pine needle. Values such as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patties. In sensory scores such as aroma, juiciness and pala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among cooked patties, but texture score was higher in the order pine needle, mugwort, fatsia leaf and control.

  • PDF

유산발효유 제조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함초 추출물 첨가의 영향 (Supplemented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Extract Powder on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Product.)

  • 정찬영;류진수;최충국;전병삼;박정원;김범규;신갑균;배동원;차재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88-793
    • /
    • 2004
  • 함초 추출물 분말을 0%∼0.4% (w/v) 농도별로 skim milk에 첨가하여 혼합균주인 larfot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lus 및 Bifidobacterium lougum를 전배양 한 starter를 접종하여 37$^{\circ}C$에서 6시간까지 발효시키면서 배양시간에 따른 pH, 적정산도, 점도, 유산균 수 측정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함초 분말 0.1% 첨가구에서 6시간 배양 후 가장 많은 유산균수(9.23 log CFU/ml)를 나타내었고, 가장 높은 산 생성 능력(pH 4.23, 적정산도 0.64%)을 보였다. 발효유의 점도 측정에서도 함초 분말 0.1% 첨가구에서 1,365 cps로 가장 높게 나왔다. 함초 분말 첨가 발효유의 선호도 조사에서는 0.1% 첨가구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6$^{\circ}C$ 12일간발효유 저장 기간 중 저장기간 경과와 함께 pH 및 생균수는 약간씩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산도는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함초 추출물 분말 첨가 발효유 제조에서 기호성과 품질 특성을 고려해 볼 때 0.1% 첨가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감 과피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Persimmon Peel)

  • 신동선;김경미;한서영;한귀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79-488
    • /
    • 2013
  • 본 연구는 농가단위 생산 식품의 품질향상 및 제품화 기술 개발로 감 과피의 영양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고 감 과피 이용 조리가공제품을 개발하여 감 과피의 이용성을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감 과피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 수분이 4.35%, 단백질이 3.01%, 지방이 1.02%, 회분이 2.02%, 당도는 $5.7^{\circ}Brix$로 영양성분이 우수하였으며 감에 많이 함유되어있는 천연 지용성 색소인 총 카로티노이드가 82.5 mg%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감 과피 설기의 품질특성 조사 결과 수분 함량의 변화에서 감 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설기의 수분함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장 28시간까지 모든 시료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특성의 변화에서 색도의 경우 L값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감 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또한 a값 및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텍스처의 변화는 감 과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부착성,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 모두 감소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도, 부착성, 점착성, 씹힘성은 증가하는 반면 탄력성과 응집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3%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나 1, 3, 5%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포장담배의 저장수명에 관한 연구 (Study on shelf life packaged cigarettes.)

  • 이영택;김성한;이근회;양광규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3-31
    • /
    • 1986
  • The water content, physical property and sensory of cigarette brands lave been studied from the view point of the individual and inner packages. It was found that the cigarettes had absorbed the moisture from alto more than 56% of a relative humidity (RH) and lost it under RH, 56%. The critical moisture contents for the optimum quality of cigarette maintenance were 7.7% through 14.595 in the range of equilibrium relative humidity (ERH) 52.2%-63.5%. The ERH at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12.1% showed 58.8% When cigarettes were storaged in 9095 of RH and 4$0^{\circ}C$, the shelf life of the Inner package was respectively shown 18.8 days In cellophane, 33.3 days In PET(25u), 69.8 days in OPP and 73.5 days in OPP film coated with PVDC. As shown above, the longest life time was found in the OPP film coated with PVDC. In the individual packages, the shelf life of packaging materials used above was significantly short in the same conditions as of the inner packages. Each shelf life of the individual packages was same In order comparing with that of the inner Pack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