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dratic functions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2초

MLS기반 유한요소와 그 응용에 관한 제언 (MLS-Based Finite Elements and a Proposal for Their Applications)

  • 조영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335-34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MLS기반 유한요소에 대한 현재 개발상황에 대한 개관과 향후 예상할 수 있는 응용분야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이동최소제곱근사를 이용하여 형상함수를 생성하는 MLS기반 유한요소는, 요소의 경계에서 기존 유한요소의 성질-크로네커 델타 조건-을 가지면서도 기존 요소가 갖지 못했던 임의의 절점 추가가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변절점 요소로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선형 또는 이차형상함수를 갖는 2차원 변절점요소 뿐 아니라, 균열선단과 균열면을 포함하고 있는 2차원 균열요소와 3차원에서의 제한적인 변절점요소 등이 개발되어 다양한 불연속성 문제에 적용 가능함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MLS기반 유한요소는 향후 2차원 변절점 3각요소, 2차원 삼각균열요소, 변절점 쉘요소, 균열 쉘요소, 마칭큐브알고리즘에 적합한 3차원 다면체요소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본 논문에서는 그 일례로 3차원 다면체요소를 이용한 대퇴골의 요소망 생성을 보였다.

정확히 재가중되는 온라인 전체 에러율 최소화 기반의 객체 추적 (Object Tracking Based on Exactly Reweighted Online Total-Error-Rate Minimization)

  • 장세인;박충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4호
    • /
    • pp.53-65
    • /
    • 2019
  • 영상 기반의 보안 시스템의 증가함에 따라 각 용도마다 다른 다양한 객체들에 대한 처리들이 중요해지고 있다. 객체 추적은 객체 인식, 검출과 같은 작업들과 함께 필수적인 작업으로 다뤄진다. 이 객체 추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머신러닝이 적용될 수 있다. 성공적인 분류기로써 전체 에러율 최소화(total-error-rate minimization) 기반의 방법론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전체 에러율 최소화 기반의 방법론은 오프라인 학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객체 추적은 실시간으로 처리하며 갱신해야하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온라인 학습(online learning)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온라인 전체 에러율 최소화 방법론이 개발되었지만 점근적으로 재가중되는(approximately reweighted) 작업이 포함되어 에러를 누적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하게 재가중되는(exactly reweighted) 방법론을 제안하면서 온라인 전체 에러율 최소화가 달성되었다. 이 제안된 온라인 학습 방법론을 객체 추적에 적용하여 총 8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른 추적 방법론들 보다 좋은 성능이 달성되었다.

Effects of Dietary Octacosanol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 Long, L.;Wu, S.G.;Yuan, F.;Wang, J.;Zhang, H.J.;Qi, G.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0호
    • /
    • pp.1470-1476
    • /
    • 2016
  • Octacosanol, which has prominent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functions, has been recognized as a potential growth promoter in animals. A total of 392 1-d-old male Arbor Acres broiler chicks with similar body weight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four dietary groups of seven replicates with 14 birds each supplemented with 0, 12, 24, or 36 mg octacosanol (extracted from rice bran, purity >92%)/kg feed. The feeding trial lasted for six weeks and was divided into the starter (day 1 to 21) and the grower (day 22 to 42) pha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roilers fed a diet containing 24 mg/kg octacosanol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in the overall phase (day 1 to 42, p = 0.042). The average daily gain and FCR both showed linear effects in response to dietary supplementation of octacosanol during the overall phase (p = 0.031 and 0.018, respectively). Broilers fed with 24 or 36 mg/kg octacosanol diet showed a higher eviscerated yield, which increased by 5.88% and 4.26% respectively,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p = 0.030). The breast muscle yield of broilers fed with 24 mg/kg octacosanol diet increased significantly by 12.15% compared with those fed the control diet (p = 0.047). Eviscerated and breast muscle yield increased linearly with the increase in dietary octacosanol supplementation (p = 0.013 and 0.021, respectively). Broilers fed with 24 or 36 mg/kg octacosanol diet had a greater (p = 0.021) $pH_{45min}$ value in the breast muscle, which was maintained linearly in response to dietary octacosanol supplementation (p = 0.003).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p = 0.007) in drip loss value between the octacosanol-added and the control groups. The drip loss showed linear (p = 0.004) and quadratic (p = 0.041) responses with dietary supplementation of octacosanol. These studies indicate that octacosanol is a potentially effective and safe feed additive which may improve feed efficiency and meat quality, and increase eviscerated and breast muscle yield, in broiler chicks. Dietary supplementation of octacosanol at 24 mg/kg diet is regarded as the recommended dosage in the broilers' diet.

벼의 생육온도에 따른 출엽양상과 출엽속도 추정모델 (Temperature Response and Prediction Model of Leaf Appearance Rate in Rice)

  • 이충근;이변우;윤영환;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02-208
    • /
    • 2001
  • 본 연구는 광안벼를 공시하여 동일한 일장 조건에서 온도에 따른 벼의 출엽 및 출수 반응을 검토하여 온도에 의한 출엽속도 추정모델을 설정하고자 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3시간의 동일한 일장에서 최종엽수는 15엽으로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았다. 2. 출엽속도는 저온에서 고온으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고온일수록 발육진전에 따른 출엽속도 감소정도가 컸다. 3. 온도변화에 따른 출엽속도는 15-27$^{\circ}C$의 범위에서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직선적으로 높아지는 1차 회귀 관계를 보였다. 임계온도는 발육진전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임계온도를 1$0^{\circ}C$로 하였을 때 유효적산온도와 출엽과의 관계는 Logistic 함수에 의하여 가장 잘 표현되었다($R^2$=0.995). 하루당 출엽속도는 다음의 식으로 표현되었다. (equation omitted) 여기서 dL/dt는 출엽속도, T$_{i}$는 일평균기온, L은 엽수이고 a, b, c는 상수로 각각 41.8, 1098.38, -0.9273이다. 5. 위의 출엽속도 추정모델에 의해 추정된 값은 모델설정에 이용되지 않은 실제 조사 출엽속도와 가 0.99이상으로 추정 정확도가 매우 높았다.

  • PDF

왕겨풍구의 성능(性能)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작동요인(作動要因)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Effects of Operational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Husk Separator)

  • 장현택;노상하;정창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9권1호
    • /
    • pp.22-33
    • /
    • 1984
  • Husk separator is an indispensable equipment in rice milling plants. However, any basic research on the designing and operating criteria of the husk separator have rarely been conducted in Korea.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reported recently, grain loss occurs in the process of rice husk separation at custom rice milling plants in Korea and the performance of husk separator has also not been identified. With this regar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ypical commercial husk separato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operational factors such as feed rate, blower speed and opening ratio on the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air duct and the performance of the separator.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wind velocity in the primary air duct increased linearly with the blower rpm and the size of air inlet port in both cases of double type and single type operations. 2.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in the horizontal wind velocities in the primary air duct was the minimum when the opening ratio was 0.22 ($0.052m^2$ of air inlet port) in both cases of single type and double type operations regardless of the blower speeds used in this test. The average wind velocity at the upper part of air duct was greater by 2-5 m/s than the velocity at the bottom part in double type operation. In case of single type operation, however, the average velocity in the middle part was greater than the upper or bottom part when the opening ratio was greater than 0.74.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eparation(Ed for double type and Es for single type) and the average wind velocity (Va) in the primary air duct was expressed in the following quadratic functions. $$Ed=-190.84+106.18Va-10.052Va^2$$ ($r^2$ = 0.97782) $$Es=-223.76+106.23Va-9.1935Va^2$$ ($r^2$ = 0.97029) The average wind velocity required to obtain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eparation more than 80% ranged from 4.04 m/sec to 5.84 m/sec in case of double type operation, and from 4.70 m/sec to 6.20 m/sec in case of single type. 4. An optimum wind velocity can be obtained with an increase in the blower speed or the size of air inlet port as presented in Figure 8.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faster the blower speed, the narrower the control range of the air inlet port. 5. The feed rates (1850kg/hr and 2100kg/hr) adopted in this experiment did not bring abo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eparation and the power consumption. 6. The energy consumption increased cubically with the blower speed but linearly with the size of the air inlet por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described in items 1, 3, and 6, it would be more economic to adjust the size of the air inlet port larger with a relatively low blower speed than to adjust the size smaller with a relatively high speed.

  • PDF

Windows용 수간석해(樹幹析解) 프로그램(Stemwin1.0)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Stem Analysis Program(Stemwin1.0) for Windows)

  • 이준학;이우균;서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31-33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PC기반의 Windows운영체제에서 운용될 수 있는 수간석해 프로그램(Stemwin1.0)을 개발하였다. Stemwin1.0에서는 연륜측정기에서 1/100mm 단위로 측정된 l년 단위의 연륜폭 자료를 입력받아 흉고직경 및 단면적, 수고, 재적 등 각종 생장량을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수령별 평균 흉고직경 및 단면적은 산술 및 단면적 평균법을 적용해 계산할 수 있으며, 수고생장은 평행선법, 직선연장법, 수고곡선법 등에 의해 다양하게 추정할 수 있다. 재적은 Huber식, Smalian식, Spline식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해 추정할 수 있다. 선택된 계산방법에 따라 상가 각 생장인자의 총, 평균 및 연년 생장량 뿐만 아니라 이용재적 및 수고, 형수, 생장률 이용률 등의 생장 관련 정보가 1년 단위로 자동 계산된다. 또한, 1년 단위의 정밀한 간곡선도를 다양한 축척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간곡선식 유도를 위한 통계분석용 자료(단판 높이별 직경)도 제시된다. Stemwin1.0에서는 계산결과를 MS-Excel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중부지방소나무 및 굴참나무의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개발 (Development of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for Pinus densiflora in Central Region and Quercus variabilis)

  • 손영모;이경학;표정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65-7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부지방소나무와 굴참나무의 부위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개발에 있다. 부위별 상대생장식의 개발을 위하여 축적 및 임분의 구조를 고려하여 중부지방소나무에서 30개소 (70그루), 굴참나무에서 15개소 (32그루)를 선정하고 시료를 수집하였다. 바이오매스의 추정에 이용된 인자는 흉고직경,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하는 두 가지이며, 지수식, 대수식, 2차방정식의 형태로 구분하였다. 최적의 상대생장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용된 통계량은 적합도지수 (FI), 잔차의 평균 (Bias), 잔차의 표준오차 (SEE)이다. 이를 통하여 추정된 수종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은 중부지방소나무에서 $W=aD^b$, $W=aD^bH^c$ 식이 적합하며 적합도는 0.937, 0.943이다. 반면, 굴참나무는 $W=a+bD+cD^2$, $W=aD^bH^c$ 식이 적합하며 적합도는 0.865, 0.874이다. 또한, 중부지방소나무와 굴참나무의 부위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은 중부지방소나무 $W=aD^b$ 이고, 굴참나무 $W=a+bD+cD^2$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중부지방소나무, 굴참나무의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은 일부지역에 국한되어 개발되었던 상대생장식에 대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수종에 대한 탄소량의 계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Fermented cottonseed meal improves production performance and reduces fat deposition in broiler chickens

  • Niu, Jun Li;Wei, Lian Qing;Luo, Yuan Qing;Yang, Wen Ting;Lu, Qi Cheng;Zheng, Xin Xia;Niu, Yu Jie;Sheng, Wen;Cheng, Hong;Zhang, Wen Ju;Nie, Cun X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680-691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ed cottonseed meal (FCSM)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fat deposition in white-feather broiler chickens. Methods: A total of 480 male one-day-old white-feather broiler chickens were selected randomly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six replicates of 20 chickens in each. The experimental chickens were fed diets including 3%, 6%, or 9% FCSM fermented by Candida tropicalis until 42 days old. In the experiment, the chickens of the control group were fed soybean meal. Results: FCSM supplementation linearly decreased the feed conversion ratio from d 15 to 21 and d 36 to 42, respectively (p<0.05). The percentage of carcass and semi-eviscerate increased in response to dietary FCSM supplementation at d 21 (p<0.05). The percentage of eviscerated and semi-eviscerate of 3FCSM was higher than that in other groups at d 35 (p<0.05). At the age of 42 d, the percentage of carcass increased in a quadratic way among increasing FCSM in diets (p<0.05). The subcutaneous fat thickness linearly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FCSM at d 21 (p<0.05). Gompertz and Logistic functions provided a better fit on abdominal fat and subcutaneous fat, respectively. The best fitted equation predicted that the maximum growth rate of abdominal fat weight and subcutaneous fat thickness occurred at d 28. FCSM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shape of growth curve of abdominal fat weight and subcutaneous fat thickness, but reduced the height of the curve. Birds receiving the 6FCSM diet for 21 d had smaller adipocyte surface and lower serum glucose as well as triglyceride concentration. Conclusion: FCSM is beneficial for broiler chickens as it positively affects their growth and carcass in addition to altering their fat deposition.

최대경계선을 이용한 벼 수량의 기상반응분석과 수량 예측 I. 최대경계선 분석과 수량예측모형 구축 (Upper Boundary Line Analysis of Rice Yield Response to Meteorological Condition for Yield Prediction I. Boundary Line Analysis and Construction of Yield Prediction Model)

  • 김창국;이변우;한원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1-247
    • /
    • 2001
  • 우리나라 벼 수량의 기상반응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벼 수량예측모델을 구축하고자 1985년부터 1999년까지 15년간 수행한 20개 지역의 벼 지역적응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에 대한 수량반응의 최대경계선(boundary line)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수량예측모형을 설정하였다. 1. 벼의 생육기간을 영양생장기, 생식생장기, 등숙기로 구분하고 각 발육단계를 15-20일 간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의 기상요소에 대한 수량반응의 최대경계선은 평균기온( $T_{a}$ )과 일조시수( $S_{h}$)에 대해서는 지수함수 f( $T_{a}$ )=$\beta$$_{0}$(1-exp(-$\beta$$_1$/$\times$ $T_{a}$ ), f( $S_{h}$)=$\beta$$_{0}$(1-exp(-$\beta$$_1$$\times$ $T_{h}$)로 나타났으며 일교차(Tr)는 2차함수 f( $T_{r}$)=$\beta$0(1-( $T_{r}$-$\beta$$_1$)$^2$)로, 이 식에서 상수항 $\beta$$_{0}$를 제거하여 수량에 대한 각 기상요소의 영향도를 0-1로 나타내는 기상지수로 나타내었다. 2. 각 생육시기의 평균기온, 일조시간 및 일교차에 대한 수량반응의 최대경계선이외에 불임에 의한 등숙률 저하와 그에 따른 수량감소를 고려하기 위하여 Uchijima(1976)가 제안한 냉각도일수(cooling degree day)를 출수전 30일간의 생식생장기에 계산하여 이에 대한 수량과 등숙률 반응의 최대경계선을 계산하였는데 냉각도일수가 증가하면 수량이 감소하는 지수함수로 잘 표현되어 기존의 연구들과 같은 결과였다. 3. 기상지수는 벼의 생육기간을 영양생장기, 생식생장기 및 등숙기로 구별하고 각 시기별로 수량 기상지수를 각 기상요소 기상지수를 기하평균하여 산출하였는데 각 시기별 수량기상지수의 수량변이 설명도는 각각 0.383-0.430, 0.460-0.534, 0.4603-0.587로 결정계수는 영양생장기<생식생장기<등숙기의 순으로 컸다. 4. 최대경계선 분석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각 생육시기별 수량기상지수를 기하평균하여 구한 종합수량기상지수와 수량과의 직선회귀식을 구하여 수량예측모형(Model I, II, III)을 작성하였다. Model I, II, III)은 각각 결정계수가 0.6512, 0.6703, 0.6129로 모든 생육단계에 걸쳐서 기간을 15-20일 단위로 세분하여 모든 기간의 수량에 대한 기상지수를 고려하여 전 생육기간의 종합수량기상지수를 산출한 Model II가 기상변화에 따른 수량변이의 설명도가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