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i and flavor(氣味)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율무복령죽의 동·서 융합적 섭취효능 및 식이요법 활용에 관한 연구 (Oriental and Western Convergence Study and Alimentotherapy Application of Yulmubokyeoljuk)

  • 박성혜;박해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385-391
    • /
    • 2017
  • 본 연구는 동양의 기미론 원리에 입각하여 구성된 음식의 식품영양학적 가치를 인지하여 음식의 효능이나 합리적인 섭취방안에 대한 동 서 융합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계획되었다. 이에 따라 율무복령죽을 대상으로 기미론 원리에 따른 섭취효능을 분석하였고, 동시에 일반성분과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여 서양의 식품영양학적 영역에서의 섭취효능을 판단하여 융합적으로 율무복령죽의 특성 및 식이요법에 활용할 수 있는 음식으로써의 가치를 분석하였다. 율무복령죽은 인의 함량이 높은 산성식품으로 열량이 높은 음식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비(脾)에 정체된 수습(水濕)을 배출시켜 과도한 습(濕)이 제거되어 비(脾)의 운화(運化)기능을 강건히 함으로써 기(氣)형성의 기초가 되는 정미물질을 잘 만들 수 있는 음식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의 전통적 기미론에 입각한 식품의 특성 및 섭취효능 접근 필요성의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사료되며 향후 동 서 영역에서의 식품학적 가치를 융합적으로 판단하여 진정한 식품이나 음식의 효능접근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백복령, 산약, 연육 및 검인의 동·서 융합적 섭취효능 및 항산화 활성 (Convergence Dietary Effec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ia cocos, Dioscorea opposita, Nelumbo nucifera and Euryale ferox)

  • 박성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583-590
    • /
    • 2016
  • 본 연구는 동양 식품학과 서양 식품학 원리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식품의 새로운 가치를 찾아보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백복령, 산약, 연육 및 검인 등 4가지 재료에 대해 기미(氣味)를 기초로 섭취효능을 정리하였고, 일반 영양성분, 무기질, 유리당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여 동 서 융합적 섭취효능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동양 식품학적으로 4가지 재료들은 소화기관인 비위(脾胃)를 건강하게 하는 섭취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서양 식품학적으로는 인의 함량이 높은 탄수화물 급원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자공여능에 의한 자유기 소거능, ABTS 자유기 소거능, SOD 유사활성을 통해 분석한 재료들의 항산화 활성은 검인의 활성이 다른 재료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성분 함량 또는 기미 분석만으로는 이 재료들의 특징을 온전히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여진다. 이에 따라 식품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특성을 접근해 보는 시도가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재료의 동 서 융합적 특성과 효능을 돌출하여 향후 이 재료들을 활용한 건강음식, 기능성 식품 등의 레시피 구성을 위한 근거자료 및 식품의 특성을 판단할 때 동 서 융합적 시각의 필요성을 인지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리라 사료된다.

청열(淸熱)효능을 지닌 약선재료의 기미론(氣味論)적 의미와 식품학적 특성 (Qi-Flavor Theory' Meaning, Nutrient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Oriental Medicinal Materials with Clear Heat Effect)

  • 박성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2-50
    • /
    • 2016
  • Traditionally, food and medicines are considered as having common roots. That is, their energies share the same source (藥食同源), which has created a unique food culture, and nurtured a unique academic area of dietary medicine (藥膳食料學).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esirable dietary life-style based on the oriental dietary medicine theorem originated from the schema of four qi as well as five flavors of foods (四氣五味), originated from the yin-yang and five phase theory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a modern point of view,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nutrients and dietary effects of clear heat effect materials. This study can promote more healthy life-styles and prevent adult diseases by following oriental dietary medicine theory. We should develop a Yack-sun theory and dietary culture that is suitable for physical and genetic health.

당뇨의 식·의약 치료를 위한 약선 미숫가루의 동, 서 식품학적 효능 분석 (Oriental and Western Food Effects Analysis of Misutgaru for Fusion Remedy in Diabetes Mellitus)

  • 박성혜;차경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37-143
    • /
    • 2016
  • 본 연구는 쥐눈이콩을 주재료로 하는 당뇨의 식이요법에 활용할 수 있는 간편 편이식을 개발하고자 계획하였고 그 첫 단계로 고처방을 기초로 하여 미숫가루를 고안하였다. 동양의 기미론을 기본으로 그 효능을 분석하고 동시에 영양성분을 분석한 후 동 서 식품영양학적으로 그 효능을 비교, 고찰하여 당뇨의 식 의약 치료에 있어 활용가치를 판단해 보았다. 본 연구는 식품을 기미론(氣味論)적으로 분석하여 약선식료학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동시에 식품영양분야에서 식품효능 접근 방법과 원활한 접목을 위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향후 식품의 효능이나 섭취방안에 대한 올바른 개념을 정립하여 식품 효능에 대한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되어 동양에서 바라보는 식품의 섭취효능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자들은 본 연구에서 고안한 미숫가루의 보간익신(補肝益腎) 효능을 객관적으로 판단해 보고자 임상실험을 진행하여 당뇨의 식 의약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가치를 계속적으로 연구 보고하고자 한다.

방향성(芳香性) 본초(本草) 분류를 통한 향기요법(香氣療法) 연구(硏究) (The Study on Classification of Aromatic Herbs in Oriental Medicine for Aromatherapy)

  • 엄지태;김경신;강정수;김병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0
    • /
    • 2011
  • In western, aromatherapy uses essential oils to prevent and treat disease, and is one of the ways to stay healthy. In oriental medicine, there was also a similar medical treatment using aromatic herbs for a long ago. The exisiting research of oriental medical herbs is mainly focused on the theory of qi and flavor(氣味論). But on aromatherapy used with aromatic herb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romatic herbs by aroma. So "xi$\bar{a}$ng p$\check{u}$, 香譜" and "b$\check{e}$n c$\check{a}$o g$\bar{a}$ng m$\grave{u}$, 本草綱目" mainly contain the study about clinical effects of aromatic herbs. And "b$\check{e}$n c$\check{a}$o p$\check{i}$n hu$\grave{i}$ j$\bar{i}$ng y$\grave{a}$o, 本草品彙精要"mainly explains the effects of medical herbs with five aroma classification of x$\bar{i}$ng(腥), sh$\bar{a}$n(膻), xi$\bar{a}$ng(香), ch$\grave{o}$u(臭), xi$\check{u}$(朽). The former one makes more clinical uses of medical herbs, and the latter one grows up the theory of medical herbs.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a good influence on aromatherapy and classification of oriental medical her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