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pal format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종균의 주사에 의한 작잠번데기 동충하초 생산 (Production of Vegetable Wasp and Plant Worm by Injection of Paecilomyces japonica to Pupae in the Chinese Oak Silkworm, Antheraea pernyi)

  • 이상몽;박남숙;이호웅;조세연;성수일;문재유;김두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6-179
    • /
    • 1998
  • Injection method of Paecilomyces japonica to Antheraea pernyi pupal body was investigated on feasibility for production of the corresponding vegetable wasp and plant worm. Infection rate of P. japonica to the pupae was 100%, and also fruiting body formation rate was 97%. The initial pupal body weight of 9.38 g befor injection of P. japonica to the pupae was finally reduced to 7.87g after two weeks in vivo culture. From these results, the injection method to pupal body will be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Antheraea vegetable wasp and plant worm in future.

  • PDF

배추흰나비 용기 특이 큐티클 단백질의 시공간적 역할 (Temporal and Spatial Role of Pupal Stage Specific Cuticle Protein in Artogeia rapae)

  • 신명자;박정남;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23-229
    • /
    • 2007
  • 배추흰나비 날개 형성기 동안 용기 특이 큐티클 단백질의 국소부위에 따른 분포와 신생조직합성에 있어 이의 시공간적 역할을 조사하였다. 큐티클에서 27 kd 단백질은 국소 부위에 따른 질적 변화는 거의 없으나 용 초이게 비교적 높은 농도를 보이다가 성충기로 감에 따라 서서히 농도가 낮아지는 양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지방체에서 27 kd 단백질은 용화 후 3일까지는 흉부와 복부에서 전시기에 걸쳐 확인되고 있지만 그 이후 부터는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Western blot 상에서도 27 kd 큐티클 단백질의 흉부와 복부의 국소적인 분포에는 거의 차이가 없으나 용말기와 성충 날개큐티클에서는 동질성을 보여주고 있다. $^{3}H-leucine$은 흉부와 복부 큐티클의 27 kd 단백질에 시공간적인 차이를 두고 통합되고 있으며, 용말기와 우화직전 흉부 큐티클과 복부 큐티클의 27 kd 단백질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우화직전과 직후의 날개큐티클에 통합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지방체와 표피에서도 27 kd 단백질에 대한 통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27 kd 용기 특이 큐티클 단백질은 국소 부위에 따른 질적, 양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날개 형성기 동안 부분적으로 27 kd 단백질이 포함된 endocuticle이 소화, 재흡수 과정을 통해 성충 날개 큐티클의 형성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배추흰나비 복안의 각막 형성 (Corneal Formation of the Compound Eye in Pieris rapae L.)

  • 김창식;김우갑;김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4호
    • /
    • pp.98-106
    • /
    • 1994
  • The corneal formation of compound eye of Pieris rapae L., which was mostly made during pupal stage, was morphologically investigated with light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regeneration of the microvilli were found on the surface membranes of corneagen cells and retinular pigment cells of preommatidium after apolysis pupal cuticle. The microvilli were finally differentiated to corneal nipples of the ommatidium. The corneal cuticle was generated on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preommatidium from corneagen cells and retinular pigment cells. The corneal process was also formed under the cuticular layer from the corneagen cells. The pore canal was appeared within the cuticular layer and connected with the retinular pigment cell as if the root of interommatidial hair was connected. The interommatidial hair was projected randomly among the ommatidial facets and cornal nipple was arrayed regular on the ommatidial facets. The cornea was convex lens and the refracting power by its convex shape was 4 diopter.

  • PDF

초고압 동결장비와 초고압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초파리의 감간분체 형성과정의 구조분석 (Rhabdomere Formation in Late Pupal Stage of Drosophila melanogaster; Observation Using High-Pressure Freezing and Freeze-Substitution, and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y)

  • 문지영;;;한성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1호
    • /
    • pp.35-42
    • /
    • 2007
  • 감간분체 (Rhabdomere)가 왕성하게 형성되는 번데기시기의 Drosophila melanogaster 광수용체 세포를 고정효과가 가장 좋은 high-pressure freezing (HPF)와 freeze-substitution (FS) 기법으로 고정한 후, 초고압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1000 KV 전압에서 관찰하였다. 후박절편(250nm)의 tilting image를 통하여 광수용체 세포에서 감간분체 형성의 세가지 형태가 관찰되었다. 첫째로, 감간분체의 육방정계 배열이 (hexagonal may) 서로 다른 각도로 존재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광수용체 세포의 세포질 안에서 감간분체 형성의 중간 과정으로 보여지는 작은 조각의 감간분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감각분체가 여러 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광수용체 세포의 세포질에는 최소한 세 가지의 소낭(vesicle)이 존재하였고, 이들 소낭들은 번데기 시기의 감각분체 형성을 주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들에 의하여 소낭이 감각분체 형성과 감각분체의 부분들이 모여서 감각분체를 완성되는 과정에 관여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의 생태학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efly, Luciole lateralis)

  • 오홍식;강영국;남상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97-202
    • /
    • 2009
  • 애반딧불이의 유충상륙은 약 5.3일이 소요되었고 고치방을 만든 후 약 6.6일에 번데기로 변태하였다. 고치방의 크기는 길이 10.1 mm, 폭 4.7 mm, 벽두께 1.3 mm이었다. 번데기는 약 10.5일이 소요되었다. 성충이 되고 고치방 속에 약 6.8일 후에 출현하였다. 성충의 출현은 PM. 9시를 전후로 최대였고 PM. 10시에 감소하였다. 성충출현의 최적지온은 $23.4^{\circ}C$였다. 실내개체군(Lab-type)의 암컷 및 수컷과 야외개체군(Nat-type)의 수컷은 수명이 비슷하였고, Nat-type의 산란 수는 200${\sim}$400립 구간을 형성하였다. 단지, Nat-type의 암컷은 수명이 짧았으며, 산란 횟수와 산란 수는 적었다. 산란횟수에서 야외개체군은 2회와 실내개체군은 4회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야외개체군은 시료 채집 이전에 산란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Implication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Pupation Pattern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 Lakshminarayana, P.;Naik, S.Sankar;Reddy, N.Sivaram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5권1호
    • /
    • pp.67-71
    • /
    • 2002
  • The implications of temperature (25,30 and 35$^{\circ}C$) and relative humidity (60, 70 and 80%) on the pupation patterns were studied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Larvae of two pure silkworm breeds, Pure Mysore (PM) and NB4D2 and their hybrid, PM ${\times}4 NB4D2 were reared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under natural day photoperiodic (LD 12: 12) condition. The three developmental marker events viz., larval ripening, pharate pupal formation and pupal formation occurred at or around the beginning of the photo-phase. The computed of mean vector (equation omitted), based on the circular statistics, also confirmed the above. However, the length of mean vector, r and the mean vector angular variance, s varied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imposed; the variations being non-significant. Extrem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however, resulted in reduction in pupation rate (%) for PM and PM ${\times}4 NB4D2. On the other hand, in NB4D2 pupation percentage reduced below the economic leve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gether seems to exert synergic impact on the pupation rate at least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L.)의 초기 용시기에 따른 Leucine의 대사 (Metabolism of Leucine During the Early Pupal State of Cabbage Worm, Pieris rapae L.)

  • Jeon, Jin-Seon;Choe, Rim-Soon;Park, Choon-Keun;Kim, Hak-Ryul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5
    • /
    • 1979
  • 배추흰나비(Pieris rapae L.)의 용시기 (pupal stage)의 큐티를 형성 및 경화에 따른 leucine의 대사를 규명하기 위하여 $^3H-leucine$ 또는 $^14C-tyrosine$을 용화직후 혈림프에 주입시켰다. 혈림프내의 leucine은 탈피후 3시간 동안에 걸쳐 큐티를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였고 또한 혈림프, 지방체, 장 및 큐티클 사이를 자유로이 이동하였는데 이것은 leucine대사에서 지방체 및 장이 혈단백질의 합성 및 저장에 관여하고 있다는 자료를 암시하여 준다.

  • PDF

누에의 變態에 따른 貯藏蛋白質의 出現과 分布에 관하여 (On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Storage Proteins During the Metamorphosis of Bombyx mori L)

  • Eul Won Seo;Hak Ryul Kim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2
    • /
    • 1986
  • 누에의 變態期 동안 貯藏蛋白質의 出現과 번데기 시기동안 각 組織에 따른 貯藏蛋白質의 分布를 살펴보기 위해 電氣泳動法, 免疫學的 方法 및 column chromatography法을 使用하였다. 혈림프의 貯藏蛋白質은 2개로 區分이 되었고, 5령 初期부터 出現하고 있으며 지방체 단백질과도 동일한 전기영동상의 移動度를 갖고 있다. 이의 量的 變化는 終令期에는 혈림프에서 높은 濃度를 유지하다.  化後에는 脂肪體에 축적이 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특히 저장단백질-2가 암수에서 모두 두드러진 저장단백질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貯藏蛋白質은 종령 末期에는 큐리클 단백질 형성에도 관여하는 것 같으며 번데기에는 中腸도 일시적으로 저장단백질을 저장하는 것 같다. 또한 貯藏蛋白質中 저장단백질-2는 vitellogenin과 정기영동 및 면역학적으로 동일한 이동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번데기시기동안 卵黃蛋白質의 항체에 대해 항원-항체반응을 나타내고 있어 卵形成過程에도 밀접하게 관여하는 것 같다.

  • PDF

휴면중인 미국흰불나방 번데기의 성충발육에 미치는 20-hyderoxyecdysone의 영향 (Effects of 20-hydroxyecdysoneon Adult Development of Diapausing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Pupae)

  • Seung Lyeol Gha;Kyung Saeng Boo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7-294
    • /
    • 1995
  •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 번데기의 휴면 종료에 미치는 탈피호르몬 20-hydroxyecdysone (20-HE)의 처리효과와 또한 호르몬처리로 유기된 휴면 후 성충발육 모습을 정상적인 성충발육과 비교하기 위하여 본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고 같다. 광주기 16L.8D와 $25\pm1^{\circ}C$에서 여러가지 다른 기간동안 저장했던 휴면번데기에 20-HE를 처리했을 때 가장 높은 휴면 종료율은 가장 오랫동안 처리된 군에서 나타났고 45일 동안 저장했던 휴면번데기에서 가장 낮은 종료율을 보였다. 우화에 필요한 기간은 저온($0\pm1^{\circ}C$)처리가간에 반비례하였고, 또한 저온처리기간이 길어질 수록 20-HE에 대한 민감도는 높아졌다. 번데기 휴면기간은 그들이 16L.8D 광조건에 처리되었건 혹은 지속적이 암조건에 저장되었건 간에 거의 같았고, 또한 저온처리없이도 성공적으로 성충이 출현하였다. 정상적으로 무화(휴면없이)하는 번데기의 산소소모율은 전형적인 U자 모양을 보였지만 20-HE에 처리된 휴면 번데기의 산소흡수량은 천천히 증가하다가 처리 후 14일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번데기 휴면은 성충조직을 형성하기 이전에 들어갔으며,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번데기나 또는 20-HE에 처리되어 발육하기 시작하는 휴면 번데기 모두에서 성충조직 형성시기와 대사율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일치하였다. 탈피호르몬처리로 발육을 시작한 휴면 번데기의 혈림프와 지방체에서 분리된 단백질종류는 모두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번데기의 조직에서와 같았다.

  • PDF

IGR계 살충제가 집파리 유충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insect growth regulators on the development of housefly, Musca domestica L., larvae)

  • 박정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37-146
    • /
    • 1998
  • 축산지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집파리 (Musca domestica)의 방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 등록되어 있는 곤충생장조절 작용이 있는 몇가지 살충제와 imidacloprid 5% WP를 유충의 먹이에 섞어 줌으로써 유충에 대한 치사작용과 번데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실험에는 1997년 경남 함양의 돈사(豚舍)에서 채집한 집파리를 실험실에서 사육하여 사용하였다.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 tebufenozide 등 IGR 계통의 살충제를 집파리 2령충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3령표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유충에 대한 치사효과가 높았고, 3령충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정상적인 번데기 표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기형번데기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유충에 대한 치사작용과 기형번데기의 형성에 의한 총사망율은 먹이에 섞어준 약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령충에 처리하였을 때 95%이상의 총사망율을 나타낸 농도는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 imidacloprid에서 각각 5 ppm, 3 ppm, 30 ppm, 5 ppm, 1,000 ppm이었고, tebufenozide는 1,000 ppm에서 91.7%의 사충율을 나타내었다. 3령충에 처리하였을 때 95%이상의 총사망율을 나타낸 농도는 diflubenzuron, teflubenzuron, triflumuron, flufenoxuron에서 각각 100 ppm, 10 ppm, 300 ppm, 10 ppm이었으며, tebufenozide와 imidacloprid는 다른 약제에 비하여 집파리 유충에 대한 치사효과가 떨어져서 각각 1,000 ppm과 300 ppm의 높은 농도에서도 총사망율이 36.1%와 86.7%에 불과하였다. 집파리의 번데기가 외형상으로는 정상이라 하더라도 약제 처리에 의하여 무게가 감소하였다. Teflubenzuron, flufenoxuron, tebufenozide, imidacloprid 처리에 의한 무게감소 현상이 뚜렷하였고, diflubenzuron 과 triflumuron은 무게 감소효과가 적었다. 따라서 IGR계통의 살충제는 유충을 치사시키거나 기형 번데기를 만들어 성충으로 우화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번데기의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차세대의 산란수에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