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mping statio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초

코안다효과를 이용한 제진기 스크린의 최적설계를 위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for Optimum Design of Dust Separator Screen Based on Coanda Effect)

  • 윤성민;김용선;신희재;고상철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77-185
    • /
    • 2018
  • There is a need to study dust separator screens with good drainage efficiency while effectively filtering suspended solids and other contaminants entering the intake pumping station, the drainage pumping station and the mediation pumping station, the cooling water inlet of the power plant, and the like. In this paper, Numerical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optimal design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using the Coanda effect. The shape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is important, such as the right curvature radius $R_1$ at the top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and the left curvature radius $R_2$ at the top, h is the height difference and shape between the screen and the accelerating plate, and ${\theta}$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creen. A total of 4 shape factors were set and the effects of Coanda and drainage performance of each el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optimum length and size of each shape element were derived by classifying the shape elements into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Finally,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filter foreign matter by narrowing the screen spacing, and the drainage performance was analyzed and optimized through numerical studies of dust separator screen.

관개용 저수지 및 양수장의 농업용수 공급량 및 수질 (Actual Uses and Water Qualities of Irrigation Water from Agricultural Reservoir and Pumping Station)

  • 최진규;한강완;구자웅;손재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5-212
    • /
    • 2001
  • 관개용 저수지와 양수장으로부터 농업용수의 공급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지구를 선정하여 관개기간 동안 수문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된 수위와 유량 측정자료로부터 공급량을 산정하고 관개수의 수질분석을 실시하였다. 중평저수지에서 농업용수로 공급되는 방류량은 593.2천$m^3$으로 단위면적당 사용량은 1.186mm로 나타났고, 귀석양수장에서 양수되는 공급량은 2,913천$m^3$었으며, 5월이 전체의 26.6% 6월이 30.8%를 차지하여묘 대기와 이앙기에 가장 많은 농업용수가 공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평저수지 방류수의 수온은 $17{\sim}21^{\circ}C$의 범위로서 벼 생육의 적정온도에 비하여 상당히 낮은 반면 귀석양수장은 $21{\sim}30^{\circ}C$를 나타내었으며, 관개수의 pH는 6.9~8.1의 범위로서, 하천과 호소의 농업용수 기준인 6.0~8.5의 범위내에 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급수에 대한 시기별 EC의 변화는 중평저수지 방류수가 $63{\sim}76{\mu}mhos\;cm^{-1}$로 거의 일정한 반면, 하천수를 관개하는 양수장의 경우 $72{\sim}204{\mu}mhos\;cm^{-1}$의 범위로서 값이 크고 심한 변화를 보여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중평저수지 출구지점의 방류수에 대한 총-질소(T-N)는 $0.9{\sim}3.0mg\;L^{-1}$의 범위였으며, 귀석양수장의 경우에는 $0.45{\sim}4.56mg\;L^{-1}$의 변화를 보였다. 시기별 총인(T-P)의 변화는 보면 저수지는 $0.008{\sim}0.036mg\;L^{-1}$로서 관개가 시작되는 6월 초에 급격히 상승하는 변화를 보인 반면에 귀석양수장은 $0.008{\sim}0.013mg\;L^{-1}$의 범위로서 비교적 일정하였으며. 호소의 수질환경기준인 $0.1mg\;L^{-1}$보다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 PDF

회귀분석을 이용한 지하수 수위 변화 추정 (Estimation of the Change in Ground Water Level using Regression Analysis)

  • 김상민;안병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6호
    • /
    • pp.51-58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ground water level is decreasing. We suggest a method of estimating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 using newly developed groundwater pumping station data. The Goseong area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was selected considering three factors. First, this area demands relatively large amount of irrigation water because most of the land is used as a paddy field and the proportion of the paddy field within total arable land is increasing. Second, groundwater level data in nearby area are available since these are monitored by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Third, many groundwater pumping stations have been developed in this area in order to overcome droughts thus detail information for pumping stations are availab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 groundwater level has been decreased for over 20 years. This decreasing trend is due to the shortage of surface irrigation water which was caused by the decrease in rainfall.

우수배제 펌프의 조작기준에 따른 서울시 유수지의 안전검토 (A Safety Evaluation of Detention Reservoirs at Seoul by New Pumping Criteria)

  • 이원환;박상덕;심재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41-150
    • /
    • 1992
  •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기존의 배수체계에 의한 내수배제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른 홍수 발생시의 내수침수 피해가 도시지역 홍수의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배수체계 중 유수지 및 우수배제 펌프장의 안전도를 검토하였다. 펌프조작에 있어서는 증수부와 감수부에 따라 우수배제 펌프를 조작하는 기준이 기존 펌프보유대수로도 홍수대처능력을 현재보다 월동하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수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유수지내 유입량과 펌프조작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펌프 한대가 담당하는 적정 유입량의 범위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서울특별시 관내 57개소의 유수지 및 우수배제 펌프장중 10년 빈도의 설계호우에 대해서도 60% 정도만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양수장의 가동시간을 이용한 하천수 취수량 산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iver water intake us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pumping station)

  • 백종석;김치영;차준호;송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2호
    • /
    • pp.89-96
    • /
    • 2020
  • 환경부 산하 물관리 기관들은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 양질의 기초 자료를 생산 및 축적하고 있다. 하지만 농경지를 많이 포함한 유역에서는 농업용수의 취수와 배수 등 인공적인 물의 순환 과정이 정량적으로 조사되지 못하고 있어 하천 수량의 통합적인 관리가 부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를 목적으로 하천변에서 취수되는 유량의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간접 유량 계측방법 중 가동시간에 따른 전력량법(가동시간법)을 적용 및 개선하여 저비용으로 높은 신뢰도의 결과자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동시간법은 실시간 전력량 자료의 확보가 어려운 소규모 양수장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실측 유량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한 결과, 양수장의 흡입구가 연결된 하천의 수위를 반영하여 가동시간법으로 산정한 유량은 실측 유량과 상당히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최초 설비 설치시에 대한 투자 비용을 직접 유량 계측방법들과의 비교를 통해 저비용으로 양질의 유량자료를 생성하여 높은 효율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가동시간법을 하천변에 위치한 크고 작은 양수장에 적용하여 유량 자료를 확보한다면, 보다 정량적이고 통합적인 하천수 관리의 시행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첨두강우강도를 고려한 우수관로 및 빗물펌프장의 설계용량 검토 (Study on Design Capacity of Stormwater Pipe and Pumping Station considering Peak Rainfall Intensity)

  • 정건희;심규범;김응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9호
    • /
    • pp.777-787
    • /
    • 2014
  • 불투수지역이 대부분인 도시유역의 경우, 우수관을 통한 우수의 배제가 유출시스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도시지역의 우수관로 및 빗물펌프장의 용량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강우빈도해석을 통해 계산된 빈도별 강우를 Huff시간분포 등을 사용하여 일괄적으로 시간 분포시켜 유출을 계산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게릴라성 호우 등이 빈번히 발생하고, 평균적인 강우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의 불확실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설계강우사상의 첨두강우강도가 가지는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해, 설계강우사상을 시간 분포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이며, 실제 본 연구의 적용지역인 가산1빗물펌프장의 설계에 사용된 Huff 2분위 방법과 과거 발생한 실제 강우사상들을 이용한 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역 내 지체효과가 거의 없는 도시지역의 경우에는 총강우량보다는 첨두강우강도에 의해 유역 내 홍수가 유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입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총강우량이 같다고 하더라도, 첨두강우강도에 따라 상류 우수관의 범람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같은 빈도의 설계강우량이라고 해도 지속시간이 짧은 경우에 더 큰 첨두강우강도를 가지므로 더욱 두드러졌다. 이것을 본 연구에서는 설계강우사상를 시간분포시킴에 의해 야기되는 첨두강우강도의 불확실성이라고 정의하고, 이에 대한 정량화 및 고려가 도시지역의 유출시스템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간척지 논 침수 원인 조사와 방재 대책 수립 (Investigation and Complementary Measures Establishment for Flood on Tidal Reclaimed Paddy Fields)

  • 정주홍;윤광식;최수명;윤석군;고영배;김영택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05-114
    • /
    • 2010
  • Tidal land reclamation provided water resources and land for agriculture and contributed stable crop production. However, climate change by global warming disrupts the hydrologic circulatory system of the earth resulting in sea level rise and more frequent flood for reclaimed arable land. Recently, Suyu reclaimed paddy field in Jindo-gun experienced prolonged inundation after heavy rainfall and there is a growing risk of flood damage. Onsite survey and flood analysis using GATE_Pro model of Korea Rural Corporation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causes of flooding. To perform the analysis, input data such as inflow hydrograph, the lowest elevation of paddy field, neap tide level, management level of Gunnae estuary lake at the time of the flood were collected. Flood analysis confirmed that current drainage facilities are not enough to prevent 20year return period flood.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flooding more than 24hours. Therefore, flood mitigation alternatives such as sluice gate expansion, installation drainage pumping station, refill paddy land, and catch canal were studied. Replacing drainage culvert of Suyu dike to sluice gate and installing drainage pumping station at the Gunne lake were identified as an effective flood control measures. Furthermore, TM/TC (SCADA) system and expert for gate management are required for the better management of drainage for estuary dam and flood mitigation.

  • PDF

양수장 지구 광역논으로부터 영농기간 영양물질의 유출 및 물질수지 (Water and Nutrient Balance of Paddy Field Irrigated from a Pumping Station during Cropping Period)

  • 윤광식;한국헌;조재영;최창현;손재권;최진규
    • 농촌계획
    • /
    • 제8권1호
    • /
    • pp.15-25
    • /
    • 2002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ater balance and losses of nutrients from paddy fields during cropping period. The size of paddy fields was 95 ha and the fields were irrigated from a pumping station. The runoff loading was the highest in June because of the high concentrations of nutrients due to applied fertilizer, When the runoff Bosses of nutrients were compared to applied chemical fertilizer, it was found that 39.1 % to 42.5 % of nitrogen lost via runoff while runoff losses of phosphorus account for 14.5 % to 17 % of the total applied amount during cropping period. When the ratio was calculated between nutrients losses by infiltration and the applied of chemical fertilizer, two year results showed 9.1% to 10.8% for nitrogen and 0.5% for phosphoru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