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ffed and fermented red ginse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한 양파 착즙액의 유산 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of Onion Juice Supplemented with Puffed Red Ginseng Extract)

  • 박영서;장재권;최영진;정명수;박훈;심건섭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1호
    • /
    • pp.16-23
    • /
    • 2009
  •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의 첨가량을 달리하면서 Pediococcus pentosaceus KC-007을 이용하여 유산발효시킨후 발효액의 특성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 추출액을 각각 0.5, 1, 2, 4%(v/v) 첨가한 후 배양시간에 따른 유산균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팽화 홍삼추출액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산도는 팽화홍삼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모든 시료구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발효액의 pH는 발효 36시간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의 환원당은 발효 24시간까지는 환원당 함량이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액의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1%(w/v) 이상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양파착즙액에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종합적 기호도는 1%(w/v)의 팽화 홍삼 추출액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좋았으므로 양파 착즙액에 팽화 홍삼추출액을 첨가하여 발효할 경우에는 팽화 홍삼 추출액을 1%(w/v)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팽화발효홍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ffed and Fermented Red Ginseng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주헌;성기승;김성수;심건섭;한찬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30-637
    • /
    • 2012
  • 팽화발효홍삼이 당뇨쥐의 혈당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SD계 수컷 흰쥐에게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후 당뇨대조군(DC), 일반홍삼군(300 mg/kg, RG), 팽화 후 유산균 $Bifidobacterium$ $breve$$Lactobacillus$ $delbrueckii$의 혼합균주로 발효한 팽화발효홍삼군-1(300 mg/kg, BL) 및 Enterococcus faecalis로 발효한 팽화발효홍삼군-2(300 mg/kg, EF)로 나누어 각 실험시료를 5주간 경구투여한 결과, 실험기간 동안 BL군의 혈당은 DC, RG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p<0.05), 실험 5주째의 경우 DC, RG군뿐만 아니라 EF군보다도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경구당부하 검사 결과에서도 BL군이 통계적으로 가장 낮은 혈당수준을 유지하였고(p<0.05), 혈당 곡선하면적(AUC)은 DC군에 비해 BL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실험종료 후 공복혈당은 BL군이 DC, RG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p<0.05), 혈청 인슐린 농도 역시 BL군이 DC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낮게 나타났으며(p<0.05), 인슐린저항성은 DC군에 비해 BL, EF군이 유의하게 낮았고(p<0.05), 그중 BL군은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당화혈색소(HbA1c) 함량은 BL군이 DC, RG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청 총콜레스테롤(TC) 농도는 DC군에 비해 RG, BL, EF군이 통계적으로 낮았고(p<0.05),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BL군이 DC군보다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에서 $B.$ $breve$$L.$ $delbrueckii$의 혼합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팽화발효홍삼은 혈당농도를 낮추고 혈당관련 지표성분 및 혈청 지질농도 개선에도 다소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