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ations

검색결과 2,030건 처리시간 0.039초

학술회 반영 경향의 애니메이션 페스티벌과 미디어 아트 페스티벌 그리고 컴퓨터 애니메이션 학회 (Reflecting Academic Symposia as a Trend at Animation Festivals, Media Art Festivals and Conferences on Computer Animation)

  • 욜건 하글러;프란지스카 부르크너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611-631
    • /
    • 2017
  • 우선 실습이 있고 난 다음, 페스티벌과 이론이 뒤따른다. 매체필름 자체보다 오래된 애니메이션 제작과 비교해서 이 영역의 페스티벌과 이론은 늦게 시작되었다. 애니메이션 194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프랑스 칸느와 같은 영화 페스티벌에서 1960년에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에 선보였고, 몇몇 단편적 이벤트들이 루마니아, 이탈리아 그리고 도쿄에서 이어졌다. 그리고 마침내 1972년 두 번째로 오래된 페스티벌인 자그레브 아니마페스트가 있다. 애니메이션 이론은 1980년대말 '큰누나'격인 필름 학회에 이어 애니메이션학회(the Society for Animation Studies) 같은 백인-미국인 사회와 연관되어 발전했다. 학술영역에 확장이 있어왔다. 프랑스와 독어권 나라들을 위시한 유럽권 애니메이션 연구와, 폴란드 혹은 크로아티아는 최근 이론학회와 출판을 하면서 뒤를 이어오고 있다. 실습과 페스티벌 그리고 이론 사이의 선명한 시너지는 언제나 애니메이션 아트 형식과 문화에 교두보를 정립하는 주요요소였다. 그러나 지난 몇 년 동안 경향은 애니메이션과 이론 사이의 보다 압착된 관계로 나아가고 있는 듯하다.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은 이론적이고 과학적인 심포지움이나 컨퍼런스를 주최한다. 이런 컨퍼런스는 작가나 산업종사자들에게 열려있다. 강연 시작에 아니마페스트 스캐너 자체 개념의 짧은 반영은 린츠 에이알에스 일렉트로니카의 확장된 애니메이션 심포지움의 소개를 따른다. 토론은 나중에 ITFS 애니메이티드 필름 페스티벌과 슈투트가르트의 국제 애니메이션, 특수효과, VR, 게임과 트랜스 미디어의 다중 아카데미 심포지움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연구는 예술과 과학, 이론과 산업의 허물어진 경계를 아티스트와 실무자, 학자, 큐레이터와 페스티벌 참가자들에게 다른 형식으로 드러낸다.

KoFlux 역정: 배경, 현황 및 향방 (KoFlux's Progress: Background, Status and Direction)

  • 권효정;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1-263
    • /
    • 2010
  • KoFlux는 한국의 주요 육상생태계와 대기간의 에너지, 물, 이산화탄소의 순환을 감시하기 위해 구축한 에디 공분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미기상학 플럭스 타워 관측지의 국내 관측망이다. KoFlux의 사명은 AsiaFlux와 동일하게 지구상의 생명의 질과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아시아의 주요 생태계를 감시하고 돌보는 것이다. 구체적인 KoFlux의 목적은 (1) 생태계를 감시하고, 자료를 수집, 저장하고 배포를 가능하게 하는 하부구조와 (2) 이에 관련된 지식과 자료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배포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포럼과 단기 훈련과정을 과학공동체에 제공하는 것이다. KoFlux는 아시아의 주요 육상생태계의 탄소/물/에너지 교환에 관한 생태계과학 정보와 지식을 창출하고, 과학적 연구와 적용에 있어서 다학문간 협력과 융합을 촉진하고, 지속적인 생태계 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제공함으로써 AsiaFlux의 비전인 "사고하는 공동체, 배움의 프런티어"를 추구하며 실천해 나간다. 현재 KoFlux 네트워크는 총 일곱 개의 관측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국내의 경우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 논과 비균질 농경지를 포함하며, 국외의 경우 남극과 북극의 툰드라 생태계에 위치해 있다. 등재된 관측지는 모두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자료를 체계적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자유롭게 자료 활용이 가능하도록 품질 검증된 플럭스 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구축해 가고 있다. KoFlux는 정기적인 학술 논문 출판, 포럼 및 훈련과정을 통해, 네트워크를 성장시키고, 플럭스 관측 및 모델링 전문가간의 연결 및 정보교환을 위한 아고라를 제공하며, 관측 및 자료 분석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KoFlux에 등재된 산학연기관을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네트워크의 성장이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학문간의 벽을 허물고, 네트워크에 대한 동반자 및 주인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KoFlux는 2011년부터 서울대학교에 설립된 국가농림기상센터를 중심으로 NCAM의 주요 서비스를 담당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일치된 협력은 현재의 감시 네트워크를 더욱 보강시키고, 차세대 과학자들을 길러내며, 우리 사회에 지속가능한 생태계 서비스의 제공을 보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것이다.

${\ll}$상한론(傷寒論)${\gg}$ 태양병(太陽病) 제강(提綱)의 침구학적(鍼灸學的) 분경(分經) 및 정증(定證)의 운용(運用) 방법론(方法論)에 관한(關) 연구(硏究) (The Study on Acupuncture Operation Method of ${\ll}$Sang Han Lun(傷寒論)${\gg}$Liu-Jing-Bian-Zheng(大經辯證) -Based on the Study of Tai-Yang-Bing(太陽病)-)

  • 백성욱;손성철;이준범;황민섭;윤종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9-27
    • /
    • 2005
  • ${\ll}$상한론(傷寒論)${\gg}$ 태양병(太陽病) 제강(提綱)의 침구학적(鍼灸學的) 분경(分經) 및 분증(分證)의 운용(運用) 방법(方法)을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ll}$상한론(傷寒論)${\gg}$의 육경변증(六經辨證)은 ${\ll}$소문(素問) 열론(熱論)${\gg}$의 육경분증(六經分證)을 기본(基本)으로 하여 계승(繼承)하여 발전(發展) 되었다. 2. 태양병(太陽病) 제강(提綱)은 풍한(風寒), 온열(溫熱), 역병(疫病) 및 잡병(雜病)으로 인해(因) 태양경(太陽經)으로 이환(罹患)되는 증상(症狀)의 분경(分經) 정증(定證)의 강영(綱領)이 된다. 3. ${\ll}$상한론(傷寒論)${\gg}$ 주석가(注釋家)들은 태양병(太陽病)의 제강(提綱)을 인체(人體)의 피부(皮膚)를 주관(主管)하는 족태양승광경(足太陽勝胱經)의 영,(榮) 위기(衛氣)의 생리(生理) 병리적(病理的) 방면(方面)으로 해석(解釋)하였다. 4. 태양병(太陽病)의 진구(鎭灸) 치료(治療)의 혈위(穴位)는 수 (手) 족태양경(足太陽經)과 독맥(督脈)의 요혈(要穴)을 중심(中心)으로 '관기맥증(觀其脈證) 지범하역(知犯何逆) 수증취혈(隨證取穴)' 하는 변증논치(辨證論治)의 관점(觀點)으로 용침(用鍼)한다.

  • PDF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f Publications i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Using Network Text Analysis)

  • 이윤정;김은정;김지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8
    • /
    • 2019
  • 이 연구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이용하여 가정과교육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2003년 7월부터 2018년 12월 사이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586편의 논문의 주제를 소셜 네트워크 분석프로그램인 Netminer 4의 텍스트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주제어들의 출현빈도와 중심성 분석(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시기별 LDA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들은 부모, 문화, 단원, 건강, 진로, 소비, 실천성 등이었다.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연결중심성은 부모, 관리가 가장 높았고, 근접중심성은 부모, 남학생, 매개중심성은 남학생, 단원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03년부터 2018년까지의 연구를 4개 시기로 나누어 중심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시기 모두 교육, 가정, 목적, 수업, 중학교, 학교 등 출현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은 유사하였으나, 시기별로는 제3, 제4시기에는 '목적'이라는 단어가, 제4시기에는 '과정' 이라는 단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셋째, 시기별 중심성 분석 결과 중심성의 종류와 무관하게 각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어들은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LDA 분석을 통한 토픽 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교육과정, 교과서, 가족건강성, 교수학습, 평가, 식생활, 외모관리, 소비 등은 모든 시기에 지속적으로 등장하였다. 4개 시기의 토픽은 점차 다양화되고, 세분화되며, 심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의 변화와 국가정책이 반영되어 새롭게 등장한 토픽인 교사연수와 안전이 주제어로 도출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연구의 관심이 낮았던 토픽은 주거임이 드러나 학자들의 관심과 연구 활성화가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한국가정과교육학계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의 주요 관심사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과 관심사들의 순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동의사상신편(東醫四象新編)" 에 대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ulcorner}Dongyi{\;}Sasang{\;}Shinpyun{\lrcorner}$)

  • 박성식;윤보현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8-48
    • /
    • 2001
  • 1.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ulcorner}$Dongri Sasang Shinpyun${\lrcorner}$ was published in 1929, it had great effects on the publications related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owever there had been no practical research or its applications about ${\ulcorner}$Dongyi Sasang Shinpyun${\lrcorner}$ at all in spite of its importance. So through the study on the ${\ulcorner}$Dongyi Sasang Shinpyun${\lrcorner}$ we highly intend to utilize the book. 2. Methods In this dissertation, you'll find our research of ${\ulcorner}$Dongyi Sasang Shinpyun${\lrcorner}$ regarding the author, the people who were involved in the publishing, the formations and the contents, our another research of ${\ulcorner}$Dongyi Sasang Shinpyun Chebang${\lrcorner}$(東醫四象新編劑方) to make its med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clear. 3. Results and Conclusion 1) Won Chi Sang was Chang Bong Young's granduncle's son-in-law. Nam Dae-hee is suspected of Nam Tae-hee who lived in YeoJu Bam Gol at that time though, it's not certain. 2) ${\ulcorner}$Dongyi Sasang Shinpyun${\lrcorner}$ is consisted of two pans. ${\ulcorner}$The Internal part${\lrcorner}$ is the basic explanation and ${\ulcorner}$The External part${\lrcorner}$, is the prescriptions depending on the symptoms. ${\ulcorner}$Sasang Byunron${\lrcorner}$,(四象辯論) is mostly that's for the explanations about analysis of Sasang Constitution. ${\ulcorner}$Sasang Kyunghum${\lrcorner}$(四象經驗) is mainly it's for the prescriptions depends on Sasangin's symptoms. ${\ulcorner}$Sasang Kukyul${\lrcorner}$(四象口訣), ${\ulcorner}$Tong Sasang Changbu Sochaedo${\lrcorner}$(通四象臟腑所在圖), ${\ulcorner}$Tong Sasang Chunche Sosokdo${\lrcorner}$(通四象全體所屬圖) are about the analysis of Sasangin's characteristics from metaphysical concepts to Changbustic concepts. In ${\ulcorner}$Sasangin oyak${\lrcorner}$(四象人要藥), among them, 10 types of medicines were categorized separately by constitutional difference in ${\ulcorner}$Dongui Sasang Shinpyun${\lrcorner}$ and ${\ulcorner}$Dongmu Youg${\lrcorner}$(東武遺槁). The unique style of ${\ulcorner}$Dongyi Sasang Yongyak Huebun${\lrcorner}$(東醫四象用藥索分) is originated from ${\ulcorner}$Bangyak Happyun${\lrcorner}$ ${\ulcorner}$Euibang Whaltu${\lrcorner}$(${\ulcorner}$方藥合編${\lrcorner}$${\ulcorner}$醫方活套${\lrcorner}$), ${\ulcorner}$Whaltu Chimsun${\lrcorner}$,(${\ulcorner}$方藥合編${\lrcorner}$ ${\ulcorner}$活套鎭線${\lrcorner}$). 3) There are 293 prescriptions in ${\ulcorner}$Dongyi Sasang Shinpyun Chebang${\lrcorner}$. 36 out of 44 prescriptions in ${\ulcorner}$Gapont${\lrcorner}$(甲午本) are quoted in ${\ulcorner}$kyunghumbang${\lrcorner}$. Therefore it could be very possible that those unknown prescriptions in ${\ulcorner}$Kyunghumbang${\lrcorner}$ can be from lee Je Ma. 4) We are assumed that ${\ulcorner}$Dongyi Sasang Shinpyun${\lrcorner}$ was made by some other doctors not from one single person, based on Lee Je Ma's prescriptions, after Lee Je Ma died. ${\ulcorner}$Dongyi Sasang Shinpyun${\lrcorner}$ is very different from ${\ulcorner}$Dongeyi Suse Bowon${\lrcorner}$, ${\ulcorner}$Dongmu Yougo${\lrcorner}$(東武遺稿). ${\ulcorner}$Chobonkwun${\lrcorner}$(草本卷) by lee Je Ma since it was published for utilizing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 not for the basic principles of Sasang Constitution by Lee Je Ma. Therefore it could be highly possible to look over the spirit of Sasang Constitution by lee Je-ma.

  • PDF

A MEASUREMENT OF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B-MODE POLARIZATION WITH POLARBEAR

  • ADE, P.A.R.;AKIBA, Y.;ANTHONY, A.E.;ARNOLD, K.;ATLAS, M.;BARRON, D.;BOETTGER, D.;BORRILL, J.;CHAPMAN, S.;CHINONE, Y.;DOBBS, M.;ELLEFLOT, T.;ERRARD, J.;FABBIAN, G.;FENG, C.;FLANIGAN, D.;GILBERT, A.;GRAINGER, W.;HALVERSON, N.W.;HASEGAWA, M.;HATTORI, K.;HAZUMI, M.;HOLZAPFEL, W.L.;HORI, Y.;HOWARD, J.;HYLAND, P.;INOUE, Y.;JAEHNIG, G.C.;JAFFE, A.H.;KEATING, B.;KERMISH, Z.;KESKITALO, R.;KISNER, T.;JEUNE, M. LE;LEE, A.T.;LEITCH, E.M.;LINDER, E.;LUNGU, M.;MATSUDA, F.;MATSUMURA, T.;MENG, X.;MILLER, N.J.;MORII, H.;MOYERMAN, S.;MYERS, M.J.;NAVAROLI, M.;NISHINO, H.;ORLANDO, A.;PAAR, H.;PELOTON, J.;POLETTI, D.;QUEALY, E.;REBEIZ, G.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625-628
    • /
    • 2015
  • POLARBEAR is a ground-based experiment located in the Atacama desert of northern Chile. The experiment is designed to measure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B-mode polarization at several arcminute resolution. The CMB B-mode polarization on degree angular scales is a unique signature of primordial gravitational waves from cosmic inflation and B-mode signal on sub-degree scales is induced by the gravitational lensing from large-scale structure. Science observations began in early 2012 with an array of 1.274 polarization sensitive antenna-couple Transition Edge Sensor (TES) bolometers at 150 GHz. We published the first CMB-only measurement of the B-mode polarization on sub-degree scales induced by gravitational lensing in December 2013 followed by the first measurement of the B-mode power spectrum on those scales in March 2014. In this proceedings, we review the physics of CMB B-modes and then describe the Polarbear experiment, observations, and recent results.

산업체 부설연구소의 정보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Gathering Func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Laboratories Established within Industrial Firms)

  • 조인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6권
    • /
    • pp.281-327
    • /
    • 1989
  • This dissertation is presented in two major parts. The first part presented in Chapter 3 attempts to verify the major hypothesis of the present study tha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laboratories(hereafter referred to R&D laboratories), establishd withine industrial firms to develop new technologies needed for their own industrial activities, may have another but very important functions to bring information on the externally generated technologies to attention of their respective management decision makers, eventually resulting in the transfer of technology; and such information functions of the R&D laboratories may be better performed by well-organised laboratories than by poorly-organised ones. The second part presented in Chapters 4, 5, 6 and 7 discusses, after the preceding hypotheses has been verified, some desirable situations of the R&D laboratories in facilitating the flow of information on new technologies developed in the world into their industrial firms, centering on the organisational positions and the major fields of interest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R&D centers, services of the library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office supporting the R&D laboratories, and frequencies of direct contac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workers with experts in the world and of participation in various conferences, seminars, workshops, exhibitions, etc. Now that there is no recognised instrument and method available for direct measurement of volume of technological information transfered into a particular industrial firm, the number of technologies introduced into a given firm is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as an analogous parametre indicating volume of technological information transfered into the firm during a particular period of time. A logical attempt to justify the use of the indirect paramentre is made in Chapter two. vidences needed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present study are collected through the various publications of the Korea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s and other agen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industrial research activities, and through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posted to a sample of the 66 R&D laboratories on 6 May 1987 and returned by 30 August of the same year. Some findings and conclusions made in the study are summarised as follows: (1) More information on externally developed technologies flows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a R&D laboratory of its own than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out one, and naturally, more chances of transfer of technologies are given to the former than to the latter (see 3. 2) (2) After establishing an R&D laboratory, more technological information flows into the industrial firm than before establishing one (see 3. 3) (3) More technological information flows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a well-organised R&D laboraory than into the firm with a poorly-organised one (see 3. 4) (4) More technological information flows into the ndustrial firm where the director of its R&D laboratory has status qualified to participate in the highest managerial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the firm than into the industrial firm where the director does not have such status (see 4. 2) (5) More technological information flows into the industrial firm where the director of R&D laboratory does not hold other positions within the firm than into the industrial firm where the director holds other positions (see 4.3) (6) There is evidence showing that quantities of technological information transfered into industriali firms vary with the case that the major background of the director of the R&D laboratory is the same as the main field of R&D activities of his or her laboratery, the case that the director's background is partly related to the field of R&D activities of the laboratory, and the case that the director's major background is different from the field of R&D activities of the laboratory (see 4.4) (7) More technological information flows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the director of its R&D laboratory appointed from among profess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workers than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the director of its R&D laboratory appointed from among general managers (see 4.5) (8) More technological information flows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its R&D laboratory which has established a library service unit within its own jurisdiction than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its R&D laboratory which has established a library service unit within its own jurisdiction than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its R&D laboratory which uses a library within the firm but outside the laboratory (see 5. 1) (9) More echnological information flows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a technological information office of its own than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out such an office (see 5. 2) (10) More technological information flows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a large research and development staff in its R&D laboratory than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a small staff in its R&D laboratory (see 5. 2) (11) More technological information flows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its R&D laboratory whose staff members more frequently contact experts in the conferences, seminars, symposiums, and workshops held in foreign countries and novelties in the world's major exhibitions than into the industrial firm with its R&D laboratory whose staff members less frequently contact such experts and novelties (see 6. 2 ; 6. 3)

  • PDF

조선 전기 자동물시계의 주전(籌箭) 연구 (A STUDY ON THE JUJEON OF AUTOMATIC CLEPSYDRA IN EARLY JOSEON DYNASTY)

  • 윤용현;김상혁;민병희;오경택
    • 천문학논총
    • /
    • 제36권3호
    • /
    • pp.65-78
    • /
    • 2021
  • Jagyeokru, an automatic striking water clock described in the Sejong Sillok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is essentially composed of a water quantity control device and a time-signal device, with the former controlling the amount or the flow rate of water and the latter automatically informing the time based on the former. What connects these two parts is a signal generating device or a power transmission device called the 'Jujeon' system, which includes a copper rod on the float and ball-racked scheduled plates. The copper products excavated under Gongpyeong-dong in Seoul include a lot of broken plate pieces and cylinder-like devices. If some plate pieces are put together, a large square plate with circular holes located in a zigzag can be completed, and at the upper right of it is carved 'the first scheduled plate (一箭).' Cylinder-like devices generally 3.8 cm in diameter are able to release a ball, and have a ginkgo leaf-like screen fixed on the inner axis and a bird-shaped hook of which the leg fixes another axis and the beak attaches to the leaf side. The lateral view of this cylinder-like device appears like a trapezoid and mounts an iron ball. The function of releasing a ball agrees with the description of Borugak Pavilion, where Jagyeokru was installed, written by Kim Don (1385 ~ 1440). The other accounts of Borugak Pavilion's and Heumgyeonggak Pavilion's water clocks describe these copper plates and ball releasing devices as the 'Jujeon' system.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Borugak Pavilion, a square wooden column has copper plat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same height as the column, and the left copper plate has 12 drilled holes to keep the time of a 12 double-hours. Meanwhile, the right plate has 25 holes which represent seasonal night 5-hours (Kyeong) and their 5-subhours (Jeom), not 12 hours. There are 11 scheduled plates for seasonal night 5-hours made with copper, which are made to be attached or detached as the season. In accordance with Nujutongui (manual for the operation of the yardstick for the clepsydra), the first scheduled plate for the night is used from the winter solstice (冬至) to 2 days after Daehan (大寒), and from 4 days before Soseol (小雪) to a day before the winter solstice. Besides the first scheduled plate, we confirm discovering a third scheduled plate and a sixth scheduled plate among the excavated copper materials based on the spacing between holes. On the other hand, the width of the scheduled plate is different for these artifacts, measured as 144 mm compared to the description of the Borugak Pavilion, which is recorded as 51 mm. From this perspective, they may be the scheduled plates for the Heumgyeonggak Ongru made in 1438 (or 1554) or for the new Fortress Pavilion installed in Changdeokgung palace completed in 1536 (the 31st year of the reign of King Jungj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the scheduled plate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including their new operating mechanism. In addition, a detailed model of 11 scheduled plates is designed from the records and on the excavated relic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aid in efforts to restore and reconstruct the automatic water clock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가시광에서 밝은 1형 활동은하핵의 근적외선 변광 (NEAR-INFRARED VARIABILITY OF OPTICALLY BRIGHT TYPE 1 AGN)

  • 전우열;심현진;김민진
    • 천문학논총
    • /
    • 제36권3호
    • /
    • pp.47-63
    • /
    • 2021
  • 와이즈/네오와이즈 자료를 사용하여 1형 활동은하핵의 근적외선 장기 변광 특성을 살펴보았다. 활동은하핵은 밀리퀘이사 목록을 사용해 가시광에서의 등급 제한을 두어 선정하였고, 여러 번의 다중시점 측광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황도북극과 황도남극에 가까운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이후 와이즈와 네오와이즈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대상들의 측광 자료를 추출하였다. 일부 근적외선에서 검출되지 않은 경우와 관측 횟수가 지나치게 적은 경우를 제외하고 총 73개의 1형 퀘이사 및 활동은 하핵, 140개의 측광학적으로 선택된 활동은하핵 후보에 대해 W1 (3.4 ㎛), W2 (4.6 ㎛) 밴드 광도곡선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해 변광 분석을 수행하였다. 변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분산 값과 변광의 유의확률 Pvar를 계산하였다. 초과 분산이 포아송 오차에 의해 추정되는 오차값보다 큰 경우, 그리고 Pvar이 0.95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를 변광으로 판단했는데, 활동은하핵 73개 중 19개, 활동은하핵 후보 140개 중 12개가 W1, W2 밴드 모두에서 변광 대상으로 판단되었다. W1 밴드보다 W2 밴드에서 변광 대상으로 판단되는 숫자가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긴 파장으로 갈수록 변광의 정도가 작아짐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약 9 ~ 26%의 대상들이 근적외선 변광을 보였다. 감쇠 랜덤워크 모형을 사용하여 변광 폭(σ)과 완화 시간(τ), W1과 W2 밴드 사이의 시간 지연 등을 추정하였다. 변광 폭 및 완화시간은 W1 등급과 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두 변수 사이에도 특별히 두드러지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 감쇠 랜덤워크 모형을 사용해서 시간 규모를 추정할 때 광도곡선의 분량이 충분한지를 감안하면, 완화시간이 짧은 대상들에 대해서는 변광 폭과 완화시간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고도 볼 수 있다. 대상의 개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하기에는 부족하다. X선 광도와 변광 특성을 비교했을 때에는 상관관계를 찾아보기 어려웠으나, 앞으로 얻어질 X선 탐사자료와 전천 스펙트럼 탐사자료와 결합한 추가 연구가 기대된다. 전체 대상 중에서는 시간에 따라 (W1-W2) 색이 변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흥미로운 대상이 4개가 존재했는데, 이들의 특성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반도 수자원분야 기후변화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earches Related to Water Resources in the Korean Peninsula)

  • 이재경;김영오;강노을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88
    • /
    • 2012
  • 지구온난화는 전 세계적으로 21세기 최대 관심사이며, IPCC 보고서에 의하면 지구의 평균온도와 범위가 점점 증가하며, 이에 따른 불확실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은 인간 삶의 기반과 관련된 여러 부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자원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평가는 다른 분야의 기초 자료로도 사용될 만큼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우리나라에서 수행되었던 수자원과 관련한 기후변화 연구에 대하여 총 논문 124편과 보고서 57편을 살펴보았다. 국내 기후변화 연구(보고서 및 연구논문 포함)는 현재 전망이나 영향평가에 매우 편향되어 진행되어 왔다. 수문기상인자의 경향성과 전망 분야에서는 수문변수로 지표수, 홍수 등이, 기상변수로 강수, 온도 등에 집중되어 분석되었다. 이는 우리나라가 계절적 강우 발생의 편차가 크고 수자원 관리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강수, 온도, 지표수, 홍수 등 수자원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변수에 초점이 맞추어져 수행이 되어 왔다. 우리나라 미래 수자원 전망에서는 지역적으로 다르겠지만, 과거 강수, 온도, 지표수 등이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홍수나 가뭄에서 인명 피해는 줄어드는 반면, 재산 피해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미래 전망에서 강우 강도, 온도, 유출량 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아직 이를 이용한 수자원 취약성이나 미래 수자원 유역 관리까지는 수행되지 못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기후변화 연구 결과들이 상이하여 기후변화 연구 단계별로 많은 불확실성이 발생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전략의 경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대국민 인식 및 사회적 기반이 취약하며, 개인 및 기업의 자발적인 대응이 부족하였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대국민 홍보와 기업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등의 감축에 상응하는 인센티브 제공 등의 법적 또는 제도적인 장치가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 경제성 분석에 대한 연구 사례는 전무하며, 진행 중에 있는 극소수 의 연구 사례가 있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부족에 대한 대비 또는 적응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정형화된 경제성 분석이 마련되어야 함을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