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science program

검색결과 1,173건 처리시간 0.027초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s and the Children's Program Operation in Public Libraries)

  • 윤혜진;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7-19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어린이서비스 중 프로그램 운영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문헌조사를 기초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은 6가지 영역으로 구성하고 프로그램 운영은 기획과 진행으로 나누어,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담당 사서 262명(응답률 58%)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어린이 프로그램 기획은 어린이 사서 전문성의 모든 영역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프로그램 진행은 전문성 계발을 포함한 3가지 영역에 속한 역량과 관련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강화 및 어린이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강좌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Korean Public Libraries)

  • 이애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73-294
    • /
    • 2010
  • 이 연구는 16개 광역시 도 지역대표도서관의 평생교육 강좌의 유형, 내용, 수준 현황과 울산광역시 소재 4개 공공도서관의 학습목적, 강좌내용, 수업방법의 구체적 실태와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강좌의 개선방안을 차별성과 체계성 확립 그리고 강좌 평가를 위한 모형 개발을 제시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 황금숙;김수경;박미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19-244
    • /
    • 2008
  • 이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내 외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설문조사, 사례분석을 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타당성 검토와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 전문가회의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섯 가지를 제안하였다. (1)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정체성 확립과 국가수준의 독서문화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2) 특수 공공도서관 및 타 문화 및 교육시설과의 연계 및 협력 프로그램 개발, (3) 지역별 특화 프로그램의 개발, (4) 소외계층 대상별 전문화된 프로그램 개발, (5) 사서의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 PDF

도시폐기물의 퇴비화에 대한 교육 및 홍보전략 (Development of Strategy in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for Municipal Solid Waste Composting)

  • 정재춘;이무춘;강헌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1호
    • /
    • pp.43-59
    • /
    • 1995
  • 도시폐기물의 퇴비화는 20% 이상의 높은 재활용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부분이다. 그런데 도시폐기물의 퇴비화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주민들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와 교육이 실시되어 이들의 협조를 얻어야 한다. 이러한 주민의 협조를 얻기 위해서 구미 선진국에서는 조직적인 주민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독일의 퇴비화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한 후 우리나라 도시폐기물의 퇴비화를 증진시키기 위한 퇴비화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영국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청소년 독서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Stories from the Web 분석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Public Libraries in the UK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Stories from the Web')

  • 김영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22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어린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Stories from the Web(SFW)'을 조사 분석하였다. 영국의 공공도서관은 정보화시대에 인터넷에 익숙한 어린이 청소년을 위해 웹방식의 새로운 독서 프로그램인 SFW를 개발하여, 유아(0세)부터 14세 청소년들에게 활용시키고 있다. SFW프로그램은 어린이 청소년들이 인터넷상에서 직접 독서를 할 수 있게 만들지 않고, 이들의 독서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공공도서관을 방문하여 독서를 하게끔 유도하고 있다.

전북지역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분석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Jeonbuk Provincial Area)

  • 최흥식;서진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7-24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고유의 정체성에 부합하고 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자료를 기반으로 한 교육문화프로그램을 모색해 보자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의 이론적 내용을 살펴보고, 전라북도 지자체하에서 운영하는 공공도서관과 평생학습운영기관의 교육문화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여 공공도서관 본래의 특성을 살린 교육문화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주시립도서관산하의 5개관을 비롯한 각 시단위의 공공도서관 10개관과 각 시의 지자체 직영의 평생학습센터, 문화의집, 주민자치센터, 여성회관, 여성문화회관, 여성문화센터 등의 명칭으로 운영하는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였다.

  • PDF

지역사회개발 측면에서 노안을 위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개발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Program Development for the Old Age in Community Development)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3-71
    • /
    • 2001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개발을 위하여 노인들의 위상이 제고되는 가운데 사회에 참여의 폭을 넓히기 위하여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개발적 측면에서 연구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안양시와 의왕시 그리고 군포시의 노인들을 상대로 하여 연구하였으며 대체로 연령의 분포는 60세로부터 81세까지 노인으로 한정하였다. 미국과 같은 나라는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노인의 사회참여가 1955년부터 시작되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노인들의 사회봉사의 무경험 등 사회개발을 위한 참여가 미비한 시점에 놓여있으며 이를 점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된다. 특히 노인들의 사회 정화를 위해 청소년 지도나 나아가서 지역의 가이드를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개발의 정책은 변화를 가져와야 하는데 가능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지역사회에서 노인들이 원하는 개발정책에 관한 프로그램 (2) 노인들을 위한 공공도서관에서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3)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사회 개발차원에서 노인이 참여하는 프로그램 (4) 정보 탐색의 능력 증진 등의 기본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노인들의 자원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 PDF

Effect of School-Based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in a Socially Deprived Community

  • Lee, Won-Chul;Ha, Jung-Eun;Yeo, Bo-Mi;Jin, Bo-Hyoung;Paik, Dai-Il;Bae, Kwang-Hak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7권2호
    • /
    • pp.87-93
    • /
    • 2014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aries prevention effect of school-based fluoride mouth rinsing (FMR) program implemented in the Hanuul district of Mongolia, which has a very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extremely poor infrastructure for oral health.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seventy children aged from 6 to 8 years of the FMR school and 187 children aged from 6 to 8 years of the control school completed the baseline survey. Children from the FMR school rinsed with 0.05% sodium fluoride everyday under supervision, while those from the control school did not. Adjusted caries preventive fraction (CPF) for 2 year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FMR program. Result: After 2 years, 288 schoolchildren remained in the study. Decayed, missing or filled permanent teeth (DMFT) and index of the FMR and the control schools at baseline were 0.11 and 0.12,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DMFT increment of the FMR and the control schools after 2 years were 0.35 and 0.65, respectively. The adjusted CPF of DMFT was 48.5%.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a school-based FMR is an effective caries preventive program in a socially deprived community with poor infrastructure for oral health.

"그린 하모니" - 대학생의 전인건강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Green Harmony" -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Holistic Health of College Students)

  • 최민희;이인숙;조태동;서정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437-1444
    • /
    • 2010
  •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herapeutic factors and the most meaningful experiences of the clients. For this purpose "Green harmony" program focused on harmony through horticulture was implemented. It is based on the preposition that holistic health is promoted with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oneself, other people, community and nature. The program has three-fold structure: In innermost it deals with the task of the late adolescent, i.e., self identity, secondly the experience of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in the group, and finally extension of interest to the community. Fo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questions using the metaphor of the activity were given to the cli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while group activity and the donation of the works let the second and third purpose accomplished. Outdoor activity, 'Tire garden project', has provided the clients with chances of the contact with nature, cooperation with other group members, and a contest to provoke enthusiasm. Also recycling and greening of the community were possible by utilizing old tires for the containers and by donating the final works to the community. For the evaluation of the result,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stress of the college students was tested, and the most meaningful experiences during the participation to the program were asked to identify the therapeutic factors acknowledged by clients. "Green harmony" program has brought positive effects on the stress of the clients in spite of relatively short period of five weeks. The clients has acknowledged plant/nature contact and interactions between group members for the most meaningful experiences. This research suggests "Green harmony"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herapeutic factors is highly applicable for the general populations.

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의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과제: 분포와 연구비용 비중 분석 (An Analysis of Heath-Related Research and Development Registered at the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s)

  • 고영곤;정태영;정혜주;차선화;유사라;조민진;차수진;문다슬;서지영;조규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1-79
    • /
    • 2015
  • With the growth of aging population in Korea, a better care of chronic and other degenerative illnesses is urgently needed. Evidences suggest that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incorporating a wide range of care options, expanding beyond medical interven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publically funded research to understand if the Korean research and development funding system matches various approaches and purposes to successfully tackle the chronic care needs of an aging society. We complied the list of funded projects to be analyzed by searching the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database with key words such as aging society/senescence, chronic diseases, disability, and health promotion. Most projects were based on the biomedical approach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etiology and clinical (treatment) interventions. Health promotion projects showed a distinctive distribution with more percentage of projects based on psycho-behavioral approaches while research on chronic diseases predominantly biomedical. It would be necessary to diversify publically-funded research projects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care technologies for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