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perception

검색결과 1,510건 처리시간 0.027초

2009-2022 Thailand public perception analysis of nuclear energy on social media using deep transfer learning technique

  • Wasin Vechgama;Watcha Sasawattakul;Kampanart Silva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6호
    • /
    • pp.2026-2033
    • /
    • 2023
  • Due to Thailand's nuclear energy public acceptance problem, the understanding of nuclear energy public perception was the key factor affecting to re-consideration of the nuclear energy program. Thailand Institute of Nuclear Technology and its alliances together developed the classification model for the nuclear energy public perception from the big data comments on social media using Facebook using deep transfer learning. The objective was to insight into the Thailand nuclear energy public perception on Facebook social media platform using sentiment analysis. The supervised learning was used to generate up-to-date classification model with more than 80% accuracy to classify the public perception on nuclear power plant news on Facebook from 2009 to 2022. The majority of neutral sentiments (80%) represented the opportunity for Thailand to convince people to receive a better nuclear perception. Negative sentiments (14%) showed support for other alternative energies due to nuclear accident concerns while positive sentiments (6%) expressed support for innovative nuclear technologies.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대중과 전문가의 위해도 인식 관련 요인 (Related Factors of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among General Public and Experts)

  • 박종연;장은아;신동천;임영욱;최우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6권2호
    • /
    • pp.85-95
    • /
    • 200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of risk perception on major environmental issues among general public and environmental experts in Kore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samples from general public and environmental experts during March and April, 2000. Total numbers of respondents were 773, general public and 353 experts.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risk perception was correlated with health concern, environmental satisfaction,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terest on the environmental issues, knowledge, experiences, and social-cultural consciousness, and so on. Overall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was affected by knowledge on environmental issues, experience of damage from environmental problems, sex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 is not independent from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it may be desirable to consider the related factors in the process of risk communication for a more effective risk management or environmental policy.

  • PDF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for the Executive Agent of Environmental Affairs and National Policy Tasks

  • Ki, Junghoon;Park, Soonae;Lee, Youngsung;Lee, Youngmi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1-253
    • /
    • 2019
  • This study presents the standards for desirable local transfer of public affairs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experts in the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es, as well as public officials in the environmental sector in charge of environmental affairs. The results of this study tend to be partial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respondents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of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Among the policy task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respondents in perception of responsible agent for carrying out sustainable land planning and management. Regarding general environmental affai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ubic officials in different affiliations in perception of responsible executive agent for natural environment, living environment, and resource circulation.

Modeling of Public Risk Perception and Risk Communication Research: In A Social-Cognitive Direction

  • Li, Yiwei;Guo, Yu;Ito, Naoya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권3호
    • /
    • pp.217-231
    • /
    • 2014
  • This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commonly discussed dimensions of public risk perception that may influence public opinion toward risks. Factors that have been revealed by the literature to have substantial impact on risk perception, such as demographic background, trust, and media environment, are also discussed. Meanwhile, we evaluate two well-known research models in the realm of risk analysis: 1) the psychometric paradigm, and 2)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framework (SARF).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suggests that, besides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pproach, models of risk perception and risk communication research should shift to a more comprehensive one by considering the interrelations between laypeople and the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theory (SCT) as a potential framework for future studies: 1) in the societal environment, individuals' risk perception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which is determined by risk perception will be influenced by trust in regulators and interpersonal trust; 2) in the media environment, individuals' risk perception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will be influenced by individuals' perceived information characteristics. Knowledge about risk accumulated through information seeking will change risk perception in a longitudinal process.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인식하는 사서 전문성의 매개효과 연구: 도서관 활동 경험이 도서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The Mediation Effect of the Users' Perception of Librarians' Specialty: On the Influence of Public Library Activity on Public Library Perception)

  • 김초해;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83-11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성이 이용자의 도서관 경험과 그로 인한 도서관 인식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서울 및 경기지역의 공공도서관 6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 및 교육 활동은 사서 전문성 인식을 매개로 도서관 가치 및 만족도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정보 활동은 유일하게 사서 전문성을 매개하지 않고 직접 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도서관의 가치를 형성하는 영역과 사서의 전문성을 인식하는 영역이 일치하지 않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사서직 내부적 특성으로 여겨진 사서의 전문성을 외부에서 바라봄으로써, 이용자의 서비스 경험과 사서 전문성, 도서관 성과를 통합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Using Social Media)

  • 서현정;윤정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29-45
    • /
    • 2022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일반대중들의 인식변화를 분석한다. 기후변화는 지난 반 세기 동안 주요한 사회적 문제로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왔다. 코로나19 이후에도 펜데믹 출현 가능성과 함께 기후변화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업으로 재조명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에 나타나는 기후변화 인식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주요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2019년 3월 1일부터 2022년 2월 28일까지 총 3개년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를 가공하여 기후변화 연관어, 기후변화에 대한 감성어 등과 기후변화 대응 주체별 움직임을 포착하였다. 분석결과, 기후변화가 기후위기로 인식되는 상황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지배적이었으나, 긍정적인 인식도 일정부분 상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책이 긍정적인 인식을 이끌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적 인식변화를 포착하고, 주요주체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의 변화를 포착함으로써,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업의 전략과 정부의 정책을 수립하는 데 국민적 인식을 검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과 민간 사회복지종사자 전문성 인식차이와 직무몰입·직무성과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Public and Private Social Work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Job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 이용재;김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05-515
    • /
    • 2022
  • 본 연구는 공공과 민간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특성과 그 차이를 확인하고 전문성인식이 직무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과 민간사회복지종사자들의 전문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민간이 3.26으로 공공 3.15에 비해 높아서 민간 영역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전문성 인식이 공공기관에 비해서 높았다. 둘째, 공공과 민간 사회복지종사자 모두 전문성 인식이 직무몰입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민간과 공공 모두 직무몰입과 성과가 증가하는 것이다. 셋째, 민간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이 공공기관 종사자에 비해 직무몰입과 직무성과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성 인식이 민간과 공공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직무몰입과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전문성 인식이 높은 민간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직무몰입과 성과가 더 높은 것이다.

신재생에너지와 기후변화에 대한 장기간 인식조사가 갖는 함의 (The Significance of Long-term Perception on Renewable Energy and Climate Change)

  • 안중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117-123
    • /
    • 2018
  • The long-term perception investigation of environment is needed for the persistence of each country's policy on climate change, which is great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Long term data on perception and attitudes of people's thought can be a big data point for climate change and consistent policies can be implemented with the need for public demand. Information on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environment should be carried out as a basis for the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군 간부와 지역사회 주민 간 조직-공중 관계성과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erception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officials and the Locals, and the Perception on the Support Military Family Welfare)

  • 정미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65-97
    • /
    • 2014
  • 본 연구는 군 간부와 지역사회 주민 간 조직-공중 관계성과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은 군 간부 217명, 지역주민 191명이며, 2014년 2월 10일부터 2월 28일까지 약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에 대한 군 조직-공중 관계성은 군 간부의 인식(M=5.39)이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M=4.99)보다 더 긍정적이지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6.93, p<.001). 또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상호인식의 일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가족복지에 대한 지역사회지원 인식에 있어서 군 간부의 인식(M=5.38)이 지역사회 주민의 인식(M=4.76)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t=6.93, p<.00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공중 관계성의 변화가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회귀계수 ${\beta}=.82$(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역사회 주민의 군 조직-공중 관계성 인식은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에 유의미한 예측력이 있으며, 지역사회 주민의 조직-공중 관계성 인식이 높을수록 군 가족복지지원 욕구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공공도서관장의 전문직의식과 그 영향요인 (A study on the professional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directors and its influential factors)

  • 김포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1-3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fessional perception of the public library directors in Korea, and to measure and to compare the perceptional difference between Directors that have or have not of Librarian's license. The authors obtained data through questionaires by mail to 188 directors of public Libraries. The number of respondents which become available for analysis was 188 and the response rate was 58.8%.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ofessional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Directors differs from the qualification for a librarian. 2. The Librarian's license made difference with regards to perceptional attitudes, consciousness of services, satisfying on job situation of Directors. 3. The professional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Directors may have influence on each others of a school career, task work, colleague understandings on the gob situations. 4. but the difference have no significance statiscally. 5. Thus we need to study other types of organization and influencial variables for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