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pension system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공사연금제도 협력을 위한 정보인프라 구축 방향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the Cooperation of Public and Private Pension Schemes in Korea)

  • 김원섭;이용하
    • 분석과 대안
    • /
    • 제2권2호
    • /
    • pp.67-91
    • /
    • 2018
  • 본 연구는 공·사연금 제도의 협력 활성화의 필요성, 이를 위한 국내외 제도의 사례를 살펴보고, 한국에 적합한 공사연금 협력의 정보인프라 구축방안을 제시하려 하였다. 선진국은 최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다층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연금교육과 정보서비스는 공사연금 협력의 핵심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다층노후소득보장 체계의 틀은 갖추어졌으나 내실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연금제도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정보가 연금제도의 정착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가주도형인 아일랜드과 뉴질랜드, 민관협력형인 네덜란드, 민관분화형인 스웨덴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공사연금 협력의 기본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연금기관 간 정보교류와 협력의 촉진, 영세사업장 등의 공동실사체계 구축, 통합연금정보 서비스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네덜란드형의 민관협력형을 참고하여 '공사연금협회'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공사연금협회는 민간기관과 공적기관이 파트너로써 구축하고, 연금제도의 정보, 교육, 홍보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통합, 관리한다.

  • PDF

The Impact of Public Pension on Chinese Household Consumption

  • Ya-Hao LI;Fan YANG;Shuang ZHANG
    • 웰빙융합연구
    • /
    • 제7권1호
    • /
    • pp.1-7
    • /
    • 2024
  • Purpose: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can greatly affect residents' future uncertainty, and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ensions and household consump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Using the 2018 China Household Panel Survey (CFPS) data, the instrumental variable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pension insurance on urban residents' consump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three different pension insurance systems on household consumption. The pension insurance for public sector significantly boosts household consumption, and having a pension insurance for public sector can increase household consumption by 7.7%. The pension insurance for enterprise employee will reduce household consumption, but this is only significant for urban households. The pension insurance for urban and rural residents has a negative impact on household consumption. For the 16- to 39-year-old group, having a pension insurance for urban and rural residents will reduce household consumption by 5.7%. At the same time, household income, assets, scale, and education level will positively stimulate household consumption. Conclusions: The study reveals varying impacts among different pension types, highlighting the need for optimizing social security schemes to incentivize higher consumption rates.

노령소득보장체계의 재구축과 경로연금제도의 발전방향 (Restructuring of the Old-Age Income Maintenance System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eniority Pension Scheme in Korea)

  • 석재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0권
    • /
    • pp.235-263
    • /
    • 2002
  • 경로연금은 급여수준이 미미하고 제도규모도 크지 않지만, 공적연금과 공공부조로부터 배제된 저소득 노령계층에게 유일한 공적소득보장제도라는 점에서 중요한 제도적 위상과 역할을 갖고 있다. 특히 공적연금이 미성숙한 현단계에서 경로연금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경로연금이 지금 중요한 정책기로에 서 있다. 국가정책 차원에서 경로연금 수급자를 매년 증가하여 책정해도 실제 수급자 규모는 이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는 반면, 공적소득보장의 사각지대에 놓여진 노령계층의 경제적 어려움은 여전하다. 본 논문에서는 왜 노령소득보장체계상에 욕구와 자원의 부정합(mis-matching)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보다 근본적으로 향후 인구고령화의 가속화, 노동시장의 유연화, 가족구조의 변화 등 경제사회적 여건의 질적 변화에 부합하는 노령소득보장체계의 재편방향을 모색하는 가운데 과연 경로연금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노령소득보장체계가 갖추어야 할 원칙적인 기본방향을 크게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보편적 개별보장(universal and individual security)의 원칙;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원칙; 형평성(equity)의 원칙. 이러한 대원칙하에서 본 논문은 경로연금제도의 발전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제안하였다. 하나는 현행 경과적이고 한시적인 제도의 틀을 유지하면서 제도의 충실화를 기하는 방향이고, 다른 하나는 경로연금제도를 공적연금과 공공부조의 사각지대에 놓여질 노령계층의 공적소득보장제도로서의 역할을 지속하는 방향이다. 이 때 경로연금의 발전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는 공적연금의 역할이다. 만일, 공적연금이 현행 1소득자 1연금 체계로 계속 운영된다면 경로연금과 같은 무갹출연금적 성격의 제도는 계속 존속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일 공적연금이 1인 1연금의 틀을 갖춘 기초연금과 소득비례연금으로 재편되어 기초연금이 실질적으로 전노령계층에 대한 기초보장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면, 경로연금은 본래 제도의 목적대로 공적연금 성숙기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현행 제도의 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공적연금이 실질적인 전국민 기초보장의 역할을 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경로연금 발전방향의 향배가 달려 있다고 하겠다.

  • PDF

공적연금의 빈곤 완화 효과: OECD 34개 회원국의 비교연구 (The Effect of Poverty Reduction by Public Pension: A comparative study of 34 OECD Countries)

  • 김윤태;서재욱;박연진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4호
    • /
    • pp.301-321
    • /
    • 2018
  • 이 논문의 목적은 공적연금제도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의 어떠한 결합형태가 노인빈곤감소율을 설명하는 원인조건이 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노인빈곤감소율을 결과조건변수로, 공적연금지출 비중, 재분배지수, 1층 공적연금비중, 2층 공적연금비중과 2층 강제적 사적연금비중을 원인조건변수로 하는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높은 공적연금지출 비중, 낮은 2층 공적연금비중과 높은 2층 강제적 사적연금비중의 결합은 높은 노인빈곤감소율의 원인조건이 되고 있었다. 그리고 낮은 노인빈곤감소율의 원인조건으로는 보다 다양한 결합 형태가 발견되었다. 이 논문은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했다.

중년기 직업종사자의 은퇴 후를 대비한 재정적 준비: 공적 연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Middle-Aged Jobholders' Financial Planning for After-Retirement Period : Focused on the Differences Among the Members of Participated Public Planned Pension Types)

  • 김인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7-87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how middle-aged jobholders anticipate their living after retirement, how they plan their post-retirement financial welfare and what attitude they have towards old age. The data came from 290 middle-aged male and female people in Incheon, Suwon and Cheongju city and were analyzed to find the differences among public planned pension types, such as the National Pension System (NPS), the Government Employee Pension Corporation (GEPC), and the Korea Teachers Pension (KTP).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cted income level after retirement in GEPC members was the highest and the lowest in KTP members. Second, the expected living period after retirement is the main criteria used when determining the amount of money needed for old age. Third, KTP members were of the most inferior at financial planning and practice, especially self-reflection of their expending behavior, thrift and saving practice for old age.

  • PDF

World Bank와 ILO/ISSA의 사회보장연금 민영화 논쟁에 관한 연구 (The Social Security Pension Reform Debate between the World Bank and the ILO/ISSA)

  • 원석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6권
    • /
    • pp.290-318
    • /
    • 2001
  • In 1981, Chile has fundamentally reformed the public pension system from the pay-as-you-go system (PAYGs) to the full funding defined contribution system managed by the private funding companies. The Chilean privatization reform influenced not only the neighbor South American countries but also the advanced countries. The United Kingdom contracted out the state earning related pension system. Australia and Sweden recently introduced the private investment accounts system. And now the hot debates on the privatization of the social security pension is going o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wind of privatizing the public pension system is being backed up by the New Liberalism, the nowadays' strongest ideology. Besides, the theoretical and idealogical debate between the World Bank and the ILO/ISSA was happened in the middle of 1990s. The World Bank, the supporter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apital, insisted the introducing of the full funding individual accounts system and the abolition of the existing PAYGs. The ILO/ISSA apposed the World Bank's policies and advocated the moderate reform of the PAYGs.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Chilean reform, the World Bank's report and the opposing argument of the ILO/ISSA against it, and analysed the core issues of the two sides. Also, I tried to present the suggestions to the Korean public pension systems. Through the discussing the debate, we made certain of the importance of the basic issues in the social security system like equity vs. adequacy, inter-generational redistribution vs. intra-generational redistribution and welfare vs. economy, once again.

  • PDF

한국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양태의 경험적 검토 (The Examination of Construction Status on Multi-pillar System for Old Age Income Security in Korea)

  • 한신실;주수정;신성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1호
    • /
    • pp.215-237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의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내실화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종단적인 차원에서 개인들의 다층체계 구축 양태와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의 다층체계는 분석대상 중 다층보장형(27.7%)과 공적연금중심형(12.8%), 그리고 미준비형(59.6%)으로 구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둘째, 노동시장지위나 성별, 나이 등 어떠한 요인도 안전한 다층체계 구축을 보증하기 어렵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노후 빈곤 위험집단인 미준비형을 공적연금의 테두리 안으로 포괄할 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다층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조건임을 제언하였다.

  • PDF

공적연금의 최저생계 보장 효과에 대한 장기 전망 (Long-Term Prospects for a Minimum Living Guarantee by the Public Pension of Korea: Evaluation using Dynamic Micro-Simulation Model)

  • 권혁진;류재린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4호
    • /
    • pp.741-762
    • /
    • 2015
  • 본 연구는 동학적 미시모의실험(Micro-simulation) 모형인 MMESP(ver. 2.1)를 활용하여 절대빈곤선으로 간주되는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공적연금 수급액수준을 장기적으로 전망 평가한다. 즉,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노인빈곤율은 공적연금소득만을 고려한 전망치임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연금액의 장기적 변화는 경제성장효과와 제도효과로 분해할 수 있다. 두 효과를 모두 고려하는 경우, 공적연금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노인가구는 2040년대에 20% 정도수준까지 감소한다. 그러나 경제성장효과를 제외한 제도효과만을 고려하는 경우 노인빈곤율은 장기적으로 90% 내외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기초연금을 A값의 10% 수준으로 고정한다고 할지라도 경제성장효과를 제외한 공적연금 제도 효과만을 보면, CPI에 연동하는 현행 제도에 비해 노인빈곤율을 10%p 정도 더 축소시킬 뿐이다. 셋째, 현행 국민연금의 급여산식에는 소득수준과 가입기간의 현실적인 상관관계가 고려되지 못함으로써 소득계층간 연금급여의 소득대체율이 역전될 가능성이 높다. 넷째, 2007년 개혁으로 소득대체율이 인하되지 않았다면 현행 체계(국민연금+기초연금)에 비해 과거 체계가 노인빈곤 완화 측면에서는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즉, 개혁 이전의 제도 하에서는 국민연금만으로도 노인빈곤율은 약 70% 수준까지 축소되었을 것이다. 이것은 2007년 개혁을 통한 연금재정 상의 이득을 얻기 위해 지불한 비용이다. 연금개혁의 올바른 평가는 사회적 편익과 비용을 동시에 고려할 때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논의에 대한 재검토와 향후 발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공적연금제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비교연구: 퍼지셋 분석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Public Pension System: Using Fuzzy-set Analysis )

  • 정의룡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69-378
    • /
    • 2024
  • 본 연구는 공적연금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비교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적연금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주류적인 시각은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전제로 하고 있는 반면, 본래의 목적인 노후 소득보장성은 간과하여 왔다. 공적연금의 지속가능성은 재정적 지속가능성 뿐만 아니라 인구구조, 노동생산성, 산업구조, 근로세대의 생애주기, 공적연금에 대한 정부지출, 경제성장, 사회적 합의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한국을 포함한 44개국들을 대상으로 퍼지셋 질적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은 단년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은 높았지만 사회적 협의 및 공적연금 운용과 관련한 통합성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보장정도와 다른 연금체제와의 연계 등과 같은 적절성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폭넓은 공적연금의 지속가능성은 재정적인 지속가능성 뿐만 아니라 적절성, 통합성 또한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연금 민영화에 관한 쟁점들: 남미 국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Major Issues on Pension Privatization: Lessons from Latin American Cases)

  • 김신영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457-473
    • /
    • 2004
  • This study purports to contribute to existing literatures and debates about the future of Korean public pension system by introducing the cases of pension privatization in eight Latin American countries. Following the Chilean reform in 1981, many Latin American nations to a varying degree replaced their public pension system with private one, and the performance of those private systems started to emerge. Overall, pension privatization does not appear to be the panacea that some of its advocates have argued. While it seems to remedy existing problems, it is creating new ones. As an unprecedented policy experiment, the pension privatization in many Latin American countries implies that there are a number of risks in the path of privat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