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participation

검색결과 1,501건 처리시간 0.027초

가족자원봉사활동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 Familial Voluntary Service upon Family Healthy)

  • 이지원;박정윤;김양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9-10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amilial voluntary service of the Healthy Family Center and then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ts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family healthy through a familial voluntary service. Study subjects were both volunteers who belonged to family volunteer corps of 12 Healthy Family Center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a 54.1% of subjects is taking part in a familial voluntary service, while a 45.9% of them is not. Their positive intention of future participation is a 77.4%.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s from 6 months to two year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s once or twice a month, and the length of activities per participation is for 3 hours. They have taken part in the service with a variety of public relations, and their motive of participation is by and large selfish. Second, as for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in a familial voluntary service upon family healthy, the family healthy of participant group is higher in all the four sub-variables of family healthy than that of other groups. The group of which frequency of participation is once a week is better in family communication than the group of which frequency of participation is once or twice per month. The group of which motive of participation is altruistic is higher in sharing a value system among families than the group of which motive of participation is selfish.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on SNS Engagement and Consumer Brand Engagement

  • CHO, Byung-Kwan;SHIN, Hyang-Sook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39
    • /
    • 2020
  • Purpose: Social Network Sites(SNS) have been grown up as a public communication channel consumer frequently participate in. Most of food service brands are utilizing social media for advertising recently. As a result of SNS marketing, food service brands anticipate positive outputs from SNS engagement and consumer brand engagement so that we need to verify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NS characteristics, SNS engagement and consumer brand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identifies that SNS characteristics have effects on SNS engagement and examines relationship between SNS engagement and behavioral engagement. We conceptualize SNS characteristics as information quality,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Furthermore, SNS engagement is composed of SNS participation, positive word of mouth(WOM).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All constructs were measured with multiple items developed and t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433 online survey panels and analyzed by using SmartPLS 3.2.9. Resul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qual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SNS participation.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have impacts on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respectively. Second, SNS particip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WOM. Third, both SNS participation and WOM influence behavioral engagement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demonstrate that SNS characteristics such as information quality and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exert effects for consumer to participate in SNS brand page. Meanwhile,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influence on positive WOM but information quality doesn't.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affect consumer to engage in specific brand behaviorally as well. Therefore, food service brand marketer is required to manage SNS information quality and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among members to encourage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As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increases behavioral engagement of consumer, marketer needs to incentivize SNS participation and look after situation of positive WOM and respond swiftly.

공공정보 활용의 기술적 방법과 정보서비스의 정책적 함의 (A Study on plan for promoting innovation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haring)

  • 김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3-49
    • /
    • 2014
  • 정부는 공급자 중심의 시각이 아닌 이용자 관점에서의 개방적 네트워크 구현이 필요하며, 더불어 소통능력을 제고하고, 유연하고 신속한 업무 처리가 요구됨에 따라 일하는 방식의 변화도 수반되어야 한다. 정부의 기능성의 변화와 정부에 대한 새로운 국민들의 요구에 부합시키기 위해 민간이 정부의 역할에 참여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공공 플랫폼형 정부의 기능과 발전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공공정보 공유기반의 혁신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특히 정부와 민간의 정보 및 시스템 등 정보자원 공유를 위한 효율적 역할 분담 등 플랫폼형 정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보건대학원 사이버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Web-based PBL (Problem Based Learning) i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ourses)

  • 윤수진;호까마;호승희;김민경;채영문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9-142
    • /
    • 2007
  • Objectives: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the satisfaction level and course effects of web-based PBL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Methods: Web-based PBL was implemented from March 1 to June 22 on 19 students and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essons was taken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SAS 9.1 was carried out. Results: The rel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lesson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evaluation items, shows a significance according to satisfaction of professors, whether or not the students were satisfied in evaluating themselves (correlation, p<0.05).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valuation on teachers and whether or not the students were satisfied in evaluating themselves show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s (simple regression, p<0.05), more specifically in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by the students themselve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p<0.05).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attitud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toward the lessons are major influenc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s. Specifically,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by the students themselves ar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s.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흡연여부와 흡연량에 미치는 담배가격의 효과 (The Effect of Cigarette Price on Smoking Behavior in Korea)

  • 정우진;이선미;최승주;신가영;조경숙;임승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5호
    • /
    • pp.371-380
    • /
    • 2007
  • Objectives: To determine the impact of cigarette prices on the decision to initiate and quit smoking by taking into account the interdependence of smoking and other behavioral risk factor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000 male Koreans aged ${\ge}20$. A survey by telephone interview was undertaken to collect information on cigarette price, smoking and other behavioral risk factors. A two-part model was used to examine separately the effect of price on the decision to be a smoker, and on the amount of cigarettes smoked. Results: The overall price elasticity of cigarettes was estimated at -0.66, with a price elasticity of -0.02 for smoking participation and -0.64 for the amount of cigarettes consumed by smokers. The inclusion of other behavioral risk factors reduced the estimated price elasticity for smoking participation substantially, but had no effect on the conditional price elasticity for the quantity of cigarettes smoked. Conclusions: From the public health and financial perspectives, an increase in cigarette price would significantly reduce smoking prevalence as well as cigarette consumption by smokers in Korea.

공공도서관과 공유경제 - 유형의 공유로부터 무형의 접근으로 - (Public Libraries and the Sharing Economy: From Tangible Sharing to Intangible Access)

  • 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51-173
    • /
    • 2022
  • 공유경제의 개념은 기존의 경제 패러다임을 자원의 소유에서 자원에 대한 접근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는 공공도서관의 근본적인 역할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과 공유경제의 상호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참여는 공유경제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 형성에 대한 기제로 작용하는 반면, 공공도서관 시설 및 장비의 이용은 공유경제에 대한 태도 및 참여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장서의 활용은 지식, 정보, 개인적 경험과 같은 무형 자원의 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도서관 소장 자원의 대출 이용은 공유를 통한 경제적 이득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은 정보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통한 휴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공유경제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참여정부 기록관리정책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s Management Policy during Participation Government(2003~2008))

  • 이영학
    • 기록학연구
    • /
    • 제33호
    • /
    • pp.113-153
    • /
    • 2012
  •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부터 현재까지 국가기록관리제도에서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온 시기는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이며, 특히 참여정부(2003~2008년)가 기록관리혁신 정책을 펴던 시기이다. 이 글은 참여정부의 기록관리정책에서 특징적 현상을 언급한 글이다. 참여정부의 기록관리정책의 추진주체는 노무현대통령을 비롯한 대통령비서실 특히 기록관리비서관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산하 '기록관리혁신전문위원회', 국가기록원 기록관리혁신단이다. 이 세 주체는 정책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경쟁을 벌이기도 하였지만, 서로 협력하면서 기록관리의 혁신을 주도해갔다. 참여정부의 기록관리정책의 집행에서 주요한 특징은 거버넌스를 적극적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즉 기록관리를 둘러싼 이해관계 단체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참여정부는 시민단체와 언론의 문제제기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학계의 전문가를 참여시켜 기록관리혁신전문위원회와 혁신분권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국가기록관리혁신 로드맵"을 입안하고 점검해가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중요한 특징은 공공기관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배치하였다는 점이다. 2005년 연구직 공무원에 기록연구직렬을 신설하고 중앙부처에 기록연구사를 배치하여 공공기관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본격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공공기록관리의 체계를 마련하고 기록관리의 전문성을 제고하였다. 이후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은 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민간기록관에도 채용됨으로써 한국기록관리의 새로운 단계를 열어가게 되었다. 끝으로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전부 개정)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함으로써 한국의 기록관리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은 전자정부시대에 알맞게 이전 법률을 전부 개정하였으며, "대통령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은 대통령기록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한 나라의 기록관리제도의 정착 정도는 그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의 정도를 나타낸다. 다음 정부에서는 참여정부의 기록관리정책을 극복하면서 '새 거버넌스 기록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먼저 기록관리 주체가 정부뿐 아니라 시민사회, 지역자치, 중소기업 및 학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거버넌스형이 되어야 한다. 기록관리의 대상은 업무의 입안과 집행뿐 아니라 결과 및 영향까지 기록화하는 민주형이 되어야 한다. 기록화의 방법은 관계되는 주체들이 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같이 참여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정부와 국민간(G2C) 상호작용 제고를 위한 PPGIS 통합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PGIS Integration Model for the promotion of G2C Interaction)

  • 신동빈;박시영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368
    • /
    • 2007
  • 인터넷의 빠른 확산과 정보기술 패러다임의 변화로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매체를 이용하여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작 등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이를 공유하는 양상이 사회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국가계획수립 부문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계획 주체와 국민간의 교류를 증진시키기 위해 등장한 개방형 계획패러다임과 맞물려 다양한 분야에서 PPGIS(Public Participation GIS)를 구현하기 위한 사업이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국가 주도의 단방향적인 참여기회 제공으로 단순한 의견수렴 수준에 머물고 있어 국민의 의견과 수요가 충분히 계획에 반영되지 못하며, 특정 계획분야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제공수단과 참여대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리정보를 활용한 국민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이러한 결과가 GIS 활용분야 의사결정 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국가차원의 기반 마련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보기술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지리정보를 수단으로 자유롭게 의사를 개진하고, 정부가 이를 반영하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통합형 PPGIS 모델을 통한 G2C 상호작용 제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Google Earth와 Sketch Up을 이용하여 지역 개발과정에서 Public Participation을 가능하게 하는 Web Portal Site의 발전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Web Portal Site Development Model Encouraging Public Participation in Smart Growth Planning Processes by Utilizing Publicly Available GIS Tools)

  • 이미지;임완수;고준환;최윤수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0-435
    • /
    • 2007
  •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GIS는 국가 중심의 GIS로, 사용자들이 적극 참여하거나 민간 산업 부분으로 확대되기에는 기술력, 비용 등의 한계를 갖고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Open Source를 이용하여 종래 GIS의 한계를 극복하고 Google Map, Google Earth, Sketch Up을 연동한 Web Portal Site 구축을 통하여, 사용자들이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이들이 곧 정보 창출의 주체가 되는 쌍방향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