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ublic medicine

Search Result 7,45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고혈압 관련 건강관리 및 구강관리 상태 (A study on the general health status related hypertension and oral health status of rural elder)

  • 정현자;정애화;김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852-4860
    • /
    • 2011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의 구강관리 실태와 고혈압 관련 건강에 대한 행태를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정도를 파악하여 농촌지역 노인들의 구강건강 관리 프로그램 등 운영 강화와 개인별 구강보건 교육 및 건강생활 실천율을 높여 삶의 질을 높이고자 고령군 보건 지소 내소 환자 1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9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대부분의 대상자가 고혈압 진단을 받고 정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나쁘다고 인지하고, 치석제거와 구강검진 경험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 경제적 상태에 따라 건강관리 형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연령, 학력, 경제적 상태는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연령과 경제적 상태는 구강검진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농촌 농인의 구강관리와 건강관리는 변수간의 관련성이 있으며, 치석제거와 구강검진이 포함된 구강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겠다.

대전지역 일개 종합병원 초진결핵 환자들로부터 분리(分離)된 결핵균(結核菌)의 약제(藥劑) 내성률(耐性率) (The resistance rate of anti-tuberculosis drug isolated from initial tuberculosis patients at a general hospital in Daejeon area)

  • 이동훈;김상하;김영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012-5018
    • /
    • 2011
  • 1965년부터 1995까지 결핵의 전국적인 조사에 의하면, 한국에서 결핵의 발생과 약제 내성율은 감소하였지만 다재약제내성율의 유행은 여전히 심각한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1 년부터 2008까지 대전에 약제 내성율과 성향을 조사하였다. 총 581건의 약제감수성 검사가 수행 되었으며 이중 하나이상의 항결핵제의 약물에 내성이 있는 경우가 104건(17.9%)이였고 적어도 INH에 내성이 있는 경우가 68건 (11.7 %), RFP내성이 41건(7.1 %)이였다. 단일 약제 내성율은 37건 (6.4 %) 분리되었으며 이들 중 INH에서 18건 (3.1 %) RFP에서 5건(0.9 %)이 분리 되었다. 적어도 isoniazid와 refampin에 내성인 다제내성결핵은 35건(6.0 %)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MDR - TB와 관련된 나이요인에 40-60 세 포함되었다. 폐결핵의 약제내성율, 특히 MDR - TB의 약제내성율은 공공의료분야보다 민간 병원의 초치료 환자에서 높게 나왔다. 초기 약제내성은 일반적이며 약제감수성 검사는 이전 결핵 치료를 받지 않은 폐결핵 환자에 대해 유용성이 있다. 내성의 확산과 증가를 줄이기 위해 MDR - TB의 조기 진단과 함께 향상된 제어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다제내성율은 여전히 한국에서 문제이다. 독립적으로 혹은 공공의료분야와 공동으로 다제내성율을 감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혈액배양에서 분리된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생성균의 역학적 특성 조사 (Evaluation of Epidemic Characteristics of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 서충원;김상하;황석연;김영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16-2522
    • /
    • 2009
  • 본 연구는 혈액에서 분리되는 미생물의 균종과 항균제 감수성 검사 결과 양상은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다르므로 혈액배양 결과를 분석한 자료는 감염증 환자의 경험적 치료를 위한 중요한 근거가 되고, 특히 ESBL을 생성하는 균주의 경우 항균제의 사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혈액배양 결과와 항균제 내성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9.305건의 혈액배양이 의뢰되어 양성 환자 수는 2,216명(20.0%)이었고, 이중에서 ESBL양성 환자 수는 40명 이었으며, 혈액배양 양성은 4,798건(12.2%)이었으며 ESBL양성 균주는 86건(중복 배양 균주 포함)이었다. 2. ESBL을 생성하는 세균 중에서 분리된 균종은 E. coli, K. pneumoniae, K. oxitoca의 순 이었다. 3. 성별로는 여자가 다소 많았고, 연령별로는 50세 이상의 군에서 E. coli, 1세 미만의 군에서는 K. pneumoniae, K. oxitoca 의 분리가 많았고, 지역별로는 충청남도 13명(32.5%)로 가장 많았다. 4. 3년간 일개대학병원의 혈액배양에서 ESBL양성인 균종 중 가장 흔히 분리되는 것은 E. coli이고, K. pneumoniae, K. oxitoca 등이 다음으로 분리 되었고, 50세 이상의 환자에서 E. coli의 분리 비율이 높았다.

일반병원과 치과병원과의 방사선 관계종사자 피폭선량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Exposure Doses between the Radiation Workers in Dental and General Hospital)

  • 양남희;정운관;동경래;최은진;주용진;송하진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7-55
    • /
    • 2015
  • Research and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the exposure dose of radiation workers to work in the dental hospital as increasing interest in exposure dose of the dental hospital recently accordingly, study aim to minimize radiation exposure by making a follow-up study of individual exposure doses of radiation workers, analyzing the status on individual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prediction the radiation disability risk levels by radiation, and alerting the workers to the danger of radiation exposure. Especially given the changes in the dental hospital radiation safety awareness conducted the study in order to minimize radiation exposure. This study performed analyses by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and dental hospital, comparing each occupation, with the 116,220 exposure dose data by quarter and year of 5,811 subjects at general and dental hospital across South Korea from January 1, 2008 through December 31, 2012.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btained by analyzing average values year and quarter. In term of hospital, average doses were significantly higer in general hospitals than detal ones. In terms of job, average doses were higher in radiological technologists the other workes. Especially,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adiological technologists than dentists. The above-mentioned results indicate that radiation workers were exposed to radiation for the past 5 years to the extent not exceeding the dose limit (maximum $50mSv\;y^{-1}$).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radiation workers before 2008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Objective evaluation standards did not apply to the work circumstance or condition of each hospital.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work out analysis criteria that will be used as objective evaluation standard.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radiation exposure in more precise ways on the basis of objective analysis standard in the furture. Should try to minimize the radiation individual dose of radiation workers.

Efficacy of ketamine in the treatment of migraines and other unspecified primary headache disorders compared to placebo and other interventions: a systematic review

  • Chah, Neysan;Jones, Mike;Milord, Steve;Al-Eryani, Kamal;Enciso, Reyes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5호
    • /
    • pp.413-429
    • /
    • 2021
  • Background: Migraine headaches are the second leading cause of disability worldwide and are responsible for significant morbidity, reduction in the quality of life, and loss of productivity on a global scale.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ketamine on migraines and other primary headache disorders compared to placebo and other active interventions, such as midazolam, metoclopramide/diphenhydramine, and prochlorperazine/diphenhydramine. Methods: An electronic search of databases published up to February 2021, including Medline via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and Cochrane Library, a hand search of the bibliographies of the included studies, as well as literature and systematic reviews found through the 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investigating ketamine in the treatment of migraine/headache disorders compared to the placebo. The authors assessed the risk of bias according to the Cochrane Handbook guidelines. Results: The initial search strategy yielded 398 unduplicated references, which were independently assessed by three review authors. After evaluation, this number was reduced to five RCTs (two unclear risk of bias and three high risk of bia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in all the studies was 193. Due to the high risk of bias, small sample size, heterogeneity of the outcomes reported, and heterogeneity of the comparison groups, the quality of the evidence was very low. One RCT reported that intranasal ketamine was superior to intranasal midazolam in improving the aura attack severity, but not duration, while another reported that intranasal ketamine was not superior to metoclopramide and diphenhydramine in reducing the headache severity. In one trial, subcutaneous ketamine was superior to saline in migraine severity reduction; however, intravenous (I.V.) ketamine was inferior to I.V. prochlorperazine and diphenhydramine in another study. Conclusion: Further double-blind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the efficacy of ketamine in treating acute and chronic refractory migraines and other primary headaches using intranasal and subcutaneous routes. These studies should include a long-term follow-up and different ketamine dosages in diagnosed patients followin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iagnosing headache/migraine.

Efficacy of medications in adult patients with trigeminal neuralgia compared to placebo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es

  • Peterson-Houle, Georgia M.;AbdelFattah, Magda R.;Padilla, Mariela;Enciso, Reyes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5호
    • /
    • pp.379-396
    • /
    • 2021
  • Background: Trigeminal neuralgia (TN) is characterized by brief, unilateral, sharp, stabbing, and shooting pain of the fifth cranial nerve. The objective of this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edications compared to placebo in adult patients with TN. Methods: Review authors identifie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RCTs) from PubMed, Web of Science, Cochrane, and EMBASE up to February 2021. We assessed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s well as the risk of bias of the studies based on the Cochrane Handbook. A total of 324 unduplicated references were scanned independently and reduced to eight relevant RCTs, with 89 patients included. Medications investigated included oral carbamazepine, subcutaneous sumatriptan, lidocaine (intranasal, 8% spray on the oral mucosa or intravenous), buprenorphine (ganglionic local opioid analgesia), and oral Nav1.7, a selective sodium channel blocker. Results: Meta-analyses showed that overall patients receiving lidocaine reported a significantly lower post-treatment intensity of pain -3.8 points on a 0-10 scale (95% Cl = -4.653 to -2.873; P < 0.001). Patients who received lidocaine were 8.62 times more likely to have pain improvement than patients on placebo (P < 0.001). In one RCT, patients receiving oral carbamazepin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in intensity of -32% compared to the placebo (P < 0.001). In one trial, patients receiving 3 mg subcutaneous sumatriptan had a significantly lower intensity of pain on average -6.1 points on a scale of 0-10 compared to placebo (P < 0.001) an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in intensity of -75% compared to the improvement in the placebo group (P < 0.001). Patients who received subcutaneous sumatriptan were 10 times more likely to have pain improvement than those who received placebo (P = 0.001) in one study. Due to the unclear/high risk of bias and small sample size, the quality of the evidence for lidocaine in the treatment of TN was low. Conclu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carbamazepine, sumatriptan, buprenorphine, and oral Nav1.7 sodium channel blockers, as only one study reported outcomes.

토머스 제퍼슨의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 배경과 내용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Thomas Jefferson's Plan for a Botanical Garden for the University of Virginia)

  • 김정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9-59
    • /
    • 2019
  • 본 연구는 토머스 제퍼슨의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의 배경과 내용을 고찰한다. 제퍼슨이 식물원 설립을 추진했던 시기가 유럽에서 식물원이 약용 식물원에서 진화한 때이자 미국에서 여러 식물원이 설립된 초창기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동시대 식물원과 비교하여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의 특징을 짚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세기 전후 구미 주요 식물원의 역할과 공간 구조를 분석하여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식물학과 식물원에 대한 제퍼슨의 관점과 식물원 구상안을 검토하며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을 당대 사례와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그 배경은 18세기 후반 유럽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국가 경제를 견인하는 실용 과학으로서 식물 교육과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 인식, 그리고 식물학과 식물원에 대한 정보와 식물을 교환하는 네트워크에서 찾을 수 있다.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은 공공 식물원의 역할에 대한 식물학자 코레아의 의견이 바탕이 되어 제퍼슨에 의해 부지 조성과 개략적인 공간 구성, 식물 수급 방안을 포함한 실행 전략으로 발전되었다. 동시대 식물원 사이에서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이 지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본 이외에 교목 정원을 별도로 구성하고 의학이 아닌 식물학 연구와 교육을 강조했던 측면에서 18세기 후반 유럽 식물원의 약용 식물원에서 식물원으로의 진화와 같은 경향을 보인다. 둘째, 장식적 요소를 배제하고 온실 설치를 거부하며 지역 기후에 적합한 해외 실용 식물을 확산시키려 했다는 점에서 유럽과 미국의 많은 식물원과 다르다. 본 연구는 버지니아대학교 식물원 구상을 사례로 19세기 전후 식물원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환자 이송원의 피폭선량 측정 (A Measurement of Exposure Dose for Patient Transporter)

  • 송채림;이왕희;안성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33-438
    • /
    • 2019
  •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방사선발생장치 및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고 있다. 환자이송원은 환자이송을 위해 불가피하게 방사선 관리구역에 출입하거나, 동위원소가 투여된 환자를 근거리에서 이송하는 등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방사선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환자이송원의 피폭 정도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인천 A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12명의 환자이송원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한 달 동안 선량계를 가슴에 패용하고, 누적된 선량을 측정했다. 사용된 선량계는 광자극발광선량계(OSLD), 선량판독은 OSLD Microstar Reading System을 사용했다. 한 달 동안 누적선량 측정 결과 심부선량은 평균 0.13 mSv, 표층선량은 평균 0.13 mSv로 측정되었고, 한 달 동안 누적된 선량에 12를 곱해 일 년 동안 업무를 수행할 시 받게 될 누적선량 예상치를 추정한 결과 심부선량은 평균 1.52 mSv, 표층선량은 평균 1.51 mSv로 나타났다. 환자이송원의 수시출입자 분류를 통해 피폭선량을 측정, 관리 하고, 교육훈련을 통해 방사선에 대한 방호지식을 높이며 건강진단을 통해 방사선장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robiotics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제효과와 항균제 내성 (Inhibition Effect on Pathogenic Microb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Probiotics)

  • 김재수;육영삼;김가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94-300
    • /
    • 2019
  • 국내시판 김치로부터 분리한 probiotics의 병원생 미생물에 대한 억제효과와 항균제 내성을 조사하기 위해 35종의 국내시판 김치에서 총 140주의 probiotics를 분리하였으며,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L. plantarum이 53주(37.9%), E. faecium 27주(19.3%) 그리고 L. rhamnosus 7주(5.0%) 순으로 동정되었고, 12종(species)의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 즉 S. Typhi, S. Enteritidis, E. coli O157:H7, S. flexneri, NAG Vibrio, L. monocytogenesis, Y. enterocolitica, S. aureus, S. pyogenes, G. vaginalis, C. albicans, P. acne에 대한 전체적인 항균성은 69주(49.3%)이었으며, 균종별로 살펴보면 L. plantarum 75.5%, L. sakei 66.7%, E. faecium 40.7%, 그리고 L. rhamnosus 28.6% 순이었다. 또한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18종의 다양한 계열의 항균제에 대한 내성시험 결과 nalidixic acid가 98.6%의 내성을, S 83.6%, gentamicin 75.7%, vancomycin 73.6%, norfloxacin 72.1%, 그리고 ciprofloxacin 67.9%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다양한 항균활성과 광범위한 항생제 내성을 지닌 L. plantarum, L. sakei, 그리고 E. faecium 균주가 장기 항생제 치료환자에 대한 유용한 설사 치료용 및 Candida 속이 야기하는 여성질염 치료제로서의 사용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실험 자료로부터의 인과 추론: 핵심 개념과 최근 동향 (Causal inference from nonrandomized data: key concepts and recent trends)

  • 최영근;유동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2호
    • /
    • pp.173-185
    • /
    • 2019
  • 과학적 연구에서 핵심적인 연구 주제 또는 가설은 대부분 인과적 질문(causal questio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염병 예방을 위한 치료법의 효과 연구, 특정 정책의 시행으로 인한 효용(utility)의 평가에 대한 연구,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노출된 광고의 종류에 따른 광고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모두 인과 관계(causal relationship)의 추론이 요구된다. 이러한 인과 관계를 다루는 통계적 인과 추론(statistical causal inference)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모집단에 일종의 개입(정책 혹은 처치)을 적용한 후 개입의 효과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다. 인과 추론은 임상실험과 정책결정에서 주로 이용되었으나, 이른바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로 가용한 관측자료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로 인하여 인과 추론에 대한 잠재적 응용가치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가용한 대부분의 자료는 임의실험 기반의 자료와 달리 개입이 임의로 분배되지 않은 비실험 관측자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실험 관측자료로부터 개입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인과 추론의 핵심 개념과 최근의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문에서는 먼저 개입의 효과를 Neyman-Rubin의 잠재 결과(potential outcome) 모형으로 나타내고, 개입의 효과를 추정하는 여러 접근법 중 특히 성향점수(propensity score) 기반 추정법과 회귀모형 기반 추정법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최근 연구동향으로는 (1) 평균 효과 크기 추정을 넘어선 개인별 효과 크기의 추정, (2) 효과크기 추정에 있어서 자료 규모의 증대로 인한 차원의 저주가 야기하는 난제들과 이에 대한 해결방안들, (3) 복합적 인과관계를 반영하기 위한 Pearl의 구조적 인과 모형(structural causal model) 및 잠재 결과 모형과의 비교의 3가지 주제로 구분하여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