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service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대표도서관의 기능과 지역공공도서관과의 협력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 of Regional Central Library and Collaborative Role for Community Public Library)

  • 배순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5-59
    • /
    • 2008
  • 본 연구는 개정도서관법에서 중시하는 지역대표도서관의 기능을 재인식하고 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원과 협력적 역할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중앙관인 지역대표도서관의 효율적 역할을 위한 협력체계로는 혼합형모델을 통해 국가중앙관인 국립중앙도서관과 지역 단위도서관간의 상호협력을 도모하도록 한다. 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원과 협력사업으로는 지역도서관서비스위원회를 통한 지역공공도서관의 정책공조를 기초로 하여, 도서관정보화사업 지원. 공동보존, 사서교육의 지역화 및 지역정보자료의 통합체제에 의한 인포메이션 커먼스 등을 핵심으로 한다.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기본 원리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어린이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ndamentals of Children's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ervice Guidelines)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69-492
    • /
    • 2008
  • 이 연구는 국내외의 어린이서비스 가이드라인을 탐색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에서 지향하는 핵심 가치와 서비스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도서관기준에 포함되어 있는 어린이 서비스 관련 내용을 비롯하여 국제도서관연맹의 어린이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살펴보았으며,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의 다양한 어린이 서비스 가이드라인의 형식과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에 반영되어야 하는 핵심적인 가치와 운영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다.

  • PDF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운영현황과 발전과제 (Current Status and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윤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69-9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24개 공공도서관의 일반현황과 행정체계를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의 시설, 인력, 장서, 예산 현황을 살펴보고, "제3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2019-2023)", "도서관법"과 "한국도서관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준과 비교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 행정조직의 체계와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의 발전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지속적 확충, 사서직원 충원, 장서 확충, 노인 대상 서비스 강화, 예산 증액, 정책담당 전담부서 신설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vating Social Network Service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 최연진;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9-34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 현황과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166개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사례와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이 계정을 직접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의 담당자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98명의 이용자 설문도 함께 진행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으로 담당자를 위한 교육과 연구 기회 제공, 전담인력의 배치,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 이용자 모니터링 및 홍보 채널의 다양화, 이용자 참여 및 이용교육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Impact of Satisfaction with Public Libraries on Using and Recommending Intention

  • Noh, Younghee;Chang, Ros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69-86
    • /
    • 2020
  • A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announced its intention to implement a three-year policy on building additional libraries and complex community centers as the community-based everyday life SOC project, society has shed new light on libraries as public service institution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 satisfaction with public libraries, intention to use, and intention to recommend public libraries, for use as basic data to increase resident satisfaction and use of public libraries in South Korea.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n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 with using 13 public libraries designated as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in South Korea. The surveyed data was verifi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using AMO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l factors, such as material, facility, staff, program, and service, except location and spa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sident satisfaction with public libraries. Second,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and intention to recomm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qualitatively improving public library services by reflecting the changing needs of users, as well as social trends at the working level of libraries in South Korean society.

공공도서관 위탁경영의 분석과 해법 (Analysis and Solution of Contracting ou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26
    • /
    • 2008
  • 대다수 국가에서 공공도서관은 공적 기관이며 민주주의 사회를 상징하는 아이콘이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은 공공성을 절대 가치로 삼아야 하며, 이윤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관리되지 않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많은 자치단체가 신축에 따른 예산부담이 가중됨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운영관리를 위탁하고 있다. 이 방식을 적용하는 핵심논거는 비용절감, 서비스 제고, 자치단체의 강한 의지에 있지만, 국내에는 검증된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위탁경영의 변용과 현주소를 살펴본 다음에 쟁점을 분석하고 해법을 제시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정보화 실태 연구 - 2012년과 2014년 비교 - (A Study the Informationization of Public Libraries: Comparing 2012 with 2014)

  • 곽철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9-215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 공공도서관의 정보화 현황과 2012년과 2014년의 차이점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는 2012년과 2014년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조사 내용은 정보화 일반현황, 소프트웨어, 디지털자료실, RFID, 디지털 콘텐츠, 모바일 서비스, 통합서비스 현황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었다. 조사 결과 파악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를 지역주민에 대한 전시적 효과에 치중하였다. 둘째, 정보화 담당인력이 부족하였다. 셋째, KOLAS의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넷째, 디지털 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준비가 미흡하다. 개선 방안으로 차세대 자료관리 소프트웨어의 개발, 모바일 앱과 웹 서비스 확산, 디지털 콘텐츠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 방향으로 이용자의 디지털 콘텐츠 및 기기 이용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rack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63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society. To this end,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S curriculum, determined demand from field librarians through a survey, carried out job analysis by library types, and developed an operating model for LIS curriculum by synthesizing all of these results. Finally, we suggested a course of study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based on this model. As a result, the six required courses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The four core courses for the civil service concentration are: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Sources by Subjects,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Digital Libraries. Suggested electives best suited to this career path include Using Web Resour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Services in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Library Marketing, Libraries and Cultural Programs, Reading Guidance, Library History, Small Library Management, Studies in Library Buildings, Library Cooperation,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

러시아의 도서관 행정.법제에 관한 고찰 (On the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s and Legislations in Russi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40
    • /
    • 2004
  • 이 연구는 국내에서 전혀 논급되지 않은 러시아의 도서관 행정체계와 법제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1991년 소비에트연방이 붕괴된 이후, 러시아는 새로운 정치적, 법적, 경제적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러시아에는 약 51,000개의 공공도서관이 있으며, 대체로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중앙집중적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연방정부의 도서관 주무부처는 문화부이며, 1994년에 핵심법제인 ‘도서관법’과 ‘납본법’을 제정하였다. 그리고 2001년에는 러시아도서관협회가 ‘공공도서관 모델기준’을 공표하였으며, 사서집단과 지방행정청이 이를 준용하고 있다.

  • PDF

법원도서관 법마루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Suggestions for the Beopmaru Public Service in the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 곽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3-295
    • /
    • 2023
  • 일반 국민, 법률전문가 등이 재판 관련 자료를 열람·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법격차를 줄이고 사법접근성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는 것은 사법부 국립도서관인 법원도서관 법마루가 유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법원도서관 법마루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파악하고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용자 만족도는 5점 만점에 직원응대 4.62점, 시설관리 4.48점, 행사 및 강좌 등 문화프로그램 4.33점 등의 순이었으며, 장서구성 만족도가 3.97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는 법 전문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주는 부분이 장서구성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장서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던 만큼 앞으로 법마루가 강화해야 할 서비스 역시 장서확충이 44%(114명)로 가장 높았으며, 향후 이용자층에 따른 균형 있는 장서 수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일반 국민과 법률전문가의 법원도서관 법마루 열람 공간 및 서비스 이원화, 법률 전문도서관으로서의 정체성 강화, 시스템 개선, 홍보 및 직원응대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지속적인 문헌정보학계의 연구를 통해 법원도서관 법마루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정착된다면 법학전문도서관을 비롯한 법학도서관계 전반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용자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