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ctivating Social Network Service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최연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 ;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 전공)
  • Received : 2013.11.12
  • Accepted : 2013.12.02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using and adop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and to propose how to activate social network services for the libraries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the usag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s by 166 public librarie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surveys to 40 library representatives from the libraries were conducted and 198 public library users answered users' survey questionnaires. As methods to activate social network services in pubic libraries, providing education and training for librarians, hiring librarians for the service, and monitoring and educating the library users for participating with diversifying promotion channels for the service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 현황과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166개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사례와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이 계정을 직접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의 담당자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98명의 이용자 설문도 함께 진행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으로 담당자를 위한 교육과 연구 기회 제공, 전담인력의 배치,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 이용자 모니터링 및 홍보 채널의 다양화, 이용자 참여 및 이용교육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미영, 승현우. 2010. Public Library 2.0 기반 지역 커뮤니티지식정보시스템 개념적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193-209.
  2. 이란주, 김수영. 2011. 국내 대학도서관 블로그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57-73.
  3. 이유진, 곽승진. 2011. 대학도서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3-51.
  4. 임정현. 2012. 대학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운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문헌정보학전공.
  5. 정종기. 2010. 웹 2.0기반의 '팟캐스트'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미국의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1-22.
  6. 조재인. 2008. 도서관 정보 수요자를 위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169-186.
  7. 조정연, 김동숙, 김동재, 이선우, 장윤창. 2011. 대학도서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현황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 마케팅 관점과 이용자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8. 천정은, 손홍배, 한아름, 송지원. 2010. 미래 도서관 이용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모바일 시스템 제안. 한국HCI학술대회, 622-625.
  9. Aharony, N. 2010. "Twitter use in libraries: an exploratory analysis." Journal of Web Librarianship, 4(4): 333-350. https://doi.org/10.1080/19322909.2010.487766
  10. Anttiroiko, A. and R. Savolainen. 2011. "Toward library 2.0: The adoption of web 2.0 technologies in public libraries." Libri, 61: 87-99.
  11. Ayu, A. R. and A. Abrizah. 2011. "Do you facebook? Usage and applications of facebook page among academic libraries in Malaysia."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 Library Review, 43(4): 239-249. https://doi.org/10.1016/j.iilr.2011.10.005
  12. Boyd, D. M. and N. B. Ellison. 2008.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 210-229.
  13. Carlsson, H. 2012. "Working with Facebook in Public Libraries A Backstage Glimpse into the Library 2.0 Rhetoric." Libri,62: 199-210.
  14. Chan, C. 2011. "Using online advertising to increase the impact of a library Facebook page." Library Management, 32(4/5): 361-370. https://doi.org/10.1108/01435121111132347
  15. Chua, A. Y. K and D. H. Goh. 2010. "A study of Web 2.0 applications in library website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2(3): 203-211. https://doi.org/10.1016/j.lisr.2010.01.002
  16. Dickson, A. and R. P. Holley. 2010. "Social networking in academic libraries: the possibilities and the concerns." New Library World, 111(11/12): 468-479. https://doi.org/10.1108/03074801011094840
  17. Farkas, M. G. 2007. Social software in libraries: building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online. New Jersey: Information Today, Inc.
  18. Griffey, J. 2010. "Social networking and the library." Library Technology Reports, 46(8): 34-37.
  19. Sachs, D. E., E. J. Eckel, and K. A. Langan. 2011. Striking a balance: Effective use of Facebook in an academic library. Internet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16(1/2): 35-54. https://doi.org/10.1080/10875301.2011.572457
  20. Smith, G. 2007. Social software building blocks [online]. [cited 2013.1.14]. .
  21. Tripathi, M. and S. Kumar. 2010. "Use of Web 2.0 tools in academic libraries:A reconnaissance of the international landscape."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 Library Review, 42(3): 195-207. https://doi.org/10.1016/j.iilr.2010.07.005
  22. Xia, Z. D. 2009. "Marketing library services through facebook groups." Library Management,30(6/7): 469-478. https://doi.org/10.1108/01435120910982159
  23.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에서 2013년 1월 8일 검색.

Cited by

  1.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the Task Performance with Utilizing SNS by School Librarians vol.48, pp.4,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071
  2. An Study of Operational Strategy for Special Libraries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vol.48, pp.3,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335
  3. 공공도서관 정보화 실태 연구 - 2012년과 2014년 비교 - vol.26, pp.2, 201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2.199
  4. 행정기관 SNS 이용의 결정요인 vol.24, pp.3, 2015, https://doi.org/10.5859/kais.2015.24.3.95
  5. 국내 공공도서관의 트위터 이용에 관한 내용분석 vol.34, pp.1,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241
  6. 디지털 아카이브의 이용자 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소셜 태깅 활용 방안 연구 vol.34, pp.3,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269
  7. SNS를 활용한 학교도서관 마케팅 활성화 방안 연구 vol.51, pp.1, 2020, https://doi.org/10.16981/kliss.51.2020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