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assistance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2초

Competency Development in Urban Local Bodies for Implementing Public Private Partnership Projects in India

  • Devkar, Ganesh A.;Kalidindi, Satyanarayana N.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3권2호
    • /
    • pp.35-48
    • /
    • 2013
  • Weak competencies in urban local bodies (ULBs) for implementing 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projects has been recognized as a major hurdle in uptake of PPP model in India. In this contex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perception of urban PPP experts and ULB representatives on three aspects related to competency development, including, critical competencies for implementing urban PPP projects, approaches for competency development in ULBs and constraints faced by ULBs in development of competencies. The five critical competencies identified are project identification, project conceptualization, transaction design, PPP process management and contract management. The approach of training programs for municipal staff and elected representatives, and capacity building oriented technical assistance for implementing urban PPP projects have been preferred by survey respondents for competency development. The frequent transfer of municipal decision makers and low motivation among municipal staff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constraints for development of competencies.

지속가능한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 가든 조성 및 운영방안 연구 - 민간분양단지 및 공공임대단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of Management Plan for Sustainable Community Garden in Apartment Complex - Focused on Comparison General Apartment Complex and Public Lease Apartment Complex -)

  • 오주석;민병학;최정민;김세용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4호
    • /
    • pp.57-6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ing sustainable participation of community gardeners by comparing general apartment complex with public lease apartment complex by drawing indices for quantitative research. This research carried out interviews and statistical research with 319.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2 types of apartment, and satisfactions and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s also different from each sustainable in participating in community garden are also different from each type. Overall, however, participation of female citizens, public assistance, area of plot, and effectiveness of exchange can enhance participants' continuous participation.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 명확화와 그 역할 (The clarification of public social workers' job and their roles)

  • 김성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8권
    • /
    • pp.214-24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roles of public social workers and clarify their job. There were a few studies concerning them, and they suggested that it was needed to reform the delivery system or to supplement personnel. But they were almost normative. This study,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zed public social workers' daily works to suggest their desirable roles. Generally the job of public social workers consists of two functions. One is income maintenance function, the other is social services function concerned with economically disadvantaged. The result showed that these functions were meshed up to now. Especially, It also showed that although they performed mostly eligibility work related public assistance and general practices, they wanted to perform professional practices. Took into account their working conditions, it seemed to be desirable to clarify their job. Thus,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eligibility functions are the central aspects of the public social worker's roles, it is needed for them to provide selected access services. Second, if they wanted to perform social services, it would be needed to restrict their roles for case manager and broker.

  • PDF

공공 및 민간 부문 종사 근로자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 이해준;김은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2-25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Methods: Survey data on 23,602 workers who had worked in the public or private sector were obtained from the 2014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KWCS). Symptoms of depression were measured using the WHO-5 Well-being Index. Data were analyzed using a $x^2$ test, t-test, and multivariate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symptoms of depression. Results: First,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41.1 % in public sector employees and 43.4 % in private sector employees. Second, the factors commonly affecting depressive symptom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were residence area, cognitive demands, development opportunities,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social community at work, job rewards, and work-family conflict. In addition, age, company size, atypical work, ergonomic risks, quantitative demands, emotional demands, influence, and job insecurity were found to be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unique to private sector employees. Conclusion: Mental health programs including the employee assistance program (EAP)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fter considering the risk factors affecting depressive symptoms.

가구주 근로유형과 가계저축: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의 관점 (Householder's Working Type and Household Saving: A Perspective of the Precautionary Saving Behavior Theory)

  • 심영
    • 소비문화연구
    • /
    • 제15권1호
    • /
    • pp.93-118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의 관점에서 가구주 근로유형이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근로유형별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자료는 2009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KOWEPS) 자료로, 가구주 근로유형이 상용직과 비상용직(임시직, 일용직, 공공근로)인 가계로 한정하여 2009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 가구 총 6,207가구 중 2,463가구를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구주의 근로유형은 가계저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에서 제시하는 기대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즉, 상용직 가구주 가계가 임시직, 일용직 혹은 공공근로의 비상용직 가구주 가계보다 더 많은 예비적 저축을 하였고, 나아가 더 많은 예비적 자산을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근로유형별 가계저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가구주 근로유형별로 영향 요인 및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주로 월평균 총소비지출, 부채 유무, 순자산, 빈곤 여부, 가구원수, 기초보장 유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예비적 저축에 대한 기초보장의 정적 영향이었다.

한국의 노동시장 활성화 정책 특성과 취업 성과: 취업지원서비스와 맞춤형 사회서비스 중심 정책의 비교 (Analysis of Labor Market Activation Policy and Its Employment Outcomes: the Effects of Employment and Tailored Social Service Provision)

  • 류기락
    • 한국사회정책
    • /
    • 제19권3호
    • /
    • pp.149-183
    • /
    • 2012
  • 이 글은 한국의 노동시장 활성화 정책의 특성을 분석하고 취업 성과의 측면에서 주요 정책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로 우리나라에서도 기존의 공공부조 수급자뿐만 아니라 저소득 근로자 집단과 청년 미취업자 등을 대상으로 개별 집단 상담과 사례관리를 통해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활성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활성화 정책은 한편으로는 공공부조 수급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프로그램 참여 의무 및 급여 수급권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참여자에 대한 요구 강화 측면이 두드러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맞춤형 사례관리를 통해 취업장애요인을 제거하고 일반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촉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서비스 수단을 활용하는 역량 강화 측면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활성화 프로그램의 특성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활성화 정책 프로그램 전달체계와 정책수단의 효과를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에서는 취업지원서비스와 맞춤형 사회서비스 제공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화 정책의 취업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활성화 정책의 어떠한 프로그램 성격과 특징, 정책 수단이 공공부조 수급자와 저소득 근로자 집단의 노동시장 진입에 기여하는지 파악하였다. 더불어 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 수급자의 탈수급 결정 요인도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취업지원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활성화 정책은 저소득 근로자 집단뿐만 아니라 자활 참여자 집단에 대해서도 취업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취업의 질이라는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더 나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급자의 탈수급을 유인하는데 있어서는 맞춤형 사회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활성화 정책의 프로그램 전달체계 및 서비스 수단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중요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실업안전망 국제비교연구: 실업보험, 사회부조,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의 제도조합과 유형화 (A Comparative Study on Unemployment Insurance, Social Assistance and ALMP in OECD Countries)

  • 이승윤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345-375
    • /
    • 2018
  • 본 연구는 OECD 12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업보험, 사회부조, 그리고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제도배열로서 '실업안전망 정책조합'을 분석하며 레짐별 유사성 및 특수성을 구체화한다. 이를 통해 해당 국가들이 실업자에 대한 사회보장정책을 어떻게 구성하여 이들의 실직과 소득보장 문제에 대응하는지 비교분석하였고, 방법론으로는 퍼지셋 이상형 분석(fuzzy-set ideal type analysis)을 활용하였다. 2005년과 2010년의 정책조합을 분석한 결과, '부조형', '재진입과 소득보장 결합형', '재진입 집중형', '광범위한 실업안전망형', '부실한 실업안전망형', '소득보장 집중형'으로 대상 국가들의 실업안전망이 유형화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적으로 부실한 실업안전망 유형에 속하였고, 사회보험, 사회부조 그리고 적극적노동시장의 퍼지점수가 모두 본 연구의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최하위권이다. 부실한 실업안전망 유형에서도 구체적인 정책별 소속 점수를 살펴보면 사회부조 정책의 소속점수가 그나마 다소 높고 적극적노동시장 정책의 소속점수는 매우 낮았다. 부실한 실업안전망 유형에 속한 우리나라의 경우, 자산조사 방식의 소득보장제에 의존하여 급여를 제공하는 것은 재정적으로 부담이 가장 적은 정책으로 분석결과에서도 확대경향이 나타났으나,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사회부조 방식이 불안정노동자 및 실업자의 소득보장에 얼마나 지속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문제제기한다. 본 연구는 국가 간 비교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실업안전망 비교연구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논의에 기여하고, 실업과 관련한 정책들을 조합으로 구성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노동시장 변화와 정합한 실업안전망 설계를 위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도시 노숙자의 삶의 질 예측요인 (Factors Contributing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Urban Homeless)

  • 윤경아;노병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219-24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단축형(WHOQOL-BREF)을 사용하여 우리 사회의 대표적 빈곤층인 노숙자들이 자신의 삶의 질을 어떻게 평가하며, 또 이들의 삶의 질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20세 이상 된 185명의 노숙자이며, 조사기간은 2003년 9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이었다. 연구결과, 노숙자의 삶의 질이 낮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삶의 질 하위영역별로 예측요인이 다소 다르긴 하지만,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공공부조 수급, 인지된 건강상태, 음주, 알코올중독, 거주형태, 타인의 인정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숙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주거최우선정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고, 알코올중독 문제와 노숙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를 위한 대책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Sub-Surface Station Fire Evacuation Research and Best Practice

  • Dowens, Trevor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2권1호
    • /
    • pp.18-21
    • /
    • 2009
  • The basis of modem risk-based safety management is to focus on what might happen and ensure it is designed out of the system by robust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nalysis. However, in the real world things go wrong and it is essential to be prepared for the worst so that the response can minimise harm and loss of property and damage to the environment. Whilst some hazard mitigation measures are aimed at preventing incidents, others are venting escalation. The results of the tests concluded that the most effective means by the control room, both with and without, local station staff assistance using directive public address announcements and CCTV surveillance.

  • PDF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quatic Exc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in Community Elderly)

  • 장숙랑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2-130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quatic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among the community elderly. The subjects were 41 cases of aged over 65 who went to elderly college in Hawsung-Kun, Kyeongkee province. Seventeen of them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while twenty four subjects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June., 1999 to November., 1999.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author with the assistance of rehabilitation medicine doctor and physical therapist in the public health center. The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or 6 months in regular swimming pool.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X^2$ test, ANCOVA. paired t-test using SAS 6.12.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increments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and knee joints in experimental group after exercis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2. The physical pain score decreases significantly after the exercise in the experimental group only. 3.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lower level of depression after exercise than the level before the exercise, whereas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is level. These findings may indicate that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ange of motion of shoulder and knee joints and also effective in decreasing pain, the level of depression. Accordingly.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can be adopted as an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ommunity elder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