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ertal development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4초

Temporal Changes in the Local Expression of Central Hormone-Regulating Factors in Rat Testis

  • Si-On You;Han-Seo Yoon;Hye-Soo Kim;Jin-Soo Park;Sung-Ho Lee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8권1호
    • /
    • pp.21-28
    • /
    • 2024
  •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emporal changes in expression of some reproductive hormones in testis, originally found in hypothalamus and pituitary. Rats were sacrificed on postnatal day 23 (PND23; immature), pubertal (PND53) and PND 81 (young adult). The testicular RNAs were extracted, and semi-quantitative PCRs for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kisspeptin 1 (KiSS1),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ACAP), LH subunits and LH receptor were performed. Transcript levels of GnRH and KiSS1 at PND2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levels of PND53 and PND81 (p<0.001). PACAP mRNA level at PND2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PND53 and PND81 (p<0.001). The mRNA levels of both testis type and pituitary type luteinizing hormone β subunit (tLHβ and pLHβ, respectively) at PND23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levels of PND53 and PND81 (p<0.001). The mRNA level of glycoprotein hormone common alpha subunit (Cgα) at PND2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PND53 and PND81 (p<0.001). Present study revealed the intratesticular expression of KiSS1 and GnRH showed a very similar trend while the expression of PACAP in the testis showed reversed pattern. The expressions of LHβ subunits (tLHβ and pLHβ) were very low during immature stage then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puberty and early adulthood. Our attempt to study the local role(s) of intratesticular factors will be helpful to achieve precise understanding on the testis physiology and pathology.

성조숙증 혹은 조기 사춘기가 있는 여아에서 단기간의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 사용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nRH analogue o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precocious or early pubertal girls)

  • 임정숙;한헌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2호
    • /
    • pp.1370-1376
    • /
    • 2009
  • 목 적:성선자극호르몬 효능약제로 성조숙증을 치료하는 동안에 성선자극호르몬이 억제되고 성선 스테로이드가 감소되면 사춘기 발달동안의 골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가 있어, 성조숙증 혹은 조기 성성숙이 있는 여아에서 성선자극호르몬 효능약제 단독 혹은 성장호르몬과 같이 사용하여 치료하는 경우에 단기간 동안의 골밀도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성장클리닉을 방문한 여아들 중 특발성 성조숙증 혹은 조기 성성숙을 보이며 역연령에 비하여 골연령이 증가되어 있는 여아 40명(역연령 $9.0{\pm}1.5$세, 골연령 $11.6{\pm}1.3$년)을 대상으로, 26명은 성선자극호르몬 효능약제 단독으로 치료하였고(Group I), 14명은 성장호르몬과 병합요법(Group II)으로 치료하였다. 치료 전후에 골연령과 골밀도를 구하고, 역연령과 골연령에 대한 골밀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전체 환아에서 치료 전후에 역연령으로 비교한 골밀도는 정상범위에 있었으나, 골연령으로 비교해 보면 정상범위에 비하여 감소되어 있었다(P<0.05). 치료기간 동안의 골밀도의 표준편차점수는 역연령 기준으로는 변화가 없었으나, 골연령 기준으로는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치료 전후에 성선자극호르몬 효능약제 단독 치료군의 골밀도 표준편차점수는 역연령 혹은 골연령 기준으로 변화가 없었으나, 성장호르몬 병합 치료군의 골밀도 표준편차점수는 역연령 기준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골연령 기준으로는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결 론: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를 사용하는 동안 역연령에 따른 골밀도의 저하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골연령에 따른 골밀도의 저하는 관찰되어, 투약 중단 후 성선 기능이 회복되면 골밀도의 정상화의 가능성에 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겠다. 한편으로는 성장호르몬을 같이 치료한 경우에는 치료 경과 중 골밀도의 의미 있는 증가를 볼 수 있어 성선자극호르몬 효능약제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보인다.

소아 ${\cdot}$ 청소년 우울장애의 생물학적 연구 (BIOLOGICAL STUDIES IN CHILD AND ADOLESCENT DEPRESSION)

  • 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28-35
    • /
    • 1994
  • 성인기 우울증의 생물학적인 연구는 25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소아 또는 청소년기 우울증에 있어서의 생물학적인 연구는 아직 초보 단계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바에 의하면, 결론을 내리기는 시기 상조이나, 소아 또는 청소년기의 우울증에 있어서도 생물학적인 이상소견이 원인의 일부로 작용할 가능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소견은 연령이나 사춘기의 변화가 소아 또는 청년기의 우울증의 생물학적인 이상 소견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성인기내에서도 나이에 따라서 생물학적인 이상 소견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성인의 연령도 구분하여야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성인기에서의 연구가 소아 또는 청소년기의 생물학적인 소견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소아 또는 청소년기의 생물학적인 소견을 해석할 때에는 반드시 성장, 발달, 연령 및 사춘기의 변화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소견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는 정상 아동에 있어서의 신경전달물질계 및 수용체의 개체발생적인 과정이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 발달학적인 측면에서의 신경생물학적인 연구, 이와 행동상의 특징과의 상호관계가 규명되어야 하며, 이에는 동물실험 모델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왜냐 하면, 윤리적인 문제로 아동들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많은 제한점이 있기 때문이다.

  • PDF

Disturbing Effects of Chronic Low-dose 4-Nonylphenol exposing on Gonadal Weight and Reproductive Outcome over One-generation

  • Cha, Sunyeong;Baek, Jeong Won;Ji, Hye Jin;Choi, Jun Hee;Kim, Chaelim;Lee, Min Young;Hwang, Yeon Jeong;Yang, Eunhyeok;Lee, Sung-Ho;Jung, Hyo-il;Cheon, Yong-Pil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2호
    • /
    • pp.121-130
    • /
    • 2017
  • 4-Nonylphenol (NP) is a surfactant that is a well-known and widespread estrogenic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EDC). Although it has been known that the affinity of NP to ERs is low, it has been suggested that low-dose NP has toxicity. In the present study, the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on reproduction, and the weight of gonads, epididymis, and uterus were evaluated with the chronic lower-dose NP exposing. This study was designed by following the OECD test guideline 443 and subjected to a complete necropsy. In male, NP had an effect on the weight of the testis and epididymis in both $F_0$ and $F_1$. In females, NP decreased the weight of ovary and uterus in $F_0$ but not in pre-pubertal $F_1$ pubs. Fertility of male and female in $F_0$ or $F_1$ was no related with NP administration. The number of caudal-epididymal sperm by body weight (BW)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in both $F_0$ and $F_1$. Besides, the difference of the sperm number between generations was not detected. The number of ovulated oocytes was similar between groups in $F_0$,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NP 50 group of $F_1$. The litter size and sex ratios of offspring in $F_1$ and $F_2$ were not different. The accumulated mating rate and gestation period were not affected by the NP administration. Those results shows that chronic lower-dose NP administration has an effect of endocrine disruptor on the weight of gonads and epididymis of $F_0$ and $F_1$ but not in reproduct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hronic lower-dose NP exposing causes endocrine disruption in the weight of gonad and epididymis but not in the reproductive ability of next generations.

Effects of Neonatal Exposure of Di (n-butyl) Phthalate and Flutamide on Male Reproduction in Rats

  • Kim, Tae-Sung;Kim, Hyung-Sik;Shin, Jae-Ho;Lee, Su-Jung;Moon, Hyun-Ju;Kang, Il-Hyun;Kim, In-Young;Seok, Ji-Hyun;Oh, Ji-Young;Han, Soon-You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109-109
    • /
    • 2002
  • In recent reports, the multiple reproductive defects such as cryptorchidism, hypospadias, epididymal cysts, low sperm counts, and testicular cancers are increased in humans, and these changes were doubted by the chemicals with estrogenic or antiandrogenic activities in our environment. To compare the effects of neonatal exposure of di (n-butyl) phthalate and flutamide on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ve organs and to identify the specific mechanisms of these abnormalities related to the male reproducton, Sprague-Dawley neonate male rats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during 5-14 days after birth with corn oil (control), flutamide (0.05, 0.1, and 0.5 mg/animal) and DBP (5, 10, and 20 mg/animal). Animals were killed at 31 (immature) and 42 (pubertal) days of age respectively and blood was collected from abdominal aorta for serum testosterone analysis. Testes, epididymides, seminal vesicles, ventral prostate, levator ani plus bulbocavernosus muscle (LABC), cowpers glands and glans penis were weighed. Expression of steroid hormone receptors (AR and ER) was examined in the testes and ventral prostate. At 31 days of age, ventral prostate, seminal vesicles, LABC, and cowpers gland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lutamide (0.5 mg/animal) and DBP (20 mg/animal), but serum testosterone levels were not changed. Flutamide slightly delayed the testes descent at the high dose (0.5 mg/animal), but DB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testes descent at all doses. DBP and flutamid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R protein in the testes but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ERa and ER protein in the testes. At 42 days of age, ventral prostate, seminal vesicles, and cowpers glands weights were still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high dose of flutamide (0.5 mg/animal) and DBP (20 mg/animal), but the weights of testes and epididymides were not different. Serum testosterone decreased significantly in DBP treated animals and slightly, not significantly, in flutamide group. While DBP stil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AR protein in testis, flutamide recovered from downregulation of AR protein and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ERa and ER protein in the testes. Based on these results, flutamide and DBP have shown several similar patterns in reproductive abnormalitis, but some marked differences which may be caused by different acting mechanism.

  • PDF

성조숙증 여아에서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검사 결과의 분석 (Analysi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test results in girls with precocious puberty)

  • 최정윤;강현주;조원경;조경순;박소현;한승훈;정민호;서병규;이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2호
    • /
    • pp.1377-1382
    • /
    • 2009
  • 목 적:저자들은 성조숙증으로 내원한 여아들에서 GnRH 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이 검사의 결과를 더 단순하고 명확하게 이용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 중심성 성조숙증과 다른 원인을 감별하는 데 유용한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성조숙증의 진단과 감별을 위하여 GnRH 검사를 시행 받은 여아 54명(역연령 $7.8{\pm}1.0$세, 골 연령 $10.0{\pm}1.1$세)의 임상 자료와 GnRH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GnRH 검사는 100 mg 정맥주사 후 0, 30, 60, 90분에 채혈하였으며, LH 최고치 ${\geq}5.0IU/L$일 때 중심성 성조숙증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중심성 성조숙증 여아 40명에서 GnRH 자극 후 30분, 60분, 90분에 LH가 최고치에 도달한 여아는 각각 36명(90.0%), 3명(7.5%), 1명(2.5%)이었다. 그리고 30분, 60분, 90분까지 LH ${\geq}5.0IU/L$에 도달한 여아의 비율은 각각 92.5%, 100%, 100%이었다. 중심성 성조숙증 여아들의 최고치 LH/FSH 비는 $0.89{\pm}0.49$이었으며, 이 비가 1.0보다 큰 환아는 16명(40.0%)이었다. 최고치 LH/FSH 비가 1보다 큰 여아들은 최고치 LH/FSH 비가 1 이하인 여아들보다 역연령($8.3{\pm}0.6$세 vs. $7.7{\pm}1.0$세, P=0.033), 골 연령($10.9{\pm}0.8$세 vs. $9.7{\pm}1.1$세, P=0.001), 골 연령과 역연령의 차이($2.6{\pm}0.7$년 vs. $2.0{\pm}0.7$년, P=0.009)가 더 높았다. 유방 발달이 Tanner 단계 III 이상이었던 여아의 비율은 최고치 LH/FSH 비가 1보다 큰 군에서 더 높았다(93.7% vs. 41.7%, P=0.001). 결 론:여아의 중심성 성조숙증을 감별할 때에는 GnRH 정맥주사 후 30분과 60분의 LH 측정치가 가장 유용한 판정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 및 청소년 2형 당뇨병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ype 2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성용;신충호;양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6호
    • /
    • pp.754-763
    • /
    • 2002
  • 목 적 : 소아, 청소년기의 당뇨병은 대부분 1형 당뇨병으로 진단되어지나 최근에는 소아, 청소년에서도 2형 당뇨병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같은 양상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저자들은 소아, 청소년의 2형 당뇨병의 임상 양상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7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2형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소아, 청소년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뇨병의 진단기준에 합당한 환자 중에서 체질량지수 25 이상의 비만을 보인 경우, 2형 당뇨병의 가족력을 가진 경우, 진찰상 흑색 극세포증을 보인 경우, 그리고 혈청 혹은 소변 C-peptide가 정상 혹은 증가된 경우 등의 2형 당뇨병의 진단을 지지하는 소견들 중 2가지 이상을 보이고 항GAD 항체가 음성일 경우를 임의적으로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지 않거나 인슐린 치료를 받다가 끊을 수 있었던 경우는 위의 지지소견 들이 2가지 미만인 경우에도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하였다. 대상 환자 33명의 병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환자들의 진단 당시의 임상 양상, 인구 통계학적 양상, 검사결과, 치료방법 및 반응 등에 대해 임상적인 고찰을 하였다. 인슐린 치료를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인슐린을 사용한 군과 2년 안에 인슐린을 끊을 수 있었던 군의 임상적 양상에 대해 비교하여 보았다. 결 과: 진단시 나이는 평균 $13.4{\pm}1.8$세로 10대 초반이 다수였다. 23명의 환자 중 16명(69.6%)이 진단 시 사춘기에 해당하였다. 평균 체질량지수는 $24.3{\pm}4.2kg/m^2$이었고 $25kg/m^2$ 이상의 비만을 보인 경우가 32명 중 16명(50%)이었다. 2형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33명 중 24명(72.7%)이었다. 흑색극세포증은 6명(18.2%)에서 관찰되었다. 진단 당시 다음, 다뇨등의 증상을 보인 경우가 14명(42.4%)이었고, 요당이나 고혈당이 우연히 발견되어 진단된 경우가 19명(57.6%)이었다. 치료방법으로는 인슐린 단독치료가 25명(75.8%), 경구 혈당강하제 단독사용이 3명(9.1%)이었고,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한 경우가 3명(9.1%), 운동과 식이요법 외에 약물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가 2명(6%)이었다. 15명(45.5%)이 인슐린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끊을 수 있었다. 진단 당시 다음, 다뇨와 같은 전형적인 당뇨병의 증상은 2년 이상 인슐린을 쓴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결 론: 소아, 청소년에서의 2형 당뇨병은 증상의 발현이 뚜렷하지 않으며 사춘기, 비만, 가족력과 관계가 깊었다. 소변과 혈청에서의 C-peptide 농도 측정에서 증가 또는 정상 소견이 보일 경우, 췌세포 자가 항체가 음성인 경우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으나 좀 더 나은 1형 당뇨병과의 감별방법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수의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초기에 인슐린 투여를 필요로 하였고 혈당 조절이 호전된 후 끊을 수 있었으나 진단 시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인슐린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아청소년기에 1형 당뇨병으로 진단된 젊은 성인에서 대혈관 합병증의 발생과 이에 연관된 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macrovascular complications and factors related to these complications in young adults with childhood/adolescence-onset type 1 diabetes mellitus)

  • 강민재;김주화;정혜림;이영아;신충호;양세원;김유예;진선미;노정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220-226
    • /
    • 2009
  • 목 적 : 대혈관 합병증은 1형 당뇨병에서 주된 사망 원인으로 합병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중요하므로, 저자들은 소아-청소년기에 1형 당뇨병으로 진단된 젊은 성인에서 대혈관 합병증의 발생 여부를 알아보고자 혈관초음파 검사를 통해 동맥경화의 초기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 변화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18세 이전에 1형 당뇨병으로 진단받고 추적 관찰 중인 20대의 72명의 환자들과 건강한 2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에서 고혈압과 고지혈증의 빈도 및 관련 인자를 알아보았으며, 환자군과 대조군 간에 혈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측정한 FMD, mean IMT를 비교하였고, 위험인자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72명의 대상 환자 중 32명(44.4%)에서 고혈압이 있었고, 고혈압군은 정상 혈압군 보다 남자의 빈도(P=0.03)와 평균 체질량지수(P=0.04)가 더 높았다. LDLc이 100 mg/dL 이상으로 측정된 환자는 31명(N=69, 44.9%)이었고, 전체 환자군의 LDLc은 평균 당화혈색소(r=0.32, P=0.008), 하루 총 인슐린 사용량(r=0.27, P=0.02)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Mean IMT는 환자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더 두꺼웠고($0.43{\pm}0.06$ mm vs $0.39{\pm}0.06$ mm, P=0.03), FMD는 두 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환자군 내에서 사춘기발현 이후의 유병기간이 길수록 FMD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0.34, P=0.01). 결 론 : 20대의 1형 당뇨병 환자에서도 동맥경화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대혈관 합병증의 위험인자에 대한 선별검사 및 이의 조절이 필요하며, 1형 당뇨병이 있는 젊은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기의 환자에서도 대혈관 합병증의 위험인자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