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pathology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1초

소아 성학대에 대한 임상 연구 (A CLINICAL STUDY ON CHILD SEXUAL ABUSE)

  • 이수경;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184-193
    • /
    • 1994
  • 저자들은 성학대를 경험한 소아청소년에 있어서 가족내와 가족외의 성학대형태와 가해자의 특성, 소아의 연령과 학대 형태에 따른 증상의 차이, 부모의 반응, 치료과정등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1992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국립서울정신병원 외래를 방문한 소아청소년 성학대아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족내 성학대의 경우 가족외 성학대인 경우보다 좀더 만성적인 경과와 더 심한 가족병리를 보였고 학령전기에는 주로 신체적 증상과 불안이, 학령기에는 우울반응, 위축이 좀더 두드러졌다. 가족의 반응에서는 분노와 죄책감이 가장 흔하였고 치료는 위기개임중재, 놀이치료, 필요한 경우 입원치료가 시행되었다. 치료의 유지는 부모의 회피와 억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PDF

선택적 함구증을 보인 6세아동의 놀이치료 (THE PROCESS OF PLAYTHERAPY OF A CHILD WITH ELECTIVE MUTISM)

  • 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권1호
    • /
    • pp.138-146
    • /
    • 1992
  • 선택적 함구증을 보인 6세 아동의 놀이치료 과정을 통해 나타난 정신역동 및 치료과정을 발달학적 관점에서 소개하였다. 비지시적 지지적 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치료자와의 관계속에서 환아는 놀이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발달과정을 재경험하여 분리 불안 및 유기공포를 극복하고 자율성을 회복하므로써 증상의 소실과 함께 정상적 외디푸스시기의 발달을 이루게 되었다.

  • PDF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According to Parental Adult Attachment Style

  • Kim, Do Hoon;Kang, Na Ri;Kwack, You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1호
    • /
    • pp.17-25
    • /
    • 2019
  •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between different adult attachment styles. Methods: Forty-four parents who completed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were enrolled in our study. They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Revised, Korean-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 Results: The avoidant attachment sc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The anxious attachment scor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pathology, but a negative association with an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e secure attachment group exhibited a more autonomou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and a less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less parenting stress than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Dismissing-avoidant attachment par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arenting stress scores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Preoccupied and fearful-avoidant attachment parents displayed a more hostile parenting style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Dismissing-avoidant and preoccupied parents reported a les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depending on the adult attachment style. More specific education and interventions based on parental attachment type are necessary for parents.

개체 간 행동 양상 변이의 진화적 모델 (Evolutionary Model of Individual Behavioural Variations)

  • 박한선
    • 정신신체의학
    • /
    • 제27권1호
    • /
    • pp.1-12
    • /
    • 2019
  • 한 종에 속하는 개체의 행동 양상은 다양한 변이를 가진다. 같은 종 내에서 다른 행동적 표현형이 유지되는 현상은 진화적으로 적소 특화나 빈도의존성 선택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다. 특히 극단적인 행동 양상으로서의 정신병리가 높은 비율로 관찰되는 현상은 진화심리학의 난제 중 하나다. 행동 양상의 다양한 변이 및 정신병리를 진화적인 견지에서 접근하기 위한 몇 가지 틀이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체 간 행동 양상 변이에 관한 진화적 접근을 중심으로 동물 모델과 성격 요인모델, DSM-IV 다축 모델, FSD 모델, RDoC 모델 등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그 연구에 적용할 때 예상되는 장단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Implication of Social Rejection in Cognitive Bias Modification Interpretation Training in Adolescents With Eating Disorders

  • Youl-Ri Kim;Sohee Lee;Yeon-Sun C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5권2호
    • /
    • pp.101-106
    • /
    • 2024
  • Objectives: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tensify negative emotions and act as risk and maintenance factors for eating pathology in eating disorders. Rejection sensitivity refers to the tendency to react sensitively to a rejectio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cause of their high sensitivity to rejection. Cognitive bias modification interpretation (CBM-I) is a treatment developed to correct interpretation bias for social and emotional stimuli. In this review, we searched for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trends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of CBM-I for eating disorders. Methods: Five papers that met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final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d according to detailed topics (participant characteristics, design, and results). Results: The literature supports the efficacy of the CBM-I in reducing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and eating disorder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CBM-I targets emotional dysregulation in adolescent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nd serves as an additional strengthening psychotherapy to alleviate eating disorder symptoms.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CBM-I as an individualized adjunctive treatment for adolescents with eating disorders and social functioning problems.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아형별 신경심리학적 특성 비교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SM-IV SUBTYP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정성덕;이종범;김진성;서완석;배대석;천은진;서해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139-152
    • /
    • 2002
  • 연구 목적:ADHD 아동을 대상으로 DSM-Ⅳ 진단기준을 이용하여 세 아형으로 분류한 후, 임상적 특징과 신경심리학적 차이를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연구는 1998년 7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주의력결핍 증상을 주소로 영남대학교 부속병원 정신과를 내원하여 ADHD로 진단된 6~1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고, 신경정신과적 공존질환이나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아동은 배제하여 총 404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었다. DSM-Ⅳ 진단기준을 사용하여 아형으로 분류하였고, ADHD-C형이 234명(57.9%), ADHD-Ⅰ형이 156명(38.6%), ADHD-HI형이 14명(3.5%)이었다. 평균 연령은 9.63±2.49세였다. 약물치료 시작 전에, 정신병리평가, 지능 평가, 행동증상평가, 신경심리학적 실행기능에 대해 각각 평가를 하였다. 평가도구로는 정신병리를 평가하기 위해 한국아동인성검사(K-PIC)를, ADHD행동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4종의 설문지형 평가도구인 한국판 주의력결핍장애 평가척도-가정판(ADDES-HV), ADD-H comprehensive teacher’s rating scale(ACTeRS), 한국형 소아기 집중력 문제척도(CAP)와 SNAP을 이용하였다. 지능은 K-ABC와 KEDI-WISC로 평가하였고, 주의력 및 실행기능검사는 Conner의 연속수행검사(CPT), 위스콘신분류검사(WCST), 정지신호검사(SST)를 사용하였다. 결 과:세 아형 별 비교에서 ADHD-C형이 가장 많았고 ADHD-Ⅰ, ADHD-HI 순 이었다. 아형간 남녀성별에 따른 유병율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령은 ADHD-Ⅰ형이 가장 높았다(p<.001). 정신병리평가에서 비행 과잉행동 정신증 점수는 ADHD-C형과 ADHD-HI형이 ADHD-Ⅰ형보다 높게 나타났고(p<.05), ADHD-C형에서 가족관계의 문제와 자폐증 점수가 ADHD-Ⅰ형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5), 자아탄력성 점수는 ADHD-Ⅰ형 보다 낮았다(p<.05). 불안, 우울, 신체화 증상은 세 아형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형별 행동증상측정 결과 ADHD-C형이 ADHD-Ⅰ형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충동성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p<.05). 단, 교사가 평가하는 ACTeRS에 의한 결과는 ADHD-HI형에서 주의력 결핍 증상과 과잉행동점수가 더 높았다(p<.05). 아형간 지능의 비교에서는 K-ABC를 이용한 평가에서 ADHD-HI 형이 순차처리항목과 계산능력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5), KEDI-WISC를 이용한 평가에서는 ADHD- HI형은 대상수가 소수여서 비교할 수 없었으며, ADHD-C형과 ADHD-Ⅰ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PT, WCST, SST를 이용한 신경심리학적 실행기능의 비교에서 아형간 계량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결론적으로 ADHD 세 아형은 임상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실행기능상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향후 보다 잘 고안 된 연구와 발달중인 아동에 적절한 신경심리 평가 도구의 개발을 통해 결과를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판(韓國版) 식사태도(食事態度) 검사(檢査)-26에서 고득점(高得點)을 보인 한국(韓國) 일반(一般) 남성군(男性群)의 식사특성(食事特性)과 일반정신병리(一般精神病理) (Eating Traits and General Psychopathology of Korean Males Who Show High Score on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s Test-26)

  • 한기석;이영호;이민규;박세현;손창호;정영조;홍성국;이병관;장필립;윤애리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87-102
    • /
    • 1999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반인구에서 식사 장애에 대한 고위험 남성 군(high risk male group for the eating disorders)의 유병율을 알아보고 이들의 인구학적 특징, 식사 행동과 연관된 특정 및 일반 정신 병리에 있어 특징을 알아 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한국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국판 식사 태도 경사(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 KEAT-26)상 절단점 이상의 고득점을 보인 남성 군 52명을 최종 대상으로 여성 고득점군 208명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KEAT-26상 절단점 21 점 이상을 보였던 대상은 총 260/3062(8.5%)로 이중 남성이 52/260(20.0%), 여성이 208/260(80.0%) 이었으며(남성 대 여성의 비율 1 : 4) 전체 연구에 대한 비율은 남성이 52/3062(1.7%), 여성이 208/3062(6.8%) 이었다. 2) 인구학적 특정으로 평균 연령은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남성 군이 $29.13\pm7.87$세로 여성 군의 $27.00\pm6.81$세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14). 평균 신체 질량 지수(Body Mass Index : BMI)는 남성 군이 $23.05\pm3.12$로 여성 군의 $20.40\pm2.31$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분포 또한 신체 질량 지수가 20이하인 경우도 남성 군은 7/52명 03.5%) 인데 반해 여성 군은103/208명(49.5%)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신체 질병의 과거력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흡연율(p<0.01), 알코올 사용율(p<0.01) 및 한달 평균 알코올 사용량(p<0.01) 등은 모두 남성 군에서 여성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사회 경제적인 특징 중 직업을 제외하고는 경제 상태, 교육 기간, 가족 수, 결혼 상태, 종교 및 대도시, 중간 크기의 도시, 소도시 및 시골지역 등으로 나누어 본 거주지역 등이 모두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식사 특성으로 식습관 척도 점수는 남성 군이 $7.25\pm3.15$로 여성 군의 $8.88\pm3.91$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KEAT-26상 총 접수는 남성 군이 $25.80\pm4.87$ 여성 군이 $26.39\pm5.78$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 검사의 하위 척도인 마름에 대한 욕망(desire for thinness) 척도에서는 여성 군이 남성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음식에 대한 집착 척도(food preoccupation) 남성 군에서 여성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p<0.05) 두 군 모두 식사 태도 검사 상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도 질적인 내용에는 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외에 체중에 대한 통제 소재는 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음식 선호도에 있어 남성 군이 여성 군에 비해 야채 및 생선을 더 싫어하고 단음식을 더 좋아하는 특정을 보여 주었다(p<0.01). 5) Eysenck성격 척도 상 남성 군이 정신병적 경향성에서 여성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접수를 보였다(p<0.01). 이외에 다른 성격 차원 및 Beck우울 척도 및 건강 염려증 척도로 측정한 일반 정신 병리 상의 특정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상기 결과들은 우리 나라에서도 선진 외국과 비슷한 수준의 남성 식사 장애 환자들이 있을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상기 결과들은 식사 태도 검사 상 같은 고득점을 보여도 식사 관련 병리는 성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고, 남성 식사 장애 환자는 여성 식사 장애 환자보다 좀더 깊은 성격 병리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

  • PDF

조현병 및 조현정동장애 입원환자에서 혈청 염증표지자와 정신병적 증상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erum Inflammatory Marker and Psychotic Symptoms in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 김계환;이건석;김수진;이은규;송열매;박진영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4호
    • /
    • pp.193-198
    • /
    • 2012
  • Objectives Despite the growing research interest in the role of immunological markers in schizophrenia, a few studies, with conflicting results, have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level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schizophreni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serum hs-CRP with psychopathology in schizophrenia. Methods Fifty-five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were enrolled. Serum levels of hs-CRP were measured, and each patient was assess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Results In correlation analysis of hs-CRP with PANSS subscales, positive subscale score h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 = 0.271, p = 0.046). In independent t-test analysis, subjects with hs-CRP > 0.3 mg/dL (elevated CRP group, n = 43) had significantly higher PANSS positive subscale score (t = -3.273, df = 24.107, p = 0.003) than those with hs-CRP ${\leq}$ 0.3 mg/dL (normal CRP group, n = 12). Conclusions Elevated serum levels of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in schizophrenia are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psychotic symptoms.

양극성 I형 장애 환자와 발병하지 않은 일차 친족에서 인지조절의 비교 (Comparison of Cognitive Controls in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and Their Unaffected First-Degree Relatives)

  • 윤혜림;우선진;이상원;진보현;우정민;원승희
    • 생물정신의학
    • /
    • 제25권1호
    • /
    • pp.9-15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deficits of cognitive control among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and their first-degree relatives, and identify the possibility of cognitive control as an endophenotype of bipolar disorder. Methods The study included three groups: euthymic states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n = 55), unaffected first-degree relatives of probands with bipolar I disorder (n = 30), and a healthy control group (n = 51), that was matched on age, sex, and years of education. The AX version of the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 was used to examine cognitive control. Error rate, correct response times of each subsets (AX, BX, AY, BY), and d' as an indication of accuracy sensitivity index were calculated. Psychopathology, intelligence, and psychomotor speed were also assessed. Results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worse error rates in the AX (p = 0.01) and BX (p = 0.02) subsets and d' (p = 0.05) than the others. They also showed more delayed correct response times than the healthy control group and first-degree relatives in all subsets (p < 0.01). But first-degree relatives showed neither high error rates nor delayed correct response times than healthy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gnitive control is impaired in bipolar I disorder but less likely to be an endophynotype of bipolar I disorder.

  • PDF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심리치료 효과 개관 : 재난 생존자를 중심으로 (Review of Psychological Treatment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Focus on Survivors of Disaster)

  • 장은영;이현지;김대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9-78
    • /
    • 2016
  • Objective : Disaster causes psychological distress to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both direct and indirect exposure to traumatic events embedded in various realms of disaster experience. Optimal, well-planned treatment interventions should follow from the early acute period to recovery phase, extending up to several months later. In this contex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systemic review to gain comprehensive insights for disaster interventions. These need to be added to public policy, an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aster-related psychopathology. Here, we review the published studies on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disaster-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ethods : Specific psychological interventions regarded as effective treatments for have been selected for this review, such as CBT (Cognitive-Behavior Therapy), Exposure Therapy, EMDR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 Reprocessing), SIT (Stress Inoculation Therapy) and Psychoeducation. In addition, natural disasters, industrial disasters, and accidents involving aircraft and ships were also categorized as disasters, along with war and combat trauma. Results :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exposure therapy had the strongest research support for effectiveness, and c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choice treatment for disaster-related PTSD. The second line of treatment is EMDR, although this treatment modality has the advantage of reaching certain treatment improvements in fewer sessions. However, the effects of SIT and psychoeducation to the survivors of disasters, remains unclear at this point. Additionally, we propose the possibilities of using virtual reality component and imagery rescripting as modified forms of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exposure therapy. Conclusion :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exposure therapy, deemed effective treatments for various trauma, are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survivors from disasters. However, the efficacy of other interventions has not yet been examined methodologically in well-designed studies,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particular, futu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sinc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psychological interventions have similar effects on different types of disast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