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metric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2초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Fall Risk Perception Questionnaire-Short Version for Inpatients in Acute Care Hospitals

  • Choi, Jeeeun;Lee, Sujin;Park, Eunjin;Ku, Sangha;Kim, Sunhwa;Yu, Wonhye;Jeong, Eunmi;Park, Sukhee;Park, Yusun;Kim, Hye Young;Kim, Sung Reul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51-161
    • /
    • 2024
  • Purpose: Patients' perception of fall risk is a promising new indicator for fall prevention. Therefore, a fall risk perception questionnaire that can be used rapidly and repeatedly in acute care settings is require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hort version of the fall risk perception questionnaire (Short-FRPQ) for inpatients. Methods: For the psychometric measurements, 246 in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n acute care hospital. The construct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each item), convergent, and known-group validities were tested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Short-FRPQ. McDonald's omega coefficient was used to exa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reliability. Results: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t indices of the Short-FRPQ, comprising 14 items and three factors, appeared to be satisfactory. The Short-FRPQ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riginal scale, the Korean Falls Efficacy Scale-International, and the Morse Fall Scale. The risk of falls group, assessed using the Morse Fall Scale, had a higher score on the Short-FRPQ. McDonald's omega coefficient was .90. Conclusion: The Short-FRPQ present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As patient participation is essential in fall interventions, evaluating the fall risk perception of inpatients quickly and repeatedly using scales of acceptable validity and reliability is necessary.

Work Ability Index: Psychometric Testing in Aeronautical Industry Workers

  • Maria Eugenia Gonzalez-Dominguez;Elena Fernandez-Garcia;Olga Paloma-Castro;Regina Maria Gonzalez-Lopez;Maria Paz Rivas Perez;Luis Lopez-Molina;Jesus Garcia-Jimenez;Jose Manuel Romero-Sanchez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5권1호
    • /
    • pp.80-86
    • /
    • 2024
  • Background: The Work Ability Index (WAI) is an instrument that measures work ability. The wide dispersion of the WAI internationally has led to its adaptation for use in different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panish version of the WAI. Methods: A methodological design was used over an opportunistic sample of 233 workers in the aeronautical industry in Spain. Reliability was evaluat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Factorial validity, known groups,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tested. Results: The Cronbach's alpha and item-total correlation indicated an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rformed to evaluate the factorial validity, found adequate fit indices for a two-factor solution with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Factor 1, "Subjectively estimated work ability and resources", was composed of 3 subscales and factor 2, "Ill-health-related", of 2 subscales. Subscales 4 and 6 had loading in both factors. Workers under 45 years of age obtained higher significant scores than older ones. Convergent validity was also evidenced since WAI was highly correlated with self-assessment of health status. Conclusions: The Spanish version of the WAI has shown evidenc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is study, supporting its use in individual and collective health surveillance by occupational health professionals. The factorial solution that was found has previously been reported in another international context.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solve the discrepancies detected in the role of some subscales between other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udies.

노인의 일상활동수행에 대한 자기효능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Psychometrics of Task Self-Efficacy Scale for Korean Elderly)

  • 엄영란;송라윤;서연옥;전경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31-842
    • /
    • 199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ask Self-Efficacy Scale for activities of dally living (ADL). The Task Self-Efficacy Scale was developed by Roberts(1996) for low-intensity exercise study with older people to predict their performance of ADL. The scale was translated and back translated by bilingual persons, and then was modified to resolve variations in the translations. The Korean version of Self-Efficacy Scale for ADL was then administered to 193 elderly people including 95 hospitalized patients and 98 outpatients or healthy people. Face to face interview was used to fill out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each interview took approximately 30 minute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80 women and 112 men with an age range of 65 to 95 years(M=71 years) of whom 82.6% classified themselves as moderate or quite active Most subjects(80.2%) had an educ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or less. The Self-Efficacy Scale for ADL is measured on a 0 to 10 VAS, assessing three areas of ADL : self care activities, household tasks, and motor tasks. The higher the score is, the higher person's confidence in performing ADL. Psychometric testing revealed that the scale was found to be internally consistent, showing a Cronbach's alpha of .97 The scal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jects' level of activity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their health status. Moderate correlation with health-related hardiness scale also supported the validit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 scale represents the three sub-areas as suggested in the literature.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led to a three factor solution according to Kaiser's criterion, but the items were not strongly and cleanly loaded for the third factor. This can be explained in that, among the three sub-ADL areas of the self-efficacy scale, the areas of self care activities and household tasks seem to have similar levels of difficulty in performance with not enough differences for the self-efficacy sca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areas. Therefore, one factor solution was suggested since ADL can be seen as a unit of activities at similar level of difficulty in performance. One factor solution explained 68.1% of variance of the 19-item scale and all items were correlated over .6 with the factor, showing that the selected factor solution fits the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ask Self-Efficacy Scale for ADL was reliable and valid in producing useful information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interventions toward promot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 PDF

창업가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교육을 이수한 예비창업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ing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mpleted Prefounders)

  • 박지유;양해술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97-107
    • /
    • 2014
  • 본 연구는 창업의지 설정에 있어서 창업가 특성에 따라 창업의지의 상황에 영향이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특히, 중소기업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 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창업가 특성과 창업의지 간에 요인관계를 선행연구와 기존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벤처전문대학원생, 창업대학원생, 소상공인창업교육을 받은 예비창업자 등 총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성취성향, 혁신성향, 진취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 등이 창업가 특성에 따라 개인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 가운데 혁신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은 정(+)의 회귀계수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진취성향은 부(-)의 회귀계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계적으로는 매우 유의하지만 창업의지에 역효과를 나타내므로 층별(성별/연령)하여 다시 분석한 결과 남자 39세 이하(청년창업가)에서 진취성향이 정(+)의 회귀계수로 매우 유의하고 정도 높은 함수식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포괄적인 창업분야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창업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하여 적용할 때는 보다 세심한 분석이 요구된다.

  • PDF

한국어판 축약형 순간 스트레스 측정 도구(Trier Inventory for Chronic Stress: TICS)의 타당도 및 신뢰도 평가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Trier Inventory for Chronic Stress)

  • 류기욱;양용숙;최모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30-540
    • /
    • 2020
  • 생태순간평가(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는 대상자의 현재 경험과 행동을 일상생활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반복 측정하는 연구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를 통해 시간과 맥락에 따른 경험과 행동의 변화를 알 수 있다. Trier Inventory for Chronic Stress (TICS)는 순간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써 대상자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축약형 TICS를 한국판으로 번역 후 생태순간평가를 적용하여 수집된 자료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경찰서, 지구대에 근무하는 89명의 경찰 공무원으로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순간 스트레스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자 소지의 스마트폰에 설치하도록 하였다. 자료 수집은 1명의 대상자당 총 7일간 하루 4번 순간 스트레스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수집된 총 1163회의 순간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타당도 검증은 전문가 타당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점수와 상관관계 분석으로 하였고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 값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순간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도구로 활용하기 적합한 수준이었다(I-CVI=.83-1, RMSEA=.104, SRMR=.104, CFI=.948, TLI=.919, Cronbach's α =.839). 따라서 본 도구는 대상자의 순간 스트레스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트레스 대처 척도 12개 항목에 대한 심리측정 속성 (Item-Level Psychometrics of the 12 Items of the Coping Orientation to Problems Experienced Scale)

  • 남상훈;;이미정;;배수영;홍익표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3호
    • /
    • pp.65-80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라쉬 분석을 이용하여 12개 항목의 스트레스 대처 척도의 항목 심리측정 속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ICPSR(Inter-university Consortium for Political and Social Research)에서 제공하는 공공 자료를 활용하여 로스엔젤레스에 거주하는 노인 4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사용하여 척도의 일반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라쉬 분석의 내·외적합 지수의 제곱평균(Mean Square)과 표준값(ZSTD)를 통해 항목 적합도를 알아보고, 척도의 신뢰도와 쉬운 항목과 어려운 항목을 식별하기 위해 항목-난이도 계층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별과 연령 그룹에 대해 차등 항목 기능을 조사하였다, 결과 : 주성분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태처 척도의 12개 항목이 하나의 요인으로 구성되었음을 가정하였다. 라쉬 분석을 통하여 항목 2번이 부적합한 결과로 제거되었다(내적합 제곱평균=1.33, 내적합 표준값=5.05, 외적합 제곱평균=1.56, 외적합 표준값=7.15). 항목 2번을 제외한 11개 항목의 평가자 층(Person Strata)은 3.10으로 신뢰도 지수 0.81에 해당하는 값을 보였다. 차등 항목 기능을 조사한 결과 성별과 연령 그룹에 대한 차등 항목 기능은 없었다. 결론 : 라쉬 분석을 통해 개정된 COPE-11은 항목 간 심리측정 속성이 적절하여 측정 시 시간 단축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신과적 투약력이 없는 초발 주요 우울장애 청소년 환아들에서의 백질 구조적 연결성 감소 (Decreased White Matter Structural Connectivity in Psychotropic Drug-Naïve Adolescent Patients with First Onset Major Depressive Disorder)

  • 서은수;김지현;서상일;박소영;이전호;이종하;김인성;이문수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53-165
    • /
    • 2017
  • 연구목적 최근의 신경영상 연구들은 주요 우울장애의 기전을 인지 회로와 감정 회로 연결의 기능장애 즉, 후외방 전두피질과 전전두엽을 번연계로 연결하는 전측대상피질의 연결성 장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소아청소년 주요 우울장애에서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e, DTI)을 사용한 종전의 연구들은 양측 구상회속, 양측 하측 전두후두속, 좌측 전측대상피질, 좌측 상종속 등에서 신경연결의 감소를 보고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정신과적 투약력이 없는 초발 주요 우울장애 청소년에서의 신경 연결성을 DTI를 이용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방 법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을 내원한 청소년 환아들 중 정신과적 투약력이 없으며 주요 우울장애를 처음으로 진단받은 환아들(n=26, 남성 10명, 여성 16명) 및 대조군(n=27, 남성 5명, 여성 22명)을 모집하였다. 정신과적 면담, 지능지수, 해밀턴 우울척도를 포함한 심리검사, 확산강조영상을 포함한 MRI 검사가 항우울제 투약 전에 시행되었다. Fractional anisotropy(FA), radial diffusivity, mean diffusivity, axial diffusivity가 DTI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FMRIB Software Library-Tract Based Spatial Statistic가 사용되었다. 결 과 전체 뇌의 분석에서는 유의한 구조적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관심영역을 지정하여 시행한 분석을 하였을 때, 환아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측 상종속 부위에 유의미한 FA값의 감소를 보인 3개의 다발이 관찰되었다. 결 론 주요 우울장애를 진단받은 청소년 환아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DTI에 기반하여 우측의 상종속에 연결성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DTI를 통한 구조적 연결성은 정신과적 투약력이 없는 초발 주요 우울장애 청소년에서도 생체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