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theory

검색결과 724건 처리시간 0.018초

활동적인 노인의 일상적 활동 참여가 시민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와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Active elderly'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on Citizen Particip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Cohe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mall Community Selfishness)

  • 이주일;김태웅;김필현;이한송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2호
    • /
    • pp.47-68
    • /
    • 2020
  •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증가로 국내 고령인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인구 구조의 변화는 연령과 상관없이 노년기의 활동을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노년기 인구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활동이론에 기반을 둔 활동적 노년에 관심을 갖고 활동적인 노인의 소공동체활동 참여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활동적 노인의 일상적 활동과 소공동체활동 참여가 지역사회 문제해결이나 선거 참여 등 사회적 시민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와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공동체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노인 700명을 대상으로 일상적 활동 참여, 소공동체 응집성, 소공동체 이기주의, 시민참여를 측정하여 단계적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상적 활동 참여와 시민참여 간의 관계에서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사회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 점증하고 있는 노년기 인구의 활발한 시민참여가 사회에 미칠 영향력이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국가 및 이해관계자들이 노인의 일상적인 활동 참여와 소공동체 응집성 및 소공동체 이기주의 성향을 고려하여 노인들의 시민참여 정책이나 사회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시교차적 메타분석, 1999-2022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of Korean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1999-2022)

  • 조수진;박혜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3호
    • /
    • pp.361-40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시교차적 메타분석을 통해 1999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한국 부모들의 민주적인 양육 태도 증가, 한국 대학생들의 나르시시즘 수준 상승 및 한국의 개인주의화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증가했을 가능성과, 경제적 불평등의 증가, 계층 이동 가능성의 감소 및 취업 시장 불안정성의 증가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감소했을 가능성을 모두 고려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22년 사이에 출판된 한국 대학생 대상 자기효능감 연구 293개(연구 참가자 수 총 88,904명)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기효능감 척도 세 가지를 사용한 연구, 연구 참가자가 한국 대학생들인 연구, 자기효능감을 1회 측정한 횡단 조사 연구 및 분석에 필요한 통계치를 제시한 연구들이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1999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20년 전, 15년 전, 10년 전, 5년 전 및 동 시점의 사회적 지표들과 자기효능감의 상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시점에서 출생률과 소비자 물가등락률은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국민총소득은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최초로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시교차적으로 분석하고, 시교차적 메타분석 기법의 적용과 다양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세대론을 간접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논하였다.

자녀의 건강한 기독교 정체성 형성을 위한 신 표상 및 부모 이미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리주토(Ana-Maria Rizzuto)의 신 표상(God's image)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s Image and Parental Image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Christian Identity of Children : with an Emphasis on Ana-Maria Rizzuto's Theory of God's Image)

  • 이경숙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7권
    • /
    • pp.203-223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자녀의 상호관계 속에서의 경험들이 하나님 표상, 즉 신 표상(God's image)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그것은 건강한 기독교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성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자녀의 건강한 기독교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에 어떠한 함의를 주는가를 함께 살펴보게 될 것이다. 에릭슨(Erikson), 프로이트 (Freud), 특히 리주토(Rizzuto)의 신 표상 이론을 토대로, 자녀가 부모와의 관계성 속에서 획득하는 부모 이미지가 이후 자기 삶의 근거와 토대가 되는 하나님 이미지, 즉 신 표상과 어떤 상관성이 있는가를 심도 있게 성찰한다. 부모는 어린 시절부터 아이의 생존과 안위를 가능케 하는 양육자, 보호자, 절대자와도 같은 존재이다. 아이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갖게 되는 부모 이미지(parental image)는 신 표상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게 된다. 아이와 부모가 처한 실존적 한계와 제한 속에서, 아이가 부모로부터 받게 되는 억압, 처벌, 분노 등의 부정적 경험은 아이의 내면에 다양한 심리적 상처를 남기게 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아이에게 가해지는 부정적 경험의 총화는 아이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 수준을 넘어서면 안 된다는 것이다. 또한 자녀는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다음과 같은 것을 느낄 수 있도록 안내되어야 한다. 부모의 훈육 행동은 자녀인 자기를 지키고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기본 신뢰를 부모로부터 느낄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녀 양육 및 교육에 있어서 이런 중요한 전제가 지켜지지 않으면, 그에 따른 왜곡된 부모 이미지가 왜곡된 신 표상을 야기하게 된다. 신뢰할 수 없거나 억압적이고 폭력적인 신 표상은 올바른 신앙이나 건강한 기독교 정체성 형성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한다. 이러한 교육심리학 토대 위에서 건강한 기독교 정체성 형성을 위한 바람직한 자녀 교육은 전통적 권위적 억압적 방식을 벗어나, 상호적, 인격적, 탈인습적 교육을 향해 나아가야 함을 논의함으로써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상표자산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 아시아와 유럽의 의류시장을 중심으로 - (Brand Equity and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Products: A Cross-Cultural Study in Asia and Europe)

  • 김경훈;고은주;;;이동해;정홍섭;전병주;문학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45-276
    • /
    • 2008
  • 본 연구는 상표자산의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상표자산 구성요소와 상표자산 영향요인간의 관계 그리고 상표자산 구성요소와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한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상표자산관리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보탐색은 제품지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상표태도와 상표지식은 상표 충성도와 상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표충성도와 상표가치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천의 경우, 한국에서는 제품지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영국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