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type viru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Role of a Third Extracellular Domain of an Ecotropic Receptor in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Infection

  • Bae Eun-Hye;Park Sung-Han;Jung Yong-Ta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447-452
    • /
    • 2006
  • The murine ecotropic retroviral receptor has been demonstrated to function as a mouse cationic amino acid transporter 1(mCAT1), and is comprised of multiple membranespanning domains. Feral mouse (Mus dunni) cells are not susceptible to infection by the ecotropic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MoMLV), although they can be infected by other ecotropic murine leukemia viruses, including Friend MLV and Rauscher MLV. The relative inability of MoMLV to replicate in M. dunni cells has been attributed to two amino acids $(V_{214}\;and\;G_{236})$ located within the third extracellular loop of the M. dunni CAT1 receptor (dCAT1). Via the exchange of the third extracellular loop of the mCAT1 cDNA encoding receptor from the permissive mouse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cDNA encoding for the nonpermissive M. dunni receptor, we have identified the most critical amino acid residue, which is a glycine located at position 236 within the third extracellular loop of dCAT1. We also attempted to determine the role of the third extracellular loop of the M. dunni CAT1 receptor with regard to the formation of the syncytium. The relationship between dCAT1 and virus-induced syncytia was suggested initially by our previous identification of two MLV isolates (S82F in Moloney and S84A in Friend MLV), both of which are uniquely cytopathic in M. dunni cells.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existing between dCAT1 and the virally-induced syncytia, we infected 293-dCAT1 or chimeric dCAT1 cells with the S82F pseudotype virus. The S82F pseudotype virus did not induce the formation of syncytia, but did show increased susceptibility to 293 cells expressing dCATl.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S82F-induced syncytium formation may be the result of cell-cell fusion, but not virus-cell fusion.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에 의한 합포체 형성 기작 분석 (Analysis of Syncytium Formation Mechanism induced by Ecotropic Murine Retrovirus)

  • 배은혜;박성한;정용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0-234
    • /
    • 2006
  • 레트로바이러스의 합포체(syncytia)형성 기작 연구를 위해 합포체 형성을 유도하는 새로운 ecotropic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Friend murine leukemia virus)변이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의 외막에 존재하는 당단백질 중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의 아미노산을 변화시키면 합포체를 형성할 수 있음이 이미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합포체 유도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 외막 당단백질을 가진 pseudotype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로 부터도 이러한 융합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마우스 세포주인 M. dunni에 pseudotype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결과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매개에 의한 바이러스-세포간 융합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합퐁체 형성이 바이러스 복제가 가능한 합포체 유도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에만 일어남을 나타낸다. 또한 ecotropic 마우스레트로바이러스 수용체의 농도와 막 융합과의 상관관계도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Defective Interfering HIV-1 Pseudotypes Carrying Chimeric CD4 Protein

  • Park, Seung-Won;Ye, Zhiping;Schubert, Manfred;Paik, Soon-Young
    • BMB Reports
    • /
    • 제34권6호
    • /
    • pp.566-572
    • /
    • 2001
  • Chimeric CD4 proteins were assembled. They contained the entire CD4 ectodomain that is linked to different membrane anchors. Membrane anchors consisted of either glucosyl phosphatidyl inositol (gpi), the transmembrane and cytoplasmic regions of HIV-1 Env protein, or the vesicular stomatitis virus G glycoprotein, respectively. The HIV-1 co-receptor CXCR4 and CD4 were independently inserted into viral envelopes. We compared the insertion of six different CD4/CXCR4 constructs into HIV-1 envelopes, as well as their functionality in targeting and specific infection of cells that constitutively express the HIV-1 Env protein. All of the six different HIV-1 (CD4/CXCR4) pseudotypes were able to transduce Env (+) cells at similar efficiency. In addition, stable transduction of the Env (+) recipient cells demonstrated that all chimeric proteins were functional as receptors for Env when inserted into HIV-1 envelopes. In fact, these results demonstrate for the first time a stable transduction by a targeted HIV-1 pseudotype virus.

  • PDF

C형 돼지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PERV)의 C-말단 외막당단백질에 의한 재조합 PERV-A/C의 감염력 조절 (The Infectivity of Recombinant Porcine Endogenous Retrovirus (PERV-A/C) Is Modulated by Membrane-Proximal Cytoplasmic Domain of PERV-C Envelope Tail)

  • 김새로미;박상민;이규준;이용진;배은혜;박성한;임지현;정용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5-20
    • /
    • 2010
  • 돼지를 이용한 이종간 장기이식은 인간 세포주를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돼지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존재로 인해 실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PERV (Porcine Endogenous Retrovirus: PERV)-A와 PERV-B는 in vitro 상에서 인간 세포주와 돼지 세포주를 동시에 감염시킬 수 있으나 PERV-C는 단지 돼지 세포주만 감염시킬 수 있다. 또한 PERV-A와 PERV-B 또는 PERV-A와 PERV-C사이에 재조합이 일어나 새로운 위험한 바이러스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다. 최초의 재조합 바이러스인 PERV-A14/220은 대부분 PERV-C의 유전자로 구성 되어있으며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만 PERV-A의 외막 유전자로 재조합이 되어 있는데 PERV-A보다 500배 이상 높은 감염가를 가진다. PERV-A14/220의 경우 PERV-A 외막 단백질 140 번째 아미노산과 PERV-C 외막 PRR (proline rich region) 부위가 높은 감염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막 융합에 관여하는 PERV-C의 세포질쪽 C-말단 부위 또한 재조합 바이러스의 높은 감염가에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PERV-A/C의 재조합 외막 당단백질을 가진 pseudotype 바이러스를 만들어 사람 세포주에서 감염가를 측정하였는데 PERV-A 보다 재조합 바이러스가 10배 이상 높은 감염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PERV-C의 C-말단 막당단백질에 존재하는 양친매성 부위가 재조합 바이러스의 높은 감염가에 관여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