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검색결과 2,952건 처리시간 0.027초

강낭콩 종자에서 Pseudomonas savastanoi pv. phaseolicola의 검출을 위한 PCR 프라이머의 개발 (Development of PCR Primers to Detect Pseudomonas savastanoi pv. phaseolicola from the Bean Seeds)

  • 조정희;정민정;송민지;임규옥;이혁인;김정희;백지현;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9-135
    • /
    • 2010
  • 강낭콩 종자로부터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에서 halo blight(달무리마름병)을 일으키는 종자 전염 병원세균인 Pseudomonas savastanoi pv. phaseolicola를 검출하는 PCR 방법을 개발하였다. 프라이머 Psp-JH-F와 Psp-JH-R는 오직 Pseudomonas savastanoi pv. phaseolicola로 부터 513 bp 크기의 DNA를 증폭하였다. 1차 PCR 증폭 산물의 안쪽에서 디자인 한 nested PCR 용 프라이머인 psp-JH-F-ne and psp-JH-R-ne는 오직 Pseudomonas savastanoi pv. phaseolicola로부터 169 bp 크기의 DNA를 증폭하였다. 이들 프라이머들은 강낭콩, 완두, 대두 등을 포함 콩과 종자 추출액으로부터 어떤 비특이적 DNA도 증폭하지 않았다. 인공적으로 병원균을 접종한 강낭콩 종자를 이용하여 병원균 검출 민감도를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nested PCR 방법이 ELISA나 선택배지 보다 훨씬 높은 민감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PCR방법들은 강낭콩 종자로부터 Pseudomonas savastanoi pv. phaseolicola를 검출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식중독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천초근 추출물의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Rubia akane Nakai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장혜정;정정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89-394
    • /
    • 2005
  • 약리실험 결과 강심작용, 지혈촉진작용, 항균작용, 항암작용 등이 밝혀진바 있는 천초근을 이용하여 항균성 및 천연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색하여 보았다. 먼저 천초근의 뿌리성분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aetate, methanol 및 증류수를 이용하여 항균성분을 추출하여 9종의 식중독균(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 Escherichia coil, Salmonella Typhi,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eruginosa, Shigella sonnei)에 추출물의 농도를 250ppm, 500 ppm, 1,000ppm으로 달리하여 disc method로 실험한 결과 Salmonella Typhimurium애서 아주 약한 clear zone이 형성되긴 하였으나 거의 모든 균에서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clear zone이 형성된 균은 Pseudomonas aeruginosa였고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비례하여 항균효과가 크게 드러났다. 또 methanol 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잘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ethylacetate, chloroform, petroleum ether, 증류수 순이었다. 항균활성이 가장 잘 나타난 천초근의 methanol 추출물과 또 다른 겨우살이 추출물을 사용한 상승효과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결과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cereus와 그람 음성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상승적인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천초근의 methanol 추출물이 Bacillus ce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해 본 바 천초근 추출물의 농도가 진해짐에 따라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seudomonas aeruginosa에서 더 두드러지게 증식이 억제되었다. 또 72시간 동안 그 성장 억제 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黃連, 秦皮, 秦皮散이 綠膿菌性 角膜炎에 미치는 效果에 관한 實驗的 硏究 (The Effect of Coptidis Rhizoma, Feaxini Cortex, Jinpisan(秦皮散) on Experimental Pseudomonas aeruginosa Keratitis.)

  • 최규동;채병윤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35
    • /
    • 1999
  • Coptidis Rhizoma, Fraxini Cortex, Jinpisan(秦皮散) have been as eye washes of inflammatory eye disease in the oriental medicine. Especially Jinpisan(秦皮散) has been used for the disease which is similar to Peudomonas aeruginisa keratitis. This research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ptidis Rhizoma, Fraxini Cortex, Jinpisan(秦皮散), on Peudoronas aeruginisa keratitis. Pseudomonas aeruginosa keratitis causes a deep rapid intense ulceration which often leads to perforation of the cornea within 48 hours. In this research, we induced keratits in the rabbits by inoculating Pesudomonas aeruginosa(9027) and observed the effect on the keratitis and the irritation against the external eye. Also we mesured the minimum inhibitory consentration(MIC) of Coptidis Rhizoma, Fraxini Cortex, Jinpisan(秦皮散) by agar diliution method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es by disk method. The tested bacteria were as follows : a) Pseudomonas aeruginosa (9027), b) Streptococcus pneumoniae(6303), c) Staphylococcus epidermidis(12228), d) Staphylococcus aureus(6538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groups which were applied eye washes of Fraxini Cortex, Jinpisan reavealed a significant effect, but the group applied eye wash of Coptidis Rhizoma reveaded no effect on Pseudomonas aeruginosa keratitis. 2. Applying eye washes of Coptidis Rhizoma, Fraxini Cortex, Jinisan revealed an irritation against external eyes. 3. Coptidis Rhizoma showed an anti-bacterial activity on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ucoccus aureus by agar diliution method 4. Coptidis Rhizoma showed an anti-bacterial activity on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by disk method. 5. Fraxini Cortex showed an anti-bacterial activity on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by agar diliution method 6. Fraxini Cortex showed an anti-bacterial activity on Pseudomonas aeruginosa, Si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1ococcus aureus by disk method. 7. Jinpisan showed an anti-bacterial activity on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by agar diliution method. 8. Jinpisan showed an anti-bacterial activity on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pneumoniae,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by disk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Fraxini Cortex, Jinpisan(秦皮散) are recognized to have an effective treatment on the Pesudomonas aeruginosa keratitis, so this experiment is thought to be a basic ingredient in proving the effect of Fraxini Cortex, Jinpisan which is applied many in documents and clinical medicine. In the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y and results of treatment on the Pesudomonas aeruginosa keratitis, Jinpisan(秦皮散) was more effective than Coptidis Rhizoma, Fraxini Cortex.

  • PDF

저장유통 조건에 따른 오징어 품질예측 모델링 (Kinetic Modeling for Predicting the Quality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 김소이;신지영;김현석;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3-180
    • /
    • 2022
  • 오징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항목 들이 있으나 현장에서 소비자 및 유통업자들의 경우 주관적인 관능평가에 의존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어류 구매의사 결정에 부패취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관능적 평가를 입증 할 수 있는 과학적인 품질인자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온도와 저장시간에 따른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과학적 품질인자로는 TVC, Pseudomonas spp., pH, VBN 으로 선정하였으며 세 가지 온도 조건에서 보관하였다. 이취발생검지시점은 R-index를 이용해 측정하고 kinetic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모델링 결과 활성화 에너지는 이취발생검지 시간이 51.210 kJ/mol, TVC는 42.888 kJ/mol, Pseudomonas spp.는 50.283 kJ/mol, VBN은 72.594 kJ/mol, pH는 41.990kJ/mol 으로 나타났다. Pseudomonas spp., TVC, pH, VBN 순으로 이취발생검지 시간의 활성화 에너지에 근사하였으며, 특히 Pseudomonas spp.는 이취발생검지 시간의 활성화 에너지와 가장 유사하였다. 따라서 오징어의 이취발생 indicator는 이취발생시간과 가장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는 Pseudomonas spp.로 판단 할 수 있었다.

Pseudomonas sp. BCNU 106이 생산하는 유기용매 내성 리파아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Organic Solvent Stable Lipase from Pseudomonas sp. BCNU 106)

  • 최혜정;황민정;김동완;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03-607
    • /
    • 2016
  • 유기용매 내성 세균 Pseudomonas sp. BCNU 106으로부터 생산된 리파아제 조효소액은 pH 4-10의 넓은 범위의 pH와 37℃에서 매우 안정적이었다. BCNU 106의 리파아제 안정성은 25% xylene, hexane, octane, toluene, chloroform 및 dodecane에서 증가하였으며, 상업적인 고정화 효소와 비교해도 우수한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Cu2+, Hg2+, Zn2+ 및 Mn2+ 존재 하에서 110% 이상의 상대활성을 나타낸 반면에, Fe2+에서는 효소활성이 억제되었다. 게다가 계면활성제인 tween 80과 triton X-100 및 SDS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유지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유기용매 내성 Pseudomonas sp. BCNU 106의 리파아제는 고정화 효소에 못지않은 효소 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함이 밝혀져 다양한 산업공정에서 잠재적인 생물촉매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seudomonas fluorescens에 있는 하나의 Plasmid가 말론산 대사에 관련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증거 (Evience that a Plasmid Endoces Genes for Metabolism of Malonte in Pseudomonas fluorescens)

  • 김유삼;김은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2-197
    • /
    • 1994
  • 말론산을 탄소원으로 하여 성장하는 Pseudomonas fluorescens에서 60 kb 정도의 plasmid를 발견하였다. 이 plasmid를 curing한 Pseudomonas는 malonate 배지에서 자라지 못하였고 plasmid도 소실되었다. 또한 이 plasmid를 transformation과 conjugation으로 각각 E. coli와 cured P. fluorescens로 이동시킨 결과 이 plasmid를 받은 transformed E. coli와 conjugant P. fluorescens는 malonate를 탄소원으로 하여 성장하였고 malonate 대사에 관련된 효소인 malonate decarboxylase와 acetyl-CoA synthetase의 활성이 측정되었다. Western blotting을 통하여 tansformed E. coli에서 P. fluorescens와 동일한 acetyl-CoA synthetase가 malonate에 의해 induction됨을 확인하였다.

  • PDF

고용존산소 농도에서의 산소내성 Pseudomonas aeruginosa 돌연변이주 M-10 생장거동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Growth under High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 Selection of the High Dissolved Oxygen Resistant Mutant pseudomonas aeruginosa M-10)

  • 이항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3-288
    • /
    • 1999
  • 본 연구를 통하여 활성슬러지중의 주요 세균인 Pseudomonas aeruginosa를 이용한 생장 특성과 세포 생장에 있어서의 고DO 농도의 영향에 대한 특성을 이용, 페수처리계의 응용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균은 DO 농도의 증가에 따라서 세포 수율은 14배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포 수율의 감소는 압력의 증가에 의한 것이 아니라 DO 농도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낮은 DO 농도에서도 세포 수율의 감소효과를 가질 수 있는 변이주를 변이원 NTG 농도 100 ${\mu}$g/㎖, 30${\circ}C$, 1시간 처리하여 얻은 다음 D-cycloserine에 의한 농축배양을 통해 목적 변이주를 얻었다. 이 목적 변이주에 대한 세포 수율은 DO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그 수율은 DO 농도 36 ppm에서 야생주에 비교할 때, 약 55%의 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종래의 폭기방식을 채용할 경우에도 슬러지량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oft contact lens에 있어서 천연보존제와 합성보존제의 살균효과 : 주사 전자현미경적 관찰 (Effects of natural and chemical disinfectants on soft contact lens infected with Pseudomonas aeruginosa :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 김인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69
    • /
    • 2003
  • 본 연구는 천연보존제인 자몽씨 추출물과 합성보존제인 $H_2O_2$를 사용하여 soft contact lens 착용시 각막염의 원인중 하나인 Gram negative bacteria인 Pseudomonas aeruginosa 대한 살균효과를 알아보았다. Pseudomonas aeruginosa는 4주간 배양하여 포낭 형태를 이루게 한 다음 $7{\times}10^6CFU/m{\ell}$의 현탁액에 soft contact lens를 오염시킨 후 천연보존제와 합성보존제의 살균 효과를 비교하였다. 현탁액에 담군 120분후 균의 생존률은 천연보존제는 $1{\times}10^3CFU/m{\ell}$ 합성보존제는 $0.5{\times}10^2CFU/m{\ell}$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합성보존제의 경우 눈에 자극감이나 화학적 안 외상을 줄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자몽씨 추출액과 같은 인체에 무독한 천연 보존제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enetic Structure of xyl Gene Cluster Responsible for Complete Degradation of (4-Chloro )Benzoate from Pseudomonas sp. S-47

  • Park, Dong-Woo;Lee, Kyoung;Chae, Jong-Chan;Kudo, Toshiaki;Kim, Chi-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483-489
    • /
    • 2004
  • Pseudomonas sp. S-47 is a bacterium capable of degrading benzoate as well as 4-chlorobenzoate (4CBA). Benzoate and 4CBA are known to be degraded via a meta-cleavage pathway characterized by a series of enzymes encoded by xyl genes. The meta-cleavage pathway operon in Pseudomonas sp. S-47 encodes a set of enzymes which transform benzoate and 4CBA into TCA cycle intermediates via the meta-cleavage of (4-chloro )catechol to produce pyruvate and acetyl-CoA. In the current study, the meta-pathway gene cluster was cloned from the chromosomal DNA of S-47 strain to obtain pCS1, which included the degradation activities for 4CBA and catechol. The genetic organization of the operon was then examined by cloning the meta-pathway genes into a pBluescript SKII(+) vector. As such, the meta-pathway operon from Pseudomonas sp. S-47 was found to contain 13 genes in the order of xylXYZLTEGFlQKIH. The two regulatory genes, xylS and xylR, that control the expression of the meta-pathway operon, were located adjacently downstream of the meta-pathway operon. The xyl genes from strain S-47 exhibited a high nucleoside sequence homology to those from Pseudomonas putida mt-2, except for the xylJQK genes, which were more homologous to the corresponding three genes from P. stutzeri AN10. One open reading frame was found between the xylH and xylS genes, which may playa role of a transposase. Accordingly,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the xyl gene cluster in Pseudomonas sp. S-47 responsible for the complete degradation of benzoate was recombined with the corresponding genes from P. putida mt-2 and P. stutzeri AN10.

Polyhydroxyalkanoate (PHA) Production Using Waste Vegetable Oil by Pseudomonas sp. Strain DR2

  • Song, Jin-Hwan;Jeon, Che-Ok;Choi, Mun-Hwan;Yoon, Sung-Chul;Park, Woo-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8호
    • /
    • pp.1408-1415
    • /
    • 2008
  • To produce polyhydroxyalkanoate (PHA) from inexpensive substrates by bacteria, vegetable-oil-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a rice field using enrichment cultivation. The isolated Pseudomonas sp. strain DR2 showed clear orange or red spots of accumulated PHA granules when grown on phosphate and nitrogen limited medium containing vegetable oil as the sole carbon source and stained with Nile blue A. Up to 37.34% (w/w) of intracellular PHA was produced from corn oil, which consisted of three major 3-hydroxyalkanoates; octanoic (C8:0, 37.75% of the total 3-hydroxyalkanoate content of PHA), decanoic (C10:0, 36.74%), and dodecanoic (C12:0, 11.36%). Pseudomonas sp. strain DR2 accumulated up to 23.52% (w/w) of $PHA_{MCL}$ from waste vegetable oil. The proportion of 3-hydroxyalkanoate of the waste vegetable-oil-derived PHA [hexanoic (5.86%), octanoic (45.67%), decanoic (34.88%), tetradecanoic (8.35%), and hexadecanoic (5.24%)] showed a composition ratio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rn-oil-derived PHA. Strain DR2 used three major fatty acids in the same ratio, and linoleic acid was the major source of PHA production. Interestingly, the production of PHA in Pseudomonas sp. strain DR2 could not occur in either acetate- or butyrate-amended media. Pseudomonas sp. strain DR2 accumulated a greater amount of PHA than other well-studied strains (Chromobacterium violaceum and Ralstonia eutropha H16) when grown on vegetable oil. The data showed that Pseudomonas sp. strain DR2 was capable of producing PHA from waste vegetable 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