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unus mume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4초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Extract against Vibrio vulnificus)

  • 하태만;전두영;임현철;윤연희;신미영;윤기복;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3-169
    • /
    • 2017
  •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액의 항균활성을 측정함으로서 다소비 식품인 수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균주는 수산물, 수족관수, 해수, 갯벌에서 분리된 V. vulnificus 28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V. vulnificus 28주 모두에서 vvhA 유전자가 검출되고 good identification 이상의 생화학 동정 결과를 나타내어 V. vulnificus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V. vulnificus는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 항생제에 감수성을 나타내어 환자 발생 시 이 두 종류의 항생제가 치료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V. cholerae NCCP 13589와 V. parahemolyticus NCCP 11143 표준균주 모두 매실 추출물 2.5%와 5%에서 생육 저지환을 나타내었다. 또한 V. vulnificus 분리균주와 V. vulnificus NCCP 11135 표준균주 모두 매실 추출물 1.25%, 2.5%, 5%에서 생육 저지환을 나타내어 V. cholerae와 V. parahemolyticus에 비해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V. vulnificus에 대한 매실 추출액 최소살균농도가 1.6%로 나타나 수산물 중 V. vulnificus 생육억제에 매실 추출물이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산물과 관련된 비브리오균 중 패혈증을 일으키는 V. vulnificus균은 국내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환자와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수산물 생식 시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매실 추출물 활용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매실(Prunus mume)을 첨가한 호상요구르트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from Milk Added with Maesil (Prunus mume))

  • 이은희;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19-424
    • /
    • 2002
  • 매실 착즙액과 매실 과육을 첨가한 호상요구르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탈지분유에 S. thermophilus와 L. casei를 혼합한 균주와 S. thermophilus, L. acidophilus와 L. casei를 혼합한 균주를 접종하여 매실 착즙액이 젖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및 관능적 특성과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매실 착즙액의 첨가는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을 약간 증가시켰다. 실험구 중 S. thermophilus, L. acidophilus와 L. casei의 혼합균주에 3% 매실 착즙액을 첨가한 실험구가 가장 많은 양의 젖산(1.23%)을 생성하였고, 가장 높은 생균수$(3.6{\times}10^{11}\;CFU/mL)$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매실 착즙액 3% 첨가 호상요구르트에 20%의 당에 절인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실험구의 선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매실 첨가 호상 요구르트의 일반 성분은 대조구보다 유리지방산, 구연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무지고형분은 시료 모두 $9.58{\sim}9.94%$ 함유되어 있어 호상요구르트의 규격에 부합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L) 값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적색도(a)와 황색도(b)는 매실 첨가 호상요구르트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매실 첨가 호상요구르트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매실 착즙액 3%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후 20%의 당에 절인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실험구가 매실 착즙액 3% 첨가 호상요구르트와 대조구에 비하여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가 유의적으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매실 첨가 호상요구르트는 기호성과 품질 특성이 우수하고 영양학적으로도 훌륭한 상품적 가치가 인정되는 새로운 기능성 요구르트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수확 매실 신품종 "옥보석" (A New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Cultivar, "Okboseok" for High Yield)

  • 정상복;김윤경;강삼석;조광식;최장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34-538
    • /
    • 2009
  • "옥보석"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에서 1993년 "남고"와 "양청매"를 교배하여 2001년부터 2004년에 걸쳐 1차 선발하고, 2005년에 2차 선발하여 2006년 최종 선발하여 명명되었다. 과실은 약 14.0g으로 약간 작은 편이지만 다수성이며 과육률은 약 88.3% 이다. 원예적 성숙기는 6월 중순, 생리적 성숙기는 6월 하순이다. 만개기는 남고보다 약 4일 가량 늦고, 꽃은 분홍색 홑꽃이다. 과실은 검은별무늬병과 세균성구멍병에 비교적 강하다. "옥보석"의 화분량은 100화당 약 96 mg으로 화분이 풍부하므로 다른 품종의 수분수로의 이용은 가능하나 주 재배품종과의 자가불화합성 여부의 확인이 필요하다. "옥보석"은 설탕절임용으로도 이용 가능하며 특히 양조용으로 적합하다.

매실(Prunus mume) 메탄올 분획물의 처리에 따른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의 apoptosis 유도 효과 (Induction of Apoptosis by Treatment of Human Prostate Cancer LNCaP Cells with Methanol Fractions from Prunus mume)

  • 김휘곤;김정호;허지안;원영선;서권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1-32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매실 메탄올 추출물(maesil methanol fraction, MMF)을 제조하여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 RC-58T 및 PC-3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체 전립선암세포인 PC-3 및 RC-58T와 비교해보았을 때, LNCaP은 MMF의 처리에 따른 증식억제 효과에 가장 민감했다. LNCaP의 형태학적 관찰과 apoptotic body 형성을 관찰해보았으며, MMF의 처리로 인한 형태의 변화, 핵 손상 및 응축을 확인했다. MMF의 처리로 인한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에서 성장억제 효과가 내인성 apoptosis 경로와 관련 있는지 확인한 결과,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 caspase-3, caspase-9, PARP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MMF와 AIF inhibitor인 N-phenylmalemide (N-PM)의 병용처리군에 비해 MMF 단독처리군의 증식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AIF 및 Endo G의 발현 증가를 통해 외인성 apoptosis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PI3K inhibitor인 LY294002와 MMF의 병용처리군에 비해 MMF 단독처리군의 증식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PI3K, p-Akt, p-mTOR의 발현 감소를 통해 PI3K/Akt/mTOR 신호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에서 MMF의 증식억제 효과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홍삼과 매실식초 혼합 음료의 고강도 운동을 실시한 흰쥐에서 항피로 효과 (Anti-fatigue effect of a beverage mixture containing red ginseng and Prunus mume fruit vinegar on high-intensity exercised rats)

  • 박울림;김정호;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4-525
    • /
    • 2023
  • 본 연구는 매실식초 및 홍삼농축액 혼합 음료의 증진된 피로회복 효과를 확인하고자 유기산 함량과 고강도 운동 쥐모델에서 항피로 관련 인자를 측정하였다. 홍삼농축액 및 매실식초 혼합 음료 내 유기산 함량은 acetic acid가 1,654.17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malic acid와 citric acid가 각각 617.28, 600.12 ppm으로 확인되었다. 항피로 관련 인자 중 지구력을 측정한 결과, 홍삼매실식초 혼합음료(RPV)를 섭취한 군에서 138.83 min으로 가장 높은 지구력을 보였으며, 혈중 무기인산과 암모니아 및 젖산 함량은 0.67 mM, 24.28 mmol/L 및 1.75 mM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간 및 근육 내 글리코겐 함량에서 RPV는 각각 288.4, 22.84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RPV의 혈청 및 근육조직 내 creatine kinase 함량은 465.42와 33.05 U/L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으로 확인되었으며, 근육 내 lactate dehydrogenase 함량은 RPV에서 가장 높은 값인 140.13 U/L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풍부한 유기산을 가진 매실식초 및 홍삼농축액 혼합 음료의 섭취는 매실식초 또는 홍삼농축액의 단일 섭취에 비해 증진된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피로회복 기능성식품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xtran Sulfate Sodium 유도 마우스 대장염에 미치는 오미자와 매실의 상승효과 (Synergic Effect of Methanol extracts of Schizandrae Fructus and Mume Fructus on Experimental Mouse Colitis Induced by Dextran Sulfate Sodium)

  • 장선일;목지예;최효정;전인화;이강수;윤용갑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98
    • /
    • 2009
  • The fruits of Schisandra chinensis and Prunus mume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in the Oriental countries as an astringent against diarrhea and abdominal pain, a protectant for liver disease, an antimicrobial, and a blood tonic.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xtract of Schizandrae Fructus and Mume Fructus (SMF-Ex) on dextran-sulfate sodium (DSS)-induced colitis in mi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SMF-Ex on DSS-induced colitis in mice. An experimental colitis was induced by daily treatment with 5% DSS. SMF-Ex was orally administrated the single dose (80 mg/kg, body weight/day) for 7 days with one time per day. SMF-Ex reduced significantly clinical sign of DSS-induced colitis, including body weight loss, shorten colon length, increased disease activity index (DAI), and histological colon injury. SMF-Ex also inhibited significantly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e $E_2$ ($PGE_2$) productions in DSS-induced colitis mice. Furthermore, SMF-Ex increased significantly an superoxide anion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ctivity of the colon tissue in DSS-induced colitis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F-Ex administration could reduce significantly the clinical signs and inflammatory mediators, and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in DSS-induced colitis model mice and is a good candidate for further evaluation as an effective anti-ulcerative agent.

  • PDF

Verification on Cold-Tolerance of Some Fruit Trees as Species for Urban Greening Plants

  • Lee, Jin-Hee;Oh, Hee-Young;Kwon, O-M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55-1166
    • /
    • 2017
  • This study selected commonly known species of fruit trees, and re-selected the species that endure the stress of extreme cold weather and physiologically restore themselves to the previous state until the following year. Then we could go ahead to propose the species that were appropriate as urban greening plants in weather condition of any part of the country. To do this, we conducted an experiments for six species of fruit trees based on the pre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and recommendation of the experts; Morus alba (English name: mulberries), Diospyros kaki (English name: Persimmon), Prunus persia (English name: Peach), Elaeagnus umbellata var. coreana (English name: Korean Autumn Olive), Malus domestica 'Alps Otome' (English name: Alps Otome), and Prunus mume (English name: Blue Plum). The experiment verifies whether the trees survive without any stress from the cold weather under the national climate conditions (one in the suburbs of Seoul: Yongin city, one in the central Chungcheong region: Daejeon city, and in the southern Gyeongsang region: Jinju city in Korea). The experiment lasted for a year from August 2016 to August 2017. The levels of electrolytic efflux, chlorophyll content,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measured four times (on August of 2016, January, February, and August of 2017) for each tree planted bare ground outdoors. Results showed that Diospyros kaki, Prunus persia, and Malus domestica 'Alps Otome' were proven durable and resistant to winters of all three areas (one in the suburbs of Seoul: Yongin city, one in the central Chungcheong region: Daejeon city, and in the southern Gyeongsang region: Jinju city in Korea). Especially, the increase of chlorophyll content and the reduction of electrolytic efflux were noticeable in Prunus persia than in the other two species, proving itself as the most cold-tolerant among the six species used in the experiment. In addition, interpreting from the physiological restoration data of one-year span before and after getting through winterer, Prunus persia was proven to be the most cold-tolerant species.

항생제(抗生劑) 내성(耐性) 화농균(化膿菌)의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는 한약재(韓藥材) 탐색(探索)에 관(關)한 硏究(연구) (A Study on Screening of Oriental Medicines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박원영;서운교;정지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00-316
    • /
    • 1998
  • The various oriental herbal medicines, which have usually been used for treatment of reducing fever, purging intense heat and detoxication, were screened to determine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mong the 23 oriental medicines tested, the water-soluble extract of Coptis japonica showed very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ntibiotics-sensitive and -resistant S. aureus. A little activity was found in the extra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Eriobotrya japonica and Prunus mume against antibiotics-sensitive S. aureus and in that extracts of P. mume, Schizandra chinensis and S. baicalensis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 aureus. When C japonica was used, the high antibacterial activity was shown against Bacillus subtilis and other extracts showed a little or no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and E. coli as a control. 2.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 aureus were found in the ethanol-soluble extract of C japonica. Other ethanol-soluble extracts of S, baicalensis, S. chinensis and P. mume showed a little activity against both antibiotics-sensitive and antibiotics-resistant S. aureus. 3. Among the medicinal herbs tested,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 japonica showed very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pathogenic S. aureus and both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used as a control. 4. When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nd S. baicalensis,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against antibiotics-sensitive S. aureus were $20mg/m{\ell}\;and\;30mg/m{\ell}$, respectively. The MICs of the ethanol-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nd P. scabriosaefolia were $7.5mg/m{\ell}\;and\;12mg/m{\ell}$, respectively. 5. For the MICs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 aureus,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nd P. mume showed $15mg/m{\ell}\;and\;10mg/m{\ell}$, respectively. The MICs of the ethanol-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nd P. mume were $13mg/m{\ell}\;and\;20mg/m{\ell}$,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was found in both water- and ethanol-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gainst antibiotics-resistant S. aureus. And the water- and ethanol-soluble extracts of S. baicalensis, S. chinensis and P. mume showed comparatively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oth antibiotics-sensitive and -resistant S. aureus.

  • PDF

매실추출액 첨가 고추장의 숙성 중 품질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Maesil (Prunus mume) Extract during Aging)

  • 이민지;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22-628
    • /
    • 2006
  • 매실추출액의 농도를 달리 첨가하여 "매실고추장"을 제조하고 실온에서 100일간 숙성시키면서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고추장의 pH는 숙성 중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정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함량은 숙성 60일까지 다소 증감을 보이다. 숙성후기에는 증가한 반면 수분활성도는 숙성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염은 숙성기간 중 증가하였고, 대조구가 매실추출액을 첨가한 실험구보다 다소 높은 식염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매실추출액 함량이 증가할수록 식염의 함량은 다소 낮았다. 고추장의 L*, a*값은 숙성 중 감소하였고, b*값은 숙성초기 감소하다가 숙성 60일째 값이 크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실추출액을 첨가한 고추장이 대조구에 비해 L*, a*, b*값 모두 낮게 나타났고 매실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a*, b*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당도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고, 환원당은 숙성초기에는 증가하여 숙성기간 40일에 최고치에 달한 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초기에 증감하다 숙성 40일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0일 숙성 후에는 $230.00{\sim}246.00mg%$ 수준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