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vable security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6초

A Security-Enhanced Identity-Based Batch Provable Data Possession Scheme for Big Data Storage

  • Zhao, Jining;Xu, Chunxiang;Chen, Kefe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9호
    • /
    • pp.4576-4598
    • /
    • 2018
  • In big data age, flexible and affordable cloud storage service greatly enhances productivity for enterprises and individuals, but spontaneously has their outsourced data susceptible to integrity breaches. Provable Data Possession (PDP) as a critical technology, could enable data owners to efficiently verify cloud data integrity, without downloading entire copy. To address challenging integrity problem on multiple clouds for multiple owners, an identity-based batch PDP scheme was presented in ProvSec 2016, which attempted to eliminate public key certificate management issue and reduce computation overheads in a secure and batch method. In this paper, we firstly demonstrate this scheme is insecure so that any clouds who have outsourced data deleted or modified, could efficiently pass integrity verification, simply by utilizing two arbitrary block-tag pairs of one data owner. Specifically, malicious clouds are able to fabricate integrity proofs by 1) universally forging valid tags and 2) recovering data owners' private keys. Secondly, to enhance the security, we propose an improved scheme to withstand these attacks, and prove its security with CDH assumption under random oracle model. Finally, based on simulations and overheads analysis, our batch scheme demonstrates better efficiency compared to an identity based multi-cloud PDP with single owner effort.

DC와 LC에 대해 안전성 증명 가능한 블록 암호 알고리즘 FRACTAL (New Block Encryption Algorithm FRACTAL with Provable Security against DC and LC)

  • 김명환;이인석;백유진;김우환;강성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67-8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블록 암호 알고리즘인 FRACTAL 암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FRACTAL은 128비트의 블록 길이와 128비트 키를 사용하는 8라운드 Feistel 구조의 암호 알고리즘이며, 블록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가장 강력한 공격법인 차분 분석과 선형 분석에 대한 안전성이 증명 가능하다.

Practical and Provable Security against Differential and Linear Cryptanalysis for Substitution-Permutation Networks

  • Kang, Ju-Sung;Hong, Seok-Hie;Lee, Sang-Jin;Yi, Ok-Yeon;Park, Choon-Sik;Lim, Jong-In
    • ETRI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158-167
    • /
    • 2001
  • We examine the diffusion layers of some block ciphers referred to as substitution-permutation networks. We investigate the practical and provable security of these diffusion layers against differential and linear cryptanalysis. First, in terms of practical security, we show that the minimum number of differentially active S-boxes and that of linearly active S-boxes are generally not identical and propose some special conditions in which those are identical. We also study the optimal diffusion effect for some diffusion layers according to their constraints. Second, we obtain the results that the consecutive two rounds of SPN structure provide provable security against differential and linear cryptanalysis, i.e., we prove that the probability of each differential (resp. linear hull) of the consecutive two rounds of SPN structure with a maximal diffusion layer is bounded by $p^n(resp.q^n)$ and that of each differential (resp. linear hull) of the SDS function with a semi-maximal diffusion layer is bounded by $p^{n-1}(resp. q^{n-1})$, where p and q are maximum differential and linear probabilities of the substitution layer, respectively.

  • PDF

Cramer-Shoup 공개키 암호 시스템의 안전성 증명에 관한 고찰 (On the Security Proof of the Cramer-Shoup Public Key Cryptosystem)

  • 황성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5-20
    • /
    • 2008
  • 증명 가능한 안전성은 암호에서 어떤 암호 시스템의 안전성을 정형적으로 증명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선택 암호문 공격에 대해 안전하다고 증명된 Cramer-Shoup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분석하고, 그 안전성 증명이 일반적 의미에서의 적응적 선택 암호문 공격에 대해서는 완전하지 않음을 보인다.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일반적 의미에서의 적응적 선택 암호문 공격에 대해서 완전하도록 Cramer-Shoup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수정하는 것이며, 둘째는 현재의 Cramer-Shoup 공개키 암호 시스템에 대하여 성공적으로 적응적 선택 암호문 공격을 할 수 있는 예를 보이는 것이다.

  • PDF

블록암호 기반 키유도함수의 증명가능 안전성 (Provable Security of Key Derivation Functions Based on the Block Ciphers)

  • 강주성;이옥연;염지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16
    • /
    • 2010
  • 키유도함수는 고정된 길이의 키로부터 정보보호 알고리즘 수행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다양한 키들을 유도해내는 메커니즘으로 암호시스템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키유도함수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을 조사 분석하고 증명가능 안전성 관점에서 키유도함수 구조의 견고성에 대하여 논한다. 특히 NIST가 최근 제안한 의사난수함수(PRF) 기반 키유도함수 모드를 블록암호로 대표되는 의사단수치환 (PRP) 기반 키유도함수로 변형 할 경우의 증명 가능 안전성에 초점을 맞추어 Double-Pipeline Iteration 모드의 의사난수성을 규명한다.

An Improved Efficient Provable Secure Identity-Based Identification Scheme in the Standard Model

  • Tan, Syh-Yuan;Chin, Ji-Jian;Heng, Swee-Huay;Goi, Bok-M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4호
    • /
    • pp.910-922
    • /
    • 2013
  • In 2008, Chin et al. proposed an efficient and provable secure identity-based identification scheme in the standard model. However, we discovered a subtle flaw in the security proof which renders the proof of security useless. While no weakness has been found in the scheme itself, a scheme that is desired would be one with an accompanying proof of security. In this paper, we provide a fix to the scheme to overcome the problem without affecting the efficiency as well as a new proof of security. In particular, we show that only one extra pre-computable pairing operation should be added into the commitment phase of the identification protocol to fix the proof of security under the same hard problems.

PRF-기반 키유도함수에서 카운터 입력 형태에 따른 증명가능 안전성 (Provable Security of PRF-based Key Derivation Functions according to Input Types of Counters)

  • 김나영;강주성;염용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47-557
    • /
    • 2015
  • 암호 알고리즘과 암호 프로토콜은 사용되는 키들의 기밀성이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서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대부분의 암호시스템에는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키들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키관리 메커니즘이 필수 요소로 구현되어 있으며, 키관리 메커니즘의 내부에는 하나의 마스터키로부터 더 많은 종류의 키들을 생성하는 키유도함수(KDF)가 존재한다. NIST SP 800-108에서는 PRF-기반 KDF를 표준안으로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DF와 암호화 운영모드에 대한 증명가능 안전성 관점의 차이를 분석하고, PRF-기반 KDF 중 Counter 모드와 Feedback 모드에 대하여 핵심함수인 PRF의 입력값으로 카운터 값이 XOR과 연접 연산 형태로 입력되는 경우를 비교하여 안전성을 규명한다. 증명가능 안전성 관점에서 카운터 값이 XOR 형태로 입력되는 경우의 KDF는 안전하지 않은 반면, 연접 연산 형태로 삽입되는 경우의 KDF는 안전함을 증명한다.

A Provable Authenticated Certificateless Group Key Agreement with Constant Rounds

  • Teng, Jikai;Wu, Chuankun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4권1호
    • /
    • pp.104-110
    • /
    • 2012
  • Group key agreement protocols allow a group of users, communicating over a public network, to establish a shared secret key to achieve a cryptographic goal. Protocols based on certificateless public key cryptography (CL-PKC) are preferred since CL-PKC does not need certificates to guarantee the authenticity of public keys and does not suffer from key escrow of identity-based cryptography. Most previous certificateless group key agreement protocols deploy signature schemes to achieve authentication and do not have constant rounds. No security model has been presented for group key agreement protocols based on CL-PKC. This paper presents a security model for a certificateless group key agreement protocol and proposes a constant-round group key agreement protocol based on CL-PKC. The proposed protocol does not involve any signature scheme, which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protocol. It is formally proven that the proposed protocol provides strong AKE-security and tolerates up to $n$-2 malicious insiders for weak MA-security. The protocol also resists key control attack under a weak corruption model.

안전성이 증명된 의뢰 undeniable signature (A Provable Entrusted undeniable signature)

  • 박성준;김성덕;원동호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4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5-50
    • /
    • 1994
  • 대화형 영지식 증명시스템을 사용하여 D. Chaum의 undeniable signature에 대한 거짓말 탐지기 기능 문제를 해결한 안전성이 증명된 의뢰 undeniable signature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의 안전성은 영지식 대화형 증명시스템과 고차잉여류 문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

  • PDF

3GPP 무결성 알고리즘 f9의 증명가능 안전성 (Provable Security of 3GPP Integrity Algorithm f9)

  • Hong, Do-won;Shin, Sang-Uk;Ryu, Heui-su;Chung, Kyo-Il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4호
    • /
    • pp.573-580
    • /
    • 2002
  • 3GPP의 비동기식 IMT-2000 시스템의 보안 구조에는 표준 무결성 알고리즘 f9가 있다. f9는 비동기식(W-CDMA) IMT-2000의 무선 구간에서 데이터 무결성과 시그널링 데이터의 출처를 인증하기 위한 메시지 인증 코드(MAC)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으로 블록 암호 KASUMI에 기반한 CBC-MAC의 변형이다. 이 논문은 f9의 증명 가능한 안전성을 제공한다. 기반이 되는 블록 암호가 유사 랜덤 순열이면 어떤 공격자에 대해서도 f9가 안전함을 증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