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opecti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숙성 기간에 따른 무우 김치의 텍스쳐와 섬유소, 헤미셀루로오스, 펙틴질의 함량 변화 (Changes of Texture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ellulose, Hemicellulose and Pectic Substances during Fermentation of Radish Kimchi)

  • 정귀화;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8-75
    • /
    • 1986
  • 무우 김치를 $17{\sim}20^{\circ}C$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면서 텍스쳐의 변화와Dietary fiber(식이성 섬유)의 함량 변화를 측정했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무우 정치의 경도와 Brittleness는 감소하였으며, 그 변화는 Brittleness에 있어서 더욱 뚜렷하였다. 섬유소와 헤미셀루로오스의 양은 숙성기간동안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AIS 함량은 조금 감소하였다. 무우 김치 중의 펙틴질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수용성 펙틴은 소량 증가하고, protopectin은 소량 감소하는 경영을 보였다. 텍스쳐에 영영을 주는 fiber는 펙틴질이었으며, 특히 Protopectin 함량은 경도와 0.85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 PDF

마늘첨가량을 달리한 김치의 펙틴질의 변화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of $emph{Kimchis}$ with different garlic contents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s)

  • 유은주;신말식;전덕영;홍윤호;임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9-63
    • /
    • 1988
  • 마늘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21^{\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산도, AIS함량 및 펙틴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김치는 숙성 중에 산도가 증가하였으며 AIS 함량과 protopectin량이 감소하였으며 수용성 펙틴량은 증가하였다. 마늘 첨가량이 높은 김치는 마늘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에 비해 산도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AIS함량의 감소는 적었다. 또한 마늘 첨가량이 높은 김치는 숙성에 따른 protopectin의 감소가 적었고, 수용성 펙틴의 증가도 적었다.

  • PDF

김치의 숙성 과정에 따른 펙틴질의 변화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s)

  • 이용호;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4-58
    • /
    • 1986
  • 김치를 $6~10 ^{\circ}C$, $22~24 ^{\circ}C$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면서 산도, 텍스쳐, 펙틴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김치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산도는 증가하였고, 조직의 hardness는 점차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변화는 $22~24^{\circ}C$에서 숙성시킨 김치에 있어서 더욱 뚜렷하였다. 김치로부터 얻은 AIS의 함량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AIS로부터 분리한 펙틴질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수용성 펙틴은 소량 증가하고, Protopectin은 소량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Verticillium sp.가 생산하는 Protopectin 용해효소에 관한 연구 (제 1 보) Protopectin 용해효소의 생산조건 및 이용 (Studies on the Protopectinase Produced by Verticillium sp. (Part 1)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topectinase Production and Utilization)

  • 유주현;진효상;이봉기;오두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2
    • /
    • 1982
  • A fungus with the highest protopectinase productivity was selected among 205 strains isolated from the soil and identified as a Verticillium sp. The Verticillium sp. was cultivated on wheat bran and the crude extruct of its culture medium showed the highest protopectinase activity on the following conditions: 3 days of cultivation time, 27$^{\circ}C$ of cultivation temperature, 1.2 $m\ell$/g wheat bran of water content, and reinforcement of ammonium nitrate and calcium chloride at the concentration of 0.5 and 0.02%, respectively. The optimum conditions for pectin production from Citrus peel pulp by the protopectinase were consequently obtained as follows: 20$m\ell$/g of liquid volume-to-pulp weight ratio, 4$0^{\circ}C$ of reaction temperature, and 4 of reaction pH. The higher the enzyme concentration, the better the yield of pectin and the shorter the reaction time. Total 45.6mg of pectin/g peel was produced by 1 hour reaction at the enzyme concentration of 10.5 units/$m\ell$. Molecular weight of the pectin produced by the enzyme was estimated to be about 62,000 by Smit and Bryant's method.

  • PDF

염지 오이피클의 숙성중 펙틴질의 변화 (Changes in the Pectic Substance during Ripening of Salted Cucumber Pickle)

  • 오영애;이만정;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3-150
    • /
    • 1990
  • The changesin hardness activities of pectinestrase and polygaacturonase and amounts of pectic substances of cucumber during salting at 1$0^{\circ}C$ were investigated, The hardness of the cucumber was decreased dramatically after 3 weeks whereas activities of pectinestrase and polygalacturonase were increased until 3 weeks and 2 weeks respectively and then decrea-sed. The level of alcohol insoluble solid and protopectin in the cucumber were decreased but those of pectic acid and water soluble pectin were increased during the whole salting periods, Protopectin fractionated from alcohol insoluble solid during salting of cucumber was separated using Sephacryl S-500 It showed that high average molecular weight(AMW) of 100,000 was decreased however lower molecular weight compounds was increased. Pectic acid was observed to be decomposed from AMW 200,000 to AMW 500,000 Water soluble pectin from fresh cucumber contained higher level of pentose with peak I of AMW 2,000,000, however after 6 weeks of saltinf peak II which represented AMW 100,000 was separated. From the changes of sugar composition, the phenomena of softness during the salting was probably caused by solubilization of hemicellulose associated with pectin and decomposition of pectic substances.

  • PDF

Protopectinase를 이용한 참다래의 가공 특성 (Processing Properties of Kiwifruit Treated with Protopectinase)

  • 이대희;이승철;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1-406
    • /
    • 2000
  • 가공식품의 개발에 있어서 식품의 맛과 더불어 저장성, 열안정성 및 색조유지는 소비자의 기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B.subtilis EK11 유래의 PPase는 식물조직 중엽부의 주성분인 불용성 protopectin을 분해하여 단세포화하는 효소이다. PPase를 참다래에 작용시켜 참다래 고유의 세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내 성분들의 파손 없이 단세포를 유리하였다. 참다래 조직으로부터 제조된 단세포화물의 착즙 후 관찰된 회수율과 잔사율은 각각 82%와 18%로써, 기계적 마쇄물에서의 60%와 40%에 비하여 높은 회수율과 낮은 잔사율을 나타내었다. 총당, 환원단, sucrose,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섬유에 대해 함량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단세포 처리에 의하여 이들 성분이 안전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PPase로 처리시 가장 불안정한 비타민 C가 1일 경과 후에도 95% 이상이 보존되는 것으로 보아 단세포에 의한 일반적인 구성성분이 안정하게 유지 보호됨을 알 수 있다. PPase로 처리된 참다래 단세포물을 $4^{\circ}C$에서 6일간 저장하며 색조를 관찰한 결과, 기계적 마쇄물에서는 변색이 일어났으나 단세포화물에서는 뚜렷한 색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PPase로 처리한 참다래 단세포물을 $100^{\circ}C$에서 60분간 열처리한 후 관찰한 결과, 기계적 마쇄물에서는 짧은 처리에도 극심한 변화를 보였으나 단세포화물에서는 변화가 보이지 않아 높은 열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Pase는 참다래의 단세포화물에 응용 가능하여 참다래 음료제조 및 원료 보존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 진다. 또한 PPase을 이용한 참다래의 효율성 제고와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식품제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Bacillus subtilis EK11 유래 Protopectinase를 처리한 단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weet Persimmon Treated with Protopectinase from Bacillus subtilis EK11)

  • 이대희;이승철;황용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9-34
    • /
    • 2003
  • 가공식품의 개발에 있어서 식품의 맛과 더불어 저장성, 열안정성 및 색조유지는 소비자의 기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B. subtilis EK11 유래의 PPase는 식물조직 중엽부의 주성분인 불용성 protopectin을 분해하여 단세포화하는 효소이다. PPase를 단감에 작용시켜 단감 고유의 세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내 성분들의 파손 없이 단세포를 유리하였다 PPase처리된 단감 단세포화물의 착즙 후 회수율과 잔사율은 각각 95%와 5%로서, 기계적 마쇄물에서 의 85%와 15%에 비하여 높은 회수율과 낮은 잔사율을 나타내었다. 총당, 환원당, 자당,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섬유의 함량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단세포 처리에 의하여 이들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식품중 열 또는 빛 에 가장 불안정한 비타민 C의 경우 단감 단세포화물은 1일 경 과 후에도 50% 이상이 보존되는 것으로 보아 단세포에 의한 일반적인 구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 보호됨을 알 수 있다. PPase로 처리된 단감 단세포화물을 4$^{\circ}C$에서 9일간 저장하며 색조를 관찰한 결과, 단세포화물에서는 뚜렷한 색조의 차이가 없었고 기계적 마쇄물에서는 변색이 일어났다. 또한 단감 단세포화물을 10$0^{\circ}C$에서 60분간 열처리한 후 관찰한 결과, 기계적 마쇄물의 경우 짧은 처리에도 변화를 보였으나 단세포화물에서는 그다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효소적 단세포화물의 높은 열 안정성을 의미한다. PPase를 이용한 단감의 단세포화는 음료제조 및 원료보존에 유용하게 응용가능하며, 나아가 단감 단세포화물의 폭넓은 식품소재화 가능성과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제조에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rotopectinase 의 特異性에 關하여 (On the Specificity of Bacterial Protopectinases)

  • 김태봉
    • 대한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8-30
    • /
    • 1954
  • It was pointed out by Katagiri and Nakahama that the useful retling bacteria acted selectively on vegetable fiber materials and also they proposed that this selectivity was based on the specificity of protopectinase of the bacteria, and that the two characters might have certain parallel relation with each other. The result of the further experiments carried out by the author with mulberry-tree bark also confirmed the selectivity of some kinds of retling bacteria, but found no remarkably different action on protopectin from mulberry-tree bark. Accordingly no parallel relation between the selectivity of the retling bacteria and the specificity of the protopectinase was identified.

  • PDF

Bacillus subtilis EK11로부터 Protopectinase 생산 (Production of Portopectinase from Bacillus subtilis EK11)

  • 문철환;최종수;이승철;황용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6-180
    • /
    • 2001
  • PPase 는 식물세포 중엽부는 주성분인 protopectine를 분해하여 maceration(죽화: 단세포화)하는 기능이 있다. PPase는 대부분의 야채류 및 과실류의 단세포화에 응용하여 새로운 식품재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먼저 PPase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는데, 탄소원으로 glucose는 catabolite repression이 일언자 않는 1%가 적절하였고 pH는 8.0으로 조절할때PPase 생산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산소공급속도는 1.0vvm, 500rpm으로 조절하는것이 회분식 배양에서 PPase의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이 결과로 유가배양을 실시하여 PPase의 생산효율이 flask 배양(5,417 IL $-1/h^{-1}$ )회분식 배양( $72,000UL^{-1}$$ h^{-1}$ )에 비해 각각 15.6배 1.17배의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유가배양을 실시하는것이 PPase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PDF

pH조정제를 이용한 저염 배추점치의 숙성중 Pectin질의 변화 (Changes in Pectic Substance of Lower Salted Chinese Cabbage Kirnchi with pH Adjuster during Fermentation)

  • 김순동;이신호;김미정;오영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5-261
    • /
    • 1988
  • 저염김치의 숙도조절과 가식기관의 연장을 목적으로 원료배추에 대하여 2%의 소금과 sodium malate buffer(SMB) 0.4%를 첨가하여 $2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pectin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SMB 첨가김치는 무첨가에 비하여 가식기간이 40시간 정도 연장되었고 맛 조직의 신선도 연화상태등에서 양호하였다. Alcohol insoluble solid(AIS)와 protopectin(PP)는 숙성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SMB 첨가김치에서 감소율이 낮았고 pectic acid(PA)와 water soluble pectin(WSP)는 이와 반대로 숙성에 따라 증가되었는 데 증가율은 무첨가 김치에서 높았다. PP와 PA는 각각 hemicellulose로부터 유래된 hexose와 pentose를 함유하였으나 숙성 중에 감소하였고 감소율은 무첨가김치에서 높았다. 김치가 숙성됨에 따라 극성이 낮고 분자량이 극도로 높은 PP가 조직으로 용출되어 나온 반면 극성이 높은 저분자의 PP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무첨가의 경우가 현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