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cted area management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4초

MPA 효과에 대한 생물경제학적 분석 (A Bioeconomic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Marine Protected Area (MPA))

  • 김도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3권4호
    • /
    • pp.657-684
    • /
    • 2004
  • 본 연구는 MPA 효과를 분석한 생물경제학적 연구로서 어업자원분포와 어종이동 특성에 따른 MPA 설치 전 후의 자원량과 어획량 변화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어업자원분포 모형 가운데 폐쇄모형, 발생지-유입지 모형, 밀도종속적 모형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모형에 대한 MPA 효과 분석에 있어서는 어획활동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함께 고려했을 뿐 아니라 다른 어획노력량 통제수단과의 병용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모든 모형 하에서 MPA 설치에 따라 전체 자원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폐쇄모형과 발생지-유입지 모형 하의 유입지에 대한 MPA 효과분석 결과 총어획량은 감소하였다. 발생지-유입지 모형에서의 발생지 그리고 밀도종속적 모형 하에서의 MPA 효과분석에서는 어종의 이동률, 자원량 수준 등에 따라 어획량이 증감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자원이동률이 클수록, 자원량 수준이 높을수록 어획량 증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어업비용 증가로 인해 어획가능구역에서의 어획노력량 증대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어획노력량 통제수단과 병용되었을 경우 전체적인 자원량 수준이 보다 크게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선박 구조 개선을 통한 승무원의 피난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advancement for evacuation of the crews by ship structural improvement)

  • 김원욱;이명호;김종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342-348
    • /
    • 2014
  • 육상구조물의 대형화재는 특수한 소방장비와 그에 적합한 방법에 의해서 소방관에 의해서 진압된다. 하지만 해양구조물은 육상으로부터 어떠한 도움없이 승무원에 의해서 진압되고 이들은 선박의 구조적 특성과 선박의 충돌 및 화재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신속한 탈출이 어렵다. 일반적으로 화재에 의한 인명손상의 경우에는 연기에 의한 질식사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탈출 시간의 단축은 생존율을 향상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화재 분석 전용 프로그램인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시 승무원 생존율 분석을 위한 거주 공간내의 온도 및 연기유동에 의한 가시거리를 분석한다. 기존의 선박은 화재 경보 발령 시 방화문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승무원이 없을 경우에는 화재의 확산 및 연기의 유동 지연에 아주 효과적이다. 그러나 대피시간이 지연될 경우에는 방화문 안쪽에 위치한 승무원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화재로 인해 방화문이 폐쇄되어 승무원들이 이 방화문을 열고 탈출하는 경우와 연구에서 제안하는 차단막을 설치했을 경우의 화재 구역의 온도상승 및 연기유동 속도를 비교 분석한다.

Vegetation of the Khogno Khan Natural Reserve, Mongolia

  • Gombosuren, Tsolmon;Kim,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6호
    • /
    • pp.365-370
    • /
    • 2001
  • The vegetation of the Khogno Khan Natural Reserve of the central Mongolia was studied in terms of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Twenty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from the three different landscape types such as mountain areas(63%), plains(32%), and wetlands(5%). Actual vegetation map using five vegetation domains was accomplish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gional vegetation. Steppe vegetation of 88% vegetation cover to the whole area is representative, which is composed of a matrix of landscape. The birch-aspen forests and the elm bush forests are relics as a patch distribution. It is recognized that the whole territory of protected area be under the effects of severe grazing from the phytosociological viewpoint.

  • PDF

우리나라 해양보호구역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정책 제안 (Key Recommendations for MPA Management in Korea)

  • 채동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7-21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해양보호구역 제도를 개관하고 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한 후 해양보호구역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법률에 기인해 여러 형태의 해양보호구역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도는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며 보호구역내 유해행위의 규제에 대한 규정이 미흡하며 해양보호구역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양보호구역 지정 및 관리를 총괄하는 단일법률의 제정, 국가차원의 전담 관리기구 조직, 어업금지 해양보호구역 설정 및 해양보호구역 네트워크 구축 등 네 가지의 정책이 제안되었다.

고양이(Feliscatus)의 분포밀도와 잠재서식지 예측을 이용한 우선 관리 대상 지역 분석 (Analyzing Priority Management Areas for Domestic Cats (Felis catus) Using Predictions of Distribution Density and Potential Habitat)

  • 정아미;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545-555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고양이(Felis catus)의 분포밀도와 잠재 서식지를 예측하여 핵심분포지역을 선정하고, 보호지역을 중첩하여 우선으로 고양이 관리가 시행되어야 할 지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분포밀도 파악을 위해 커널밀도추정을 사용하였고, 고밀도 지역을 분류한 결과 수도권 지역과 충남, 대전, 대구에서 밀도가 높았다. MaxEnt 모형을 활용한 잠재 서식지 예측에서는 고도, 시가지로부터의 거리, 지표 거칠기 등이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임계값을 기준으로 출현/비출현 지역을 분류한 결과 수도권과 세종, 대전, 충남, 대구에서 출현 예측 지역의 면적이 높았다. 고밀도 지역과 출현 예측 지역을 중첩하여 핵심분포지역을 선정하였고, 핵심분포지역과 야생동물 보호지역을 중첩하여 우선으로 관리해야 할 지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경기도와 충남지역이 제일 면적이 넓은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보호지역과 같은 우선 관리 대상 지역을 중심으로 핵심분포지역이 둘러싸고 있어, 추가적인 유입을 막고 관리하기 위한 완충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고양이의 서식현황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관리방안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Estimation of carbon storage in coastal wetlands and comparison of different management schemes in South Korea

  • Byun, Chaeho;Lee, Shi-Hoon;Kang, Hoje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1호
    • /
    • pp.61-72
    • /
    • 2019
  • Background: Organic carbon stored in coastal wetlands, which comprises the major part of oceanic "blue carbon," is a subject of growing interest and concern. In this study, organic carbon storage in coastal wetlands and its economic value were estimated using the raw data of 25 studies related to soil carbon storage.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tidal flats (one protected and two developed areas) and two estuarine salt marshes (one protected and one restored area). Bulk density,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standing biomass of vegetation were all considered, with Monte Carlo simulation applied to estimate the uncertainty. Results: Mean carbon storage in two salt marshes ranged between 14.6 and $25.5kg\;C\;m^{-2}$. Mean carbon storage in tidal flats ranged from 18.2 to $28.6kg\;C\;m^{-2}$, with variability possibly related to soil texture. The economic value of stored carbon was estimated by comparison with the price of carbon in the emission trading market. The value of US $ $6600\;ha^{-1}$ is ~ 45% of previously estimated ecosystem services from fishery production and water purification functions in coastal areas. Conclusions: Although our study sites do not cover all types of large marine ecosystem, this study highlights the substantial contribution of coastal wetlands as carbon sinks and the importance of conserving these habitats to maximize their ecosystem services.

휴경논에서의 수질관리 연구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Fallow Paddy Fields)

  • 김형중;김선주;김필식;안열;양용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2호
    • /
    • pp.69-76
    • /
    • 2006
  • Fallow paddy areas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import of cheap agricultural product, and the unbalance between farming cost and rice price since 1990. The increasing fallow paddy area needs to be protected from the devastation by weed breeding for the re-cultivation. In this study, two fallow paddy fields managed with different water depth were selected for monitoring and analysing of water quality, water balance and plant body change. The managed fallow paddy fields were more effective in water quality purification and plants growth control than non-managed fallow paddy fields. And the fallow paddy field managed with some degree of water depth was the most effective field in terms of weed control.

한(韓)·일(日)어업협정(漁業協定) 개정문제(改定問題)에 관한 기초연구(基礎硏究) (A Fundamental Study on the Amendment of Korean-Japanese Fisheries Agreement)

  • 최종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99-120
    • /
    • 1997
  • The official talks on the amendment of the Korean - Japanese Fisheries Agreement which was concluded in 1965 are under way since 1996. The convention area of the existing fisheries agreement is the high sea, but it should be changed to the exclusive economic zone(EEZ) for the newly amended fisheries agreement. Accordingly, the fundamental policies to be embodied within the amended fisheries agree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One of the basic doctrine of the new agreement should be the formulation of a devi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fishery development as well as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fishery resources. 2. The preparation of the future-oriented international relationship which reflects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fishery relationship between both countries. 3. The existing fishery results of both parties should be protected on the ground of the reciprocity principle. 4. Both parties should reach an agreement upon the join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for the transboundary fishery resources. 5. In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of EEZ delimitation between both countries, a provisional fisheries agreement can be an alternative measure.

  • PDF

Post-2020 국가 보호지역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OECMs) 후보지역 유형 검토 (Reviewing the Candidate Types for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for Post-2020 Management Related to National Protected Areas System)

  • 심윤진;성정원;이경철;권형근;홍용식;강신구;안종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3
    • /
    • 2022
  •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candidate types for OECMs suitable for domestic conditions in areas related to the Korea Forest Servic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establishing the protected areas and OECMs system required by Post-2020 GBF,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protected areas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election criteria for OECMs were presented, and it was found that arboretums·botanical gardens,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air holes may correspond to the Candidate Types for OECM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ossible areas for OECMs based on the OECMs selection criteria, in the case of arboretums·botanical gardens, it is judged that only conservation areas can be designated as OECMs, except for areas mainly used by visitors of arboretums·botanical gardens that fall under the BGCI conservation type among national and public arboretums·botanical gardens. However, private and school arboretums·botanical gardens have personal property ownership, so it was judged to have no effective measures to control activities that may adversely affect biodiversity, which showed limitations in designation of OECMs. Natural Recreation Forests was found to meet the OECMs selection criteria. However, private forests have personal property ownership, which limits the designation of OEC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in-situ conservation in order to meet the OECMs for private and school arboretums·botanical gardens, and private forests that have personal property ownership. To this end, effective measures are needed to achieve biodiversity conservation outcomes, and it is judged that legal control and corresponding support policies (incentives) are needed. In the case of air hole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the management boundary of air holes should be clearly defined based on the preparation of laws and guidelines related to air holes.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desirable to designate the competent local forest office as the management authority and conduct periodic detailed surveys of air holes, establish and implement the conservation plans based on those.

담수호소 유역 수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 사천시 두량저수지를 사례로 -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of Freshwater Lake Basin - A Case Study on Duryang Reservoir at Sacheon -)

  • 이수동;김상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0-64
    • /
    • 2009
  • 도시 근교에 입지한 담수호소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이나, 무계획적인 이용의 증가로 수질오염과 식생훼손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천시 두량저수지를 대상으로 담수호소의 생물다양성 유지와 이용의 조화를 추구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동 식물 생태계의 정밀한 조사 분석 자료에 근거한 관리지역 설정 과정을 거쳐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적인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생태계 조사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비오톱 유형 평가, 야생동물 서식처 평가, 보호종 출현 유무를 종합한 결과, 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설정된 지역은 층위 구조가 형성된 자연림과 생물서식의 기반을 제공하는 수면 및 습지, 서식처 다양성이 높은 주연부 지역이 보전가치가 있었다. 관리지역은 식생이 교란된 지역, 오염강도가 높은 상업지, 공업지 등과 낚시로 인해 훼손된 수변지역으로, 식생천이 유도, 관목식재 등의 식생관리와 오염물질관리 체계 구축을 통한 적극적인 관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담수호소에 있어 수변식생과 산림식생 훼손은 생물다양성 및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보존지역과 이용지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이용지역 이외에는 엄정하게 복원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