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thesis and implants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36초

임플랜트로 수복된 하악 구치부에 대합되는 자연치 주변의 골변화 (ALVEOLAR BONE CHANGES AROUND THE NATURAL TEETH OPPOSING THE POSTERIOR IMPLANTS IN MANDIBLE)

  • 정원모;김대곤;이양진;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63-273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 Alteration of tooth function is assumed to be changed by stress/strain on the adjacent alveolar bone, producing changes in morphology similar to those described for other load-bearing bones. When teeth are removed, opposing teeth will not be functioned. When edentulous area is restored by implant prostheses, opposing teeth will be received physiologic mechanical stimuli.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e changes around the teeth opposing implant restoration installed mandibular posterior area. Material and method: Eight patients who had mandibular posterior edentulous area were treated with implants. Radiographs of the opposing teeth were taken at implant prostheses delivery(baseline), 3 months, and 6 months later. Customized film holding device was fabricated to standardize the projection geometry for serial radiographs of opposing teeth. Direct digital image was obtained. Gray values of region of interest at each digital image were measur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ime lapse. Repeated measured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Scheffe's test were performed at the 95% significance level. Results: Alveolar bone changes around the natural teeth opposing the posterior implant in mandib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control group(P<0.05). And gray values of alveolar bone around the teeth opposing implants were increase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lveolar bone changes between crestal group and middle group and between mesial group and distal group according to time lapse(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lveolar bone changes among mesial-crestal group, mesial-middle group, distal-crestal group, distal-middle group, and control group(P>0.05). Conclusion: Alveolar bone around the natural teeth opposing the implant prosthesis showed gradual bony apposition.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이용한 완전구강회복 증례 (Functional and esthetical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implant supported prostheses: A case report)

  • 연제웅;임영준;권호범;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1-85
    • /
    • 2015
  • 본 증례의 환자는 상악 전치부 보철물의 파절 및 기존에 사용하던 하악 의치의 불편감 때문에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을 원한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상악동 거상술, 하악지 골이식과 함께 상악에 5개, 하악에 6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전치부와 양쪽 구치부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적절한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3차원 프린팅 기술과 이를 활용한 골종양 수술 (Three Dimensional Printing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Bone Tumor Surgery)

  • 강현귀;박종웅;박대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466-477
    • /
    • 2018
  • 정형외과는 인체의 모든 근골격계를 담당하기 때문에 3차원(3-dimensional, 3D) 프린팅 기술을 가장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관절염, 척추, 외상, 기형, 종양 등의 다양한 정형외과 질병에 대해 해부학적 모델, 수술용 가이드, 금속 임플란트, 바이오-세라믹 재건, 보조기 등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정형외과 종양 영역은 환자마다 종양의 발생 위치와 크기가 다양한 데 반하여 사지 보존 수술에 활용할 수 있는 기존의 수술 방법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이 매우 절실한 분야였다. 최근에 3D 프린팅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를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 방법으로 골 재건이 어려웠던 부위에 대해서도 해부학적 재건이 가능하게 되었다. 3D 프린팅 기술을 의료 영역에서 더욱 폭넓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출력, 검증 과정에 필요한 많은 전문가들과 함께 수평적 위치에서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 의료계에서 3D 프린팅을 활용을 선도함으로써 다른 분야의 전문가 양성 및 3D 프린팅 관련 산업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한 정부도 규제보다는 활성화에 역점을 두고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추세이다. 앞으로 정형외과가 전체 의료계에서 3D 프린팅 기술의 도입과 활용을 선도해 가기를 기대하면서 골종양 수술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였던 저자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상악 구치부 임플랜트 보철수복시 치관/치근비에 따른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N MAXILLARY MOLAR IMPLANT UNDER DIFFERENT C/R RATIO)

  • 김진호;김형섭;최대균;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61-573
    • /
    • 2006
  • Statement of the problem: In cases of low bone level in maxilla followed by extraction due to severe periodontitis or enlarged maxillary sinus, crown-root ratio of implant prosthesis will increase. The prognosis of these cases is not good as expected. Purpose : The purpose is to compare stress distribution due to crown-root ratio and effect of splinting between two implants in maxillary molar area under different loads Material and methods: Using ITI($4.1{\times}10$ mm) implant. two finite element models were made(model S: two parallel implants, model A: one of two is 20 degree inclined). Each model was designed in different crown-root ratio(0.7:1, 1:1, 1.25:1) and set cement type gold crown to make it splinted or non-splinted clinical situations. After that, 300 N force was loaded to each model in four ways.(load 1 : middle of occlusal table, load 2 : middle of buccal cusp, load 3 : middle of lingual cusp, load 4 : horizontal load to middle of buccal cusp), and stress distribution was analyzed. Results: On all occasions, stress was concentrated on neck of implant near cortical bone. In the case of inclined implant, stress was increased compared with parallel implants. Under load 1, 2, 3, stress was not increased even when crown-root ratio increases, but under load 4, when crown-root ratio increases, stress also increased. And more stress was concentrated under load 1 than load 2, 3. When crown-root ratio was same, stress under load 1, 2, 3 decreased when splinting, but under load 4, stress did not really decrease. Conclusion: Under vertical load, stress distribution related to crown-root ratio did not change. But under horizontal load, stress increased as crown-root ratio increases. Under vertical load, splinting decreased stress but under horizontal load, effect of splinting was decreased as condition of implant changes for the worse such as increase of crown-root ratio, inclined implant.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활용해 수직 고경을 증가시키며 shortened dental arch 개념을 적용한 보철 수복 증례 (Using implants for worn dentition with the alter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based on shortened dental arch concept: a case report)

  • 이재현;김태수;이철원;이원섭;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9-56
    • /
    • 2016
  • 과도한 마모 같은 잔존 치아 구조의 파괴는 전치유도와 저작 기능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런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상실된 구치부를 수복하여 적절한 교합을 회복시켜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구치부의 무치악부를 수복하기 위해서는 의치나 임플란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임플란트로 수복시에는 경제적인 제약으로 위해 shortened dental arch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증례는 86세 남환으로, 다수의 치아가 상실되어 있었고, 구치부 교합의 붕괴와 과도한 치질 소실, 수직 피개를 관찰할 수 있었다. 구치부에서 붕괴된 교합을 재형성해주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정하였으며, 가철성 보철물 대신,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된 2개의 임플란트와 고정성 국소의치, 레진을 이용하여 보철 수복을 완료하였다. 소구치 부위에서 2 mm의 수직고경을 거상하였으며, shortened dental arch 개념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전악 수복에 비하여 적은 비용으로 이를 대체하는 치료를 고정성 보철물로 할 수 있었으며, 심미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O-ring Attachment를 이용한 무치악환자의 보철수복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the edentulous patients using O-ring attachment:A clinical report)

  • 안재진;조병완;안상헌;김종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81-586
    • /
    • 1998
  • 무치악환자의 Implant보철수복 방법은 식립된 Implan의 수에 따라 다양하다. 많은 수의 Implant가 식립된 경우에는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이 가능하지만 시술이나 기공상의 복잡성, 고가의 치료비, 보철물과 잔존치조제사이의 빈 공간으로 인한 비심미성, 발음의 어려움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적은 수의 Implant가 식립된 경우는 Bar Retained Overdenture를 사용하지만 역시 기공과정이 복잡하며, Bar와 잔존치조제사이의 공간으로 인한 점막지지 면적의 감소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여기에 비해서 O-ring Attachment를 이용하면 기공과정이 쉽고, 잔존치조제와 보철물 사이에 공간이 없으므로 점막지지 면적을 많이 얻을 수 있다. 또한 Implant식립의 수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쉽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증례들은 Steri-Oss Implant System의 O-ring Attachment를 이용하여 무치악환자를 보철 수복한 예로서 술후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발표하는 바이다.

  • PDF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한 고정성보철 환자에 상악 Milled-bar와 부착장치를 이용한 피개의치로 수복한 증례 (Rehabilitation using milled-bar with attachment maxilla overdenture in a patient with peri-implantitis fixed prosthesis: A case report)

  • 이준명;김소연;이두형;이규복;이청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23-130
    • /
    • 2024
  • 완전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철성 총의치는 비교적 경제적인 장점이 있지만, 불편한 착용감과 낮은 저작효율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반면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은 안정성이 높지만 다수의 임플란트가 필요하고 수술적인 위험이 있으며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임플란트 보철학이 도입되면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 피개의치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해졌다. 잔존 치조골이 충분한 경우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이 가장 효과적인 선택일 수 있다. 하지만 잔존 치조골이 부족하여 임플란트 식립이 불가능하거나 경제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에 소수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는 임플란트를 통해 지지를 얻고 부가적인 부착장치로 유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의치로 안모를 회복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양쪽 구치부 임플란트 통증 및 저작시 불편감으로 내원하였으며, 심한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다수의 임플란트를 발거 후 상악은 양쪽 구치부에 임플란트를 재식립하여 milled-bar에 부착장치로 유지력을 얻은 피개의치를 제작하였고, 하악은 임플란트를 추가 식립 후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수복하였다. 치료가 완료된 후 10개월간 경과관찰 결과 의치의 파절, 유지력 상실 등 임상적으로 이상이 없었으며 방사선학적으로도 초진시와 유사한 골 소실상태를 보였다. 또한 구강위생이 잘 유지되었고 환자도 심미적 기능적 결과에 만족하였다.

자기공명 영상장치에서 정형보철금속의 자화(磁化)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gnetization of metal orthopedic prosthesi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 김형균;송득중;최성대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4-39
    • /
    • 2013
  • For orthopedic artificial metal stainless steel, the magnetization of the magnetic field due to the presence of the titanium was to observe the change. Magnetic field meter (Tesla meters) a certain distance (ISO Centre) 1.5 Tesla magnetic field, the magnetization in the center with the passage of time were measured. Therefore, these artificial metal clip shape and magnetization of the sample size to produce a ferromagnetic material for comparison is the experimental dependence. For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dependence of the magnetization, thereby producing a test piece size such as shaping prosthetic metal Clip is a ferromagnetic material.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etal orthopedic implants, there was no change in the magnetization indicated by ferromagnetic material in its natural state. However, in a magnetic field of 1.5T (Tesla), showed a sensitivity that is magnetized rapidly compared to the ferromagnetic material. In conclusion, high in the order of Clip, Stainless, of Titanium, the degree of dependence of the magnetization intensity of magnetization was the order Stainless, Titanium, of Clip in a magnetic field.

완전무치악 환자에서 고정성 임플란트 하이브리드 수복물의 임상성적 (Clinical outcomes of implant supported fixed-hybrid prostheses in the fully edentulous arches)

  • 허윤혁;이양진;권민정;김영균;차민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83-189
    • /
    • 2013
  •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완전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하이브리드 수복물로 수복한 환자의 임상성적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분당서울대병원에서 2003년 10월부터 2009년 11월 사이에 4-6개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하이브리드 수복물로 수복을 하고 1년 이상 기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 사진상에서 변연골 흡수량을 측정하고 성별, 해부학적 위치(상악 대 하악), 대합치, 하중시기, 식립 경사도에 따른 차이를 비모수 검정(Mann-Whitney U test) 하고, 외팔보의 길이에 따른 영향을 회귀분석하였으며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유의 수준P<.05로 검정하였다. 결과: 총 16명, 16개 수복물에서 84개의 임플란트의 평균 28개월 후의 골흡수량은 $0.53{\pm}0.39mm$였다. 환자의 성별, 해부학적 위치(상악 대 하악), 대합치, 하중시기에 따른 골흡수량의 유의차는 관찰되지 않았으며(P>.05) 회귀분석 결과 외팔보의 길이와 외팔보 인접 최후방 임플란트의 골흡수량 사이에도 유의성이 없었다(P>.05). 16명중11명의 환자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전장재 파절과 인공치 탈락이 가장 많았다. 결론: 짧은 기간의 후향적 연구라는 한계 내에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하이브리드 수복물의 평균 골흡수는 매우 적었지만 높은 빈도의 합병증 발생을 보였다. 외팔보 인접 최후방 임플란트의 경사와 관계 없이 외팔보 인접 최후방 임플란트보다 나머지 전방부 임플란트의 변연골 흡수량이 유의하게 컸다. 모든 증례의 외팔보 길이(< 17 mm)는 외팔보 인접 최후방 임플란트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의 유지형태에 따른 3차원 유한요소 응력분석 (3-D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in screw-type, cement-type, and combined-type implant fixed partial denture designs)

  • 이성천;김석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65-375
    • /
    • 2009
  • 연구목적: 임플란트 보철물의 유지형태 중 나사 및 시멘트 혼합 유지형의 경우 나사 풀림력 등에 영향을 주는 임플란트 구성 성분의 응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유지형태, 즉, 시멘트 유지와 나사 유지, 그리고 이 두 가지 유지형태가 서로 연결된 혼합형의 임플란트 보철물의 응력분산의 특징들을 3차원 유한요소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하악골에서 제1소구치 부위와 제1대구치 부위에 2개의 임플란트 (SS II, Osstem Co. Ltd., Seoul, Korea)를 식립한 가상의 3본 계속가공의치를 모델화하였다. 지대주 종류와 그 위치에 따라, 4가지 모형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모형 1은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 각각의 고정체에 모두 동일한 시멘트 유지형 지대주인 Comocta abutment (Osstem Co. Ltd) 를 장착하여 3본 계속가공의치를 합착시킨 경우이고, 모형 2는 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 각각의 고정체에 모두 나사 유지형 지대주인 Octa abutment (Osstem Co. Ltd) 를 장착하여 3본 계속가공의치를 나사로 고정시킨 경우이며, 모형 3은 제1대구치의 고정체에는 시멘트 유지형 지대주인 Comocta abutment를 장착하고, 제1소구치에는 나사 유지형 지대주인 Octa abutment를 장착한 후 3본 계속가공의치를 각각 시멘트 합착 및 나사로 고정시킨 경우이다. 그리고 모형 4는 모형 3에서 각각 제1대구치 및 제1소구치의 지대주를 맞바꾼 후 3본 계속가공의치를 나사 및 시멘트로 고정시킨 경우로 나누었다. 평균저작압인 하중을 대구치 565 N과 소구치 288 N의 힘으로 설정하고 수직방향으로 중심와와 협측 교두정에, 그리고 $30^{\circ}$ 경사 하중을 협측 교두정 부위에 준 다음 골, 고정체, 지대주, 그리고 지대주 나사 등에 나타나는 von-Mises stress 양상을 평가하였다. 결과: 네 가지 모형 중 나사 유지형 지대주인 Octa abutment를 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 부위에 사용한 모형 2가 전반적으로 가장 낮은 안정적인 응력 분포를 보였다. 네 가지 모형 모두 피질골 및 고정체에 미치는 응력 크기 및 분포는 거의 유사하며, 치조골에 작용하는 응력은 하중의 종류와 상관없이 주로 피질골에 집중되었다. 지대주, 지대주 나사, 그리고 보철물 나사 등에 미치는 응력 크기나 분포는 모형에 관계없이 나사 유지형인 경우가 시멘트 유지형인 경우에 비해 낮은 안정적인 값을 보였다. 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의 상부 구조물의 차이에 의한 교호작용 (reciprocal action)은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모든 부위에서 중앙 수 직하중, 교두정 수직하중, 그리고 교두정 경사하중의 순으로 응력값이 증가하였다. 결론: 본 유한 요소실험의 한계내에서 나사 및 시멘트 혼합 유지형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시멘트 유지형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주위에 더 큰 응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상적인 passive fit의 가정하에서 나사 유지형의 임플란트 보철물이 본체와 주위에 가장 작은 응력을 나타내었다.